<표 Ⅱ-1> 1998년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 도구 중 ‘직업의식’부분․14
<표 Ⅱ-2> 2002년 직업의식조사의 질문지 하위 영역 구조․17
<표 Ⅱ-3> 1차(1998년) 및 2차(2002년)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 도구의 비교․19
<표 Ⅱ-4> 2006년 직업의식 조사의 구조 및 하위영역․22
<표 Ⅱ-5> 전국 가구 수에 따른 표본 가구 수․28
<표 Ⅱ-6> 16개 시도별 조사 실적․29
<표 Ⅱ-7> 16개 시도별 대학생 모집단 분포 - 4년제 대학․30
<표 Ⅱ-8> 16개 시도별 대학생 모집단 분포 - 2,3년제 대학․31
<표 Ⅱ-9> 4개 권역별 대학생 표본 분포․31
<표 Ⅱ-10> 권역별 설립형태별 대학교 수․32
<표 Ⅱ-11> 7개 계열별 대학생 모집단 분포․32
<표 Ⅱ-12> 계열별 대학생 표본 분포․32
<표 Ⅱ-13> 권역 및 설립형태별 대학교 최종 표본 분포․33
<표 Ⅱ-14> 대학 전공계열 코드표․33
<표 Ⅱ-15> 권역별 대학생 조사 실적․34
<표 Ⅱ-16> 전국 고등학생 모집단 분포․35
<표 Ⅱ-17> 전국 고등학교 분포․35
<표 Ⅱ-18> 권역별 고등학생 표본분포․36
<표 Ⅱ-19> 권역 및 설립형태별 고등학교 최종 표본 분포․36
<표 Ⅱ-20> 권역별 고등학생 조사 실적․36
<표 Ⅲ-1> 직업구성의 변화, 1955~2005․42
<표 Ⅲ-2> 연도별 직업선택 요인의 변화, 1980~2002․49
<표 Ⅲ-3> 연도․교육정도별 외재적 가치(수입 및 안정성) 선택비율 비교 ․49
<표 Ⅲ-4> 교육정도별 직업선택 요인, 2002․50
<표 Ⅲ-5> 직업에 대한 태도, 1967~2006ㆍ51
<표 Ⅲ-6> 일과 여가 선호에 대한 태도, 1967~2006ㆍ52
<표 Ⅲ-7> 직종별 전문직 정체성 비율, 2006ㆍ54
<표 Ⅲ-8> 직업별 조직 및 직업몰입도 비교, 2006 (피고용자)ㆍ56
<표 Ⅲ-9> 천직의식과 평생직업의식, 2006ㆍ59
<표 Ⅲ-10> 여성인력 활용 애로 요인, 2005ㆍ63
<표 Ⅲ-11> 성별 조직 및 직업몰입도 비교, 2006ㆍ63
<표 Ⅲ-12> 직업ㆍ성별 조직 및 직업몰입의 다중범위검정 결과, 2006 (셰페의 검정)ㆍ64
<표 Ⅲ-13> 각 년도 직업의 사회적 위신점수 간 상관계수표ㆍ66
<표 Ⅲ-14> 직업위신 점수의 변화 (1962~2006년)ㆍ66
<표 Ⅳ-1>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변수들ㆍ82
<표 Ⅳ-2> 집단 수준의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변수들ㆍ84
<표 Ⅳ-3> 일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ㆍ86
<표 Ⅳ-4> 삶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ㆍ87
<표 Ⅳ-5> 신뢰하는 직장 동료들과의 개인적 사회자본 결정요인 회귀분석 결과ㆍ89
<표 Ⅳ-6> 직장 구성원들에 대한 집단 수준의 사회자본 결정요인 회귀분석 결과ㆍ90
<표 Ⅴ-1> 일과 여가의 중요도(%)ㆍ111
<표 Ⅴ-2> 연령대별 일과 여가의 상대적 중요도(%)ㆍ112
<표 Ⅴ-3> 연령대별 여가 대비 일의 상대적 중요도ㆍ113
<표 Ⅴ-4> 일의 중요성 규범에 대한 동조의 도수분포ㆍ114
<표 Ⅴ-5> 연령대별 일의 중요성 규범에 대한 동조 비교ㆍ114
<표 Ⅴ-6> 직업특성의 중요성에 대한 의식의 도수분포ㆍ115
<표 Ⅴ-7> 직업특성의 중요도 순위 비교 (2002년도와 2006년)ㆍ116
<표 Ⅴ-8> 직업특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변수들의 요인분석 결과ㆍ117
<표 Ⅴ-9> 연령대별 직업특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비교ㆍ118
<표 Ⅴ-10> 연령대별 교육수준(%)ㆍ119
<표 Ⅴ-11> 연령대별 직업군(%)ㆍ119
<표 Ⅴ-12> 연령대별 종사상 지위(%)ㆍ120
<표 Ⅴ-13> 자유주의적 경제관 변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ㆍ121
<표 Ⅴ-14> 연령대별 경제관과 탈물질주의 비교ㆍ122
<표 Ⅴ-15> 여가대비 일의 중요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ㆍ124
<표 Ⅴ-16> 일의 중요성 규범 동조에 대한 다중회귀분석ㆍ125
<표 Ⅴ-17> 외재적 직업특성의 중요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ㆍ127
<표 Ⅴ-18> 내재적 직업특성의 중요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ㆍ128
<표 Ⅴ-19> 학생집단과의 직업의식 비교ㆍ129
<표 Ⅴ-20> 학생집단과의 경제관 및 탈물질주의 가치관 비교ㆍ131
<표 Ⅵ-1>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 덕목ㆍ141
<표 Ⅵ-2> 우리나라 주요 직업의 직업윤리 수준 순위(전체)ㆍ143
<표 Ⅵ-3> 우리나라 직업인들의 전반적인 직업윤리 수준 평가(5점 척도)ㆍ145
<표 Ⅵ-4>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직업인들의 직업윤리 수준 평가(5점 척도)ㆍ147
<표 Ⅵ-5> 이직시 회사 기밀이나 기술의 유출에 대한 인식ㆍ148
<표 Ⅵ-6> 직업, 업종, 직장유형, 연령별 직업윤리 수준 평가ㆍ149
<표 Ⅵ-7> 직업윤리 행태별 분포ㆍ154
<표 Ⅵ-8> 직업별 직업윤리 구성요소별 수준ㆍ156
<표 Ⅵ-9> 직무관련 선물에 대한 태도ㆍ158
<표 Ⅵ-10> 직무관련 선물 허용한도ㆍ159
<표 Ⅵ-11> 조직적 부정에 대한 대응 양태ㆍ160
<표 Ⅵ-12> 직무상 비윤리적 행위 목격 여부ㆍ162
<표 Ⅵ-13> 목격한 직무상 비윤리적 행위의 유형ㆍ163
<표 Ⅵ-14> 3년 내 이직하게 될 경우 근무 태도ㆍ164
<표 Ⅶ-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ㆍ172
<표 Ⅶ-2> 응답자의 학교 특성ㆍ173
<표 Ⅶ-3>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평생직장: 성별, 학년별ㆍ179
<표 Ⅶ-4>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평생직장: 계층별ㆍ179
<표 Ⅶ-5> 대학생이 인식하는 평생직장: 성별, 학년별ㆍ179
<표 Ⅶ-6> 대학생이 인식하는 평생직장: 계층별ㆍ180
<표 Ⅶ-7>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NEET족: 성별, 학년별ㆍ181
<표 Ⅶ-8>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NEET족: 계층별ㆍ181
<표 Ⅶ-9> 대학생이 인식하는 NEET족: 성별, 학년별ㆍ181
<표 Ⅶ-10> 대학생이 인식하는 NEET족: 계층별ㆍ182
<표 Ⅶ-11> 고교 학년에 따른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 중요한 사항ㆍ184
<표 Ⅶ-12> 청(소)년의 졸업 후 진로결정 정도ㆍ185
<표 Ⅶ-13> 청(소)년의 졸업 후 종사할 직업결정 여부ㆍ186
<표 Ⅶ-14> 졸업 후 종사할 직업(OES 기준)ㆍ187
<표 Ⅶ-15> 고교생의 졸업 후 진로계획ㆍ190
<표 Ⅶ-16> 대학생이 선호하는 직장 유형ㆍ192
<표 Ⅶ-17>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학교 특성과 진로결정 상관관계ㆍ193
<표 Ⅶ-18> 직업 지식, 진로준비와 진로결정과의 상관관계ㆍ194
<표 Ⅶ-19> 진로지도 경험과 진로결정과의 상관관계ㆍ195
<표 Ⅶ-20> 학년별 진로결정ㆍ196
<표 Ⅶ-21> 고등학생의 학교계열 및 사회계층별 진로결정 분석ㆍ196
<표 Ⅶ-22> 대학생의 지인과의 만남 정도와 진로결정 분석ㆍ197
<표 Ⅶ-23> 직업에 대한 지식과 진로결정ㆍ198
<표 Ⅶ-24> 자기이해 경험과 진로결정ㆍ199
<표 Ⅶ-25> 대학생의 성격세미나 경험과 진로결정ㆍ199
<표 Ⅶ-26> 청(소)년의 학업․직업탐색 경험과 진로결정ㆍ200
<표 Ⅶ-27> 청(소)년의 일 경험과 진로결정ㆍ201
<표 Ⅶ-28> 대학생의 직장, 과외 경험과 진로결정ㆍ202
<표 Ⅶ-29> 희망 직업과 부모 직업 일치 여부ㆍ203
<표 Ⅶ-30> 부모 직업과의 일치와 종사 직업 결정 상태ㆍ204
<표 Ⅶ-31> 아버지 직업과의 일치와 진로결정 상태ㆍ204
<표 Ⅶ-32> 부모와의 대화나 활동시간과 직업결정 상태ㆍ205
<표 Ⅶ-33> 부모님에 대한 인식과 진로결정 상태ㆍ206
<표 Ⅶ-34> 자기이해를 위한 경험ㆍ207
<표 Ⅶ-35> 고교 종류에 따른 자기이해를 위한 경험ㆍ208
<표 Ⅶ-36> 고교 학년에 따른 학업․직업탐색 경험ㆍ210
<표 Ⅶ-37> 고교 종류에 따른 학업․직업탐색 경험ㆍ211
<표 Ⅶ-38> 대학 학년에 따른 학업․직업탐색 경험ㆍ213
<표 Ⅶ-39> 대학 종류에 따른 학업․직업탐색 경험ㆍ213
<표 Ⅶ-40> 청(소)년의 일 경험ㆍ214
<표 Ⅶ-41> 고교 종류에 따른 일 경험ㆍ215
<표 Ⅶ-42> 대학 종류에 따른 일 경험ㆍ216
<표 Ⅶ-43> 청(소)년의 진로목표 및 진로계획 설정ㆍ217
<표 Ⅶ-44> 청(소)년의 학년에 따른 진로목표 및 진로계획 설정ㆍ217
<표 Ⅶ-45> 고등학생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경험: 성별, 학년별ㆍ219
<표 Ⅶ-46> 고등학생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경험: 계열별, 설립유형별, 지역별ㆍ220
<표 Ⅶ-47>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경험: 성별, 학년별, 학교별ㆍ223
<표 Ⅶ-48>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경험: 전공계열별, 설립유형별, 지역별ㆍ224
[그림 Ⅱ-1]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2002년)의 이론적 분석틀ㆍ16
[그림 Ⅲ-1-a] 1990년도 직업위신점수와 1962~1990년간 변화율ㆍ70
[그림 Ⅲ-1-b] 2006년도 직업위신점수와 1990~2006년간 변화율ㆍ70
[그림 Ⅳ-1] 일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의 분포ㆍ80
[그림 Ⅳ-2]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의 분포ㆍ81
[그림 Ⅳ-3] 개인 수준의 신뢰ㆍ83
[그림 Ⅳ-4] 집단 수준의 신뢰ㆍ85
[그림 Ⅳ-5] 개인 및 집단 수준의 사회자본과 일 및 삶 만족도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 모형ㆍ93
[그림 Ⅳ-6] 사회자본과 만족도 변수들 간의 경로분석 결과ㆍ94
[그림 Ⅳ-7] 사회자본과 만족도 변수들 간의 성별 경로분석 결과ㆍ95
[그림 Ⅳ-8] 사회자본과 만족도 변수들 간의 기혼여부별 경로분석 결과ㆍ96
[그림 Ⅳ-9] 사회자본과 만족도 변수들 간의 대학교육 경험 여부별 경로분석 결과ㆍ97
[그림 Ⅳ-10] 사회자본과 만족도 변수들 간의 전문/관리/기술직 여부별 경로분석 결과ㆍ99
[그림 Ⅵ-1]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 덕목ㆍ140
[그림 Ⅵ-2] 직업별 직업윤리 수준ㆍ150
[그림 Ⅵ-3] 직장유형별 직업윤리 수준ㆍ151
[그림 Ⅵ-4] 직업윤리 구성요소별 수준ㆍ155
[그림 Ⅶ-1]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 중요한 사항ㆍ183
[그림 Ⅶ-2] 고등학생의 졸업 후 진로계획ㆍ190
[그림 Ⅶ-3] 대학생이 선호하는 직장 유형ㆍ192
[그림 Ⅶ-4] 하루 평균 부모와의 대화나 활동시간ㆍ205
[그림 Ⅶ-5] 고등학생의 학업ㆍ직업탐색ㆍ210
[그림 Ⅶ-6] 대학생의 학업․직업탐색ㆍ212
[그림 Ⅶ-7] 청소년의 진로목표 및 진로계획 설정ㆍ217
[그림 Ⅶ-8]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중, 고등학생이 경험 못한 비율ㆍ219
[그림 Ⅶ-9] 고등학생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만족도ㆍ221
[그림 Ⅶ-10]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중, 대학생이 경험 못322비율ㆍ222
[그림 Ⅶ-11]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만족도ㆍ225
[그림 Ⅶ-12] 고등학생의 인식하는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문제점ㆍ226
[그림 Ⅶ-13] 대학생의 인식하는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문제점ㆍ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