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2006)

Koreans
저자
장홍근 한상근 이지연 정윤경 홍두승 서우석 이기홍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3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6.12.31
등록일
2006.12.31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직업의식의 개념 2
 제3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5
제2장  선행연구 및 조사의 개관
 제1절  직업의식 관련 선행 조사연구와 시사점 7
   1. 통계청 사회통계조사를 통한 직업의식 조사 7
   2. 한국인의 사회조사 및 국제사회조사 프로그램을 통한 직업의식조사 8
   3. 세계가치조사를 통한 직업의식조사 8
   4. 그 외 국내 패널조사를 통한 직업의식조사 9
   5. 청소년대상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조사 10
   6. 시사점 11
 제2절  직업의식의 구조와 영역 13
   1.『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Ⅰ)의 구조 및 하위영역 13
   2.『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Ⅱ)의 구조 및 하위영역 14
   3.『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2006)의 구조 및 하위영역 19
 제3절  조사 개요 및 과정 26
   1. 조사 개요 26
   2. 실사진행 28
   3. 편집 및 코딩 37
제3장  직업의식의 구조와 변화
 제1절  문제의 제기 39
 제2절  직업구조의 변화 41
   1. 직업의 부침: “지는 직업, 뜨는 직업” 43
   2. 노동시장의 수급 불균형: 직업의 선호와 기피 45
 제3절  일의 가치와 직업의식 47
   1. 일의 가치 47
   2. 일과 여가 50
   3. 전문직업성과 직업의식 52
 제4절  직업 및 조직몰입과 소명의식 55
   1. 평생직업과 평생직장 55
   2. 소명의식과 평생직업의식 57
   3. 여성과 직업의식 60
 제5절  직업에 대한 평가 65
   1. 직업위신의 변화 65
 제6절  소결 74
제4장  직업 관련 만족도와 사회자본
 제1절  서론 75
   1. 만족도와 관련된 논의 75
   2. 사회자본과 관련된 논의 76
 제2절  만족도 및 사회자본 변수들에 대한 분석 79
   1. 기초통계 분석 79
   2. 만족도 및 사회자본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85
 제3절  직업 관련 만족도와 사회자본의 관계 92
   1. 기본 가설의 제시와 검증 92
   2. 하위집단별 차이 94
 제4절  소결 100
   1. 주요 발견 사항 100
   2. 토론 및 함의 101
제5장  직업의식의 세대간 차이 
 제1절  문제제기 105
 제2절  직업의식의 세대간 차이 현황 110
   1. 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110
   2.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115
 제3절  직업의식의 세대간 차이 분석 118
   1. 설명변수 118
   2.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122
 제4절  학생집단과의 비교 129
 제5절  소결 131
제6장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과 실태
 제1절  서론 133
 제2절  직업윤리의 개념과 구조 134
   1. 직업윤리의 의미 134
   2. 직업윤리에 대한 국내외 연구 136
   3. 직업윤리의 구조 및 하위영역 138
   4. 직업윤리 측정의 분석틀 139
 제3절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 140
   1. 직업윤리 덕목 140
   2. 주요 직업의 직업윤리 수준 평가 142
   3. 직업인들의 전반적인 직업윤리 수준 144
   4. 직업윤리 수준의 변화 146
   5. 회사 기밀이나 기술의 유출에 대한 인식 147
 제4절  직업윤리 실태 149
   1. 직종별 직업윤리 수준 149
   2. 직업윤리 구성요소별 수준 152
   3. 직무 관련 선물에 대한 태도와 허용수준 157
   4. 조직적 부정에 대한 대응 양태 159
   5. 직무 관련 비윤리적 행위 정도와 유형 161
   6. 이직하게 될 경우의 직무태도 164
 제5절  소결 165
제7장  청(소)년의 진로결정 준비 및 진로지도 경험
 제1절  서론 169
   1. 연구의 필요성 169
   2. 분석 자료와 응답자 특성 171
 제2절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174
   1. 청(소)년의 진로결정 174
   2. 청(소)년의 진로준비 175
 제3절  평생직장, 경제 지원, 좋은 직업에 관한 청(소)년의 인식 178
   1. 평생직장에 관한 청(소)년의 인식 실태 178
   2. 학교 졸업 후 직업 없이 부모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는 것에 관한 청(소)년의 인식 실태 180
   3.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 중요한 것에 대한 인식 182
 제4절  청(소)년의 진로결정 184
   1. 청(소)년의 진로결정 184
   2. 청(소)년 진로결정의 주요 영향 변인 192
   3. 청(소)년 진로결정의 주요 영향 변인에 따른 세부 실태 195
 제5절  청(소)년의 진로준비 207
   1. 자기이해를 위한 심리검사 및 개인 집단상담 경험 207
   2. 학업 직업탐색을 위한 경험 209
   3. 일 경험 213
   4. 진로목표 및 진로계획 설정 216
 제6절  청(소)년의 진로지도 경험 및 만족도 218
   1.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경험 및 만족도 218
   2. 학교 진로지도 서비스의 문제점 인식 225
 제7절  소결 227
제8장  결론
 제1절  요약 233
 제2절  연구 결과의 함의 237
 제3절  향후 계획 239
SUMMARY 243
<부록 1> 부표 249
<부록 2>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조사표(취업자용) 261
<부록 3>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조사표(미취업자용) 284
<부록 4>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조사표(대학생용) 300
<부록 5>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조사표(고등학생용) 318
참고문헌 337
  경제 및 직업구조와 직업의식은 상호작용 관계에 있다. 지식정보화 등 경제사회구조의 변동 속에서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에 대한 주기적인 파악은 매우 긴요하다. 본 연구는 현 시기 한국 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를 다양한 각도에서 체계적으로 조사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8~64세 일반 성인, 대학생, 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여 추출한 총 8,70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는 직업의식의 구조와 변화, 작업 관련 만족도와 사회자본, 직업의식의 세대간 차이,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과 실태, 청소년의 진로 결정 ·준비 및 진로지도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의 도구적 의미는 약화된 반면, 직업을 통한 자아실현 욕구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윤리 수준은 과거에 비해 개선되었지만 아직 부족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청소년 의 진로결정 정도는 높으며, 직장 안정성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정책적 차원에서는,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부응하는 건전한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의 확립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주요 내용
   - 직업의식의 구조와 변화
   - 직업 만족도와 사회자본 
   - 직업의식의 세대간 차이 
   -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과 실태
   - 청소년의 진로결정 ·준비 및 진로지도 경험
  The most comprehensive and large-scale study on occupational perceptions and views among Korean people was carried out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for the first time in 1998 right after the financial crisis when job instability and unemployment crisis became a  major social concern. Then the study of 1998 was replicated and expanded in 2002 when post-crisis memories still remained clear socially, economically, and culturally.
  Based on the overall framework of previous two accomplishment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issues. One is about occupation-related social status as an object in the sense that occupation is objectified as one's work is ultimately evaluated by others. Occupational prestige score, as presented in this and many other previous studies, is a measurement to understand an important aspect of occupation.  The other is occupation as a subject meaning how one regards his/her own work and occupation in general.  Organizational and occupation commitments are instrumental filters through which job as a subject can be eventually related to the issue of work ethics. 
  For empirical investigation, data were collected in the period of March and April of 2006 by face-to-face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surveys with three different groups: 4,500 adults aged 18 through 64; 1,500 college students; and 2,700 high school students.
...
<표 Ⅱ-1> 1998년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 도구 중 ‘직업의식’부분․14
<표 Ⅱ-2> 2002년 직업의식조사의 질문지 하위 영역 구조․17
<표 Ⅱ-3> 1차(1998년) 및 2차(2002년)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 도구의 비교․19
<표 Ⅱ-4> 2006년 직업의식 조사의 구조 및 하위영역․22
<표 Ⅱ-5> 전국 가구 수에 따른 표본 가구 수․28
<표 Ⅱ-6> 16개 시도별 조사 실적․29
<표 Ⅱ-7> 16개 시도별 대학생 모집단 분포 - 4년제 대학․30
<표 Ⅱ-8> 16개 시도별 대학생 모집단 분포 - 2,3년제 대학․31
<표 Ⅱ-9> 4개 권역별 대학생 표본 분포․31
<표 Ⅱ-10> 권역별 설립형태별 대학교 수․32
<표 Ⅱ-11> 7개 계열별 대학생 모집단 분포․32
<표 Ⅱ-12> 계열별 대학생 표본 분포․32
<표 Ⅱ-13> 권역 및 설립형태별 대학교 최종 표본 분포․33
<표 Ⅱ-14> 대학 전공계열 코드표․33
<표 Ⅱ-15> 권역별 대학생 조사 실적․34
<표 Ⅱ-16> 전국 고등학생 모집단 분포․35
<표 Ⅱ-17> 전국 고등학교 분포․35
<표 Ⅱ-18> 권역별 고등학생 표본분포․36
<표 Ⅱ-19> 권역 및 설립형태별 고등학교 최종 표본 분포․36
<표 Ⅱ-20> 권역별 고등학생 조사 실적․36
<표 Ⅲ-1> 직업구성의 변화, 1955~2005․42
<표 Ⅲ-2> 연도별 직업선택 요인의 변화, 1980~2002․49
<표 Ⅲ-3> 연도․교육정도별 외재적 가치(수입 및 안정성) 선택비율 비교	․49
<표 Ⅲ-4> 교육정도별 직업선택 요인, 2002․50
<표 Ⅲ-5> 직업에 대한 태도, 1967~2006ㆍ51
<표 Ⅲ-6> 일과 여가 선호에 대한 태도, 1967~2006ㆍ52
<표 Ⅲ-7> 직종별 전문직 정체성 비율, 2006ㆍ54
<표 Ⅲ-8> 직업별 조직 및 직업몰입도 비교, 2006 (피고용자)ㆍ56
<표 Ⅲ-9> 천직의식과 평생직업의식, 2006ㆍ59
<표 Ⅲ-10> 여성인력 활용 애로 요인, 2005ㆍ63
<표 Ⅲ-11> 성별 조직 및 직업몰입도 비교, 2006ㆍ63
<표 Ⅲ-12> 직업ㆍ성별 조직 및 직업몰입의 다중범위검정 결과, 2006 (셰페의 검정)ㆍ64
<표 Ⅲ-13> 각 년도 직업의 사회적 위신점수 간 상관계수표ㆍ66
<표 Ⅲ-14> 직업위신 점수의 변화 (1962~2006년)ㆍ66
<표 Ⅳ-1>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변수들ㆍ82
<표 Ⅳ-2> 집단 수준의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변수들ㆍ84
<표 Ⅳ-3> 일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ㆍ86
<표 Ⅳ-4> 삶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ㆍ87
<표 Ⅳ-5> 신뢰하는 직장 동료들과의 개인적 사회자본 결정요인 회귀분석 결과ㆍ89
<표 Ⅳ-6> 직장 구성원들에 대한 집단 수준의 사회자본 결정요인 회귀분석 결과ㆍ90
<표 Ⅴ-1> 일과 여가의 중요도(%)ㆍ111
<표 Ⅴ-2> 연령대별 일과 여가의 상대적 중요도(%)ㆍ112
<표 Ⅴ-3> 연령대별 여가 대비 일의 상대적 중요도ㆍ113
<표 Ⅴ-4> 일의 중요성 규범에 대한 동조의 도수분포ㆍ114
<표 Ⅴ-5> 연령대별 일의 중요성 규범에 대한 동조 비교ㆍ114
<표 Ⅴ-6> 직업특성의 중요성에 대한 의식의 도수분포ㆍ115
<표 Ⅴ-7> 직업특성의 중요도 순위 비교 (2002년도와 2006년)ㆍ116
<표 Ⅴ-8> 직업특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변수들의 요인분석 결과ㆍ117
<표 Ⅴ-9> 연령대별 직업특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비교ㆍ118
<표 Ⅴ-10> 연령대별 교육수준(%)ㆍ119
<표 Ⅴ-11> 연령대별 직업군(%)ㆍ119
<표 Ⅴ-12> 연령대별 종사상 지위(%)ㆍ120
<표 Ⅴ-13> 자유주의적 경제관 변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ㆍ121
<표 Ⅴ-14> 연령대별 경제관과 탈물질주의 비교ㆍ122
<표 Ⅴ-15> 여가대비 일의 중요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ㆍ124
<표 Ⅴ-16> 일의 중요성 규범 동조에 대한 다중회귀분석ㆍ125
<표 Ⅴ-17> 외재적 직업특성의 중요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ㆍ127
<표 Ⅴ-18> 내재적 직업특성의 중요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ㆍ128
<표 Ⅴ-19> 학생집단과의 직업의식 비교ㆍ129
<표 Ⅴ-20> 학생집단과의 경제관 및 탈물질주의 가치관 비교ㆍ131
<표 Ⅵ-1>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 덕목ㆍ141
<표 Ⅵ-2> 우리나라 주요 직업의 직업윤리 수준 순위(전체)ㆍ143
<표 Ⅵ-3> 우리나라 직업인들의 전반적인 직업윤리 수준 평가(5점 척도)ㆍ145
<표 Ⅵ-4>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직업인들의 직업윤리 수준 평가(5점 척도)ㆍ147
<표 Ⅵ-5> 이직시 회사 기밀이나 기술의 유출에 대한 인식ㆍ148
<표 Ⅵ-6> 직업, 업종, 직장유형, 연령별 직업윤리 수준 평가ㆍ149
<표 Ⅵ-7> 직업윤리 행태별 분포ㆍ154
<표 Ⅵ-8> 직업별 직업윤리 구성요소별 수준ㆍ156
<표 Ⅵ-9> 직무관련 선물에 대한 태도ㆍ158
<표 Ⅵ-10> 직무관련 선물 허용한도ㆍ159
<표 Ⅵ-11> 조직적 부정에 대한 대응 양태ㆍ160
<표 Ⅵ-12> 직무상 비윤리적 행위 목격 여부ㆍ162
<표 Ⅵ-13> 목격한 직무상 비윤리적 행위의 유형ㆍ163
<표 Ⅵ-14> 3년 내 이직하게 될 경우 근무 태도ㆍ164
<표 Ⅶ-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ㆍ172
<표 Ⅶ-2> 응답자의 학교 특성ㆍ173
<표 Ⅶ-3>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평생직장: 성별, 학년별ㆍ179
<표 Ⅶ-4>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평생직장: 계층별ㆍ179
<표 Ⅶ-5> 대학생이 인식하는 평생직장: 성별, 학년별ㆍ179
<표 Ⅶ-6> 대학생이 인식하는 평생직장: 계층별ㆍ180
<표 Ⅶ-7>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NEET족: 성별, 학년별ㆍ181
<표 Ⅶ-8>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NEET족: 계층별ㆍ181
<표 Ⅶ-9> 대학생이 인식하는 NEET족: 성별, 학년별ㆍ181
<표 Ⅶ-10> 대학생이 인식하는 NEET족: 계층별ㆍ182
<표 Ⅶ-11> 고교 학년에 따른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 중요한 사항ㆍ184
<표 Ⅶ-12> 청(소)년의 졸업 후 진로결정 정도ㆍ185
<표 Ⅶ-13> 청(소)년의 졸업 후 종사할 직업결정 여부ㆍ186
<표 Ⅶ-14> 졸업 후 종사할 직업(OES 기준)ㆍ187
<표 Ⅶ-15> 고교생의 졸업 후 진로계획ㆍ190
<표 Ⅶ-16> 대학생이 선호하는 직장 유형ㆍ192
<표 Ⅶ-17>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학교 특성과 진로결정 상관관계ㆍ193
<표 Ⅶ-18> 직업 지식, 진로준비와 진로결정과의 상관관계ㆍ194
<표 Ⅶ-19> 진로지도 경험과 진로결정과의 상관관계ㆍ195
<표 Ⅶ-20> 학년별 진로결정ㆍ196
<표 Ⅶ-21> 고등학생의 학교계열 및 사회계층별 진로결정 분석ㆍ196
<표 Ⅶ-22> 대학생의 지인과의 만남 정도와 진로결정 분석ㆍ197
<표 Ⅶ-23> 직업에 대한 지식과 진로결정ㆍ198
<표 Ⅶ-24> 자기이해 경험과 진로결정ㆍ199
<표 Ⅶ-25> 대학생의 성격세미나 경험과 진로결정ㆍ199
<표 Ⅶ-26> 청(소)년의 학업․직업탐색 경험과 진로결정ㆍ200
<표 Ⅶ-27> 청(소)년의 일 경험과 진로결정ㆍ201
<표 Ⅶ-28> 대학생의 직장, 과외 경험과 진로결정ㆍ202
<표 Ⅶ-29> 희망 직업과 부모 직업 일치 여부ㆍ203
<표 Ⅶ-30> 부모 직업과의 일치와 종사 직업 결정 상태ㆍ204
<표 Ⅶ-31> 아버지 직업과의 일치와 진로결정 상태ㆍ204
<표 Ⅶ-32> 부모와의 대화나 활동시간과 직업결정 상태ㆍ205
<표 Ⅶ-33> 부모님에 대한 인식과 진로결정 상태ㆍ206
<표 Ⅶ-34> 자기이해를 위한 경험ㆍ207
<표 Ⅶ-35> 고교 종류에 따른 자기이해를 위한 경험ㆍ208
<표 Ⅶ-36> 고교 학년에 따른 학업․직업탐색 경험ㆍ210
<표 Ⅶ-37> 고교 종류에 따른 학업․직업탐색 경험ㆍ211
<표 Ⅶ-38> 대학 학년에 따른 학업․직업탐색 경험ㆍ213
<표 Ⅶ-39> 대학 종류에 따른 학업․직업탐색 경험ㆍ213
<표 Ⅶ-40> 청(소)년의 일 경험ㆍ214
<표 Ⅶ-41> 고교 종류에 따른 일 경험ㆍ215
<표 Ⅶ-42> 대학 종류에 따른 일 경험ㆍ216
<표 Ⅶ-43> 청(소)년의 진로목표 및 진로계획 설정ㆍ217
<표 Ⅶ-44> 청(소)년의 학년에 따른 진로목표 및 진로계획 설정ㆍ217
<표 Ⅶ-45> 고등학생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경험: 성별, 학년별ㆍ219
<표 Ⅶ-46> 고등학생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경험: 계열별, 설립유형별, 지역별ㆍ220
<표 Ⅶ-47>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경험: 성별, 학년별, 학교별ㆍ223
<표 Ⅶ-48>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경험: 전공계열별, 설립유형별, 지역별ㆍ224
[그림 Ⅱ-1]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2002년)의 이론적 분석틀ㆍ16
[그림 Ⅲ-1-a] 1990년도 직업위신점수와 1962~1990년간 변화율ㆍ70
[그림 Ⅲ-1-b] 2006년도 직업위신점수와 1990~2006년간 변화율ㆍ70
[그림 Ⅳ-1] 일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의 분포ㆍ80
[그림 Ⅳ-2]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의 분포ㆍ81
[그림 Ⅳ-3] 개인 수준의 신뢰ㆍ83
[그림 Ⅳ-4] 집단 수준의 신뢰ㆍ85
[그림 Ⅳ-5] 개인 및 집단 수준의 사회자본과 일 및 삶 만족도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 모형ㆍ93
[그림 Ⅳ-6] 사회자본과 만족도 변수들 간의 경로분석 결과ㆍ94
[그림 Ⅳ-7] 사회자본과 만족도 변수들 간의 성별 경로분석 결과ㆍ95
[그림 Ⅳ-8] 사회자본과 만족도 변수들 간의 기혼여부별 경로분석 결과ㆍ96
[그림 Ⅳ-9] 사회자본과 만족도 변수들 간의 대학교육 경험 여부별 경로분석 결과ㆍ97
[그림 Ⅳ-10] 사회자본과 만족도 변수들 간의 전문/관리/기술직 여부별 경로분석 결과ㆍ99
[그림 Ⅵ-1]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 덕목ㆍ140
[그림 Ⅵ-2] 직업별 직업윤리 수준ㆍ150
[그림 Ⅵ-3] 직장유형별 직업윤리 수준ㆍ151
[그림 Ⅵ-4] 직업윤리 구성요소별 수준ㆍ155
[그림 Ⅶ-1]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 중요한 사항ㆍ183
[그림 Ⅶ-2] 고등학생의 졸업 후 진로계획ㆍ190
[그림 Ⅶ-3] 대학생이 선호하는 직장 유형ㆍ192
[그림 Ⅶ-4] 하루 평균 부모와의 대화나 활동시간ㆍ205
[그림 Ⅶ-5] 고등학생의 학업ㆍ직업탐색ㆍ210
[그림 Ⅶ-6] 대학생의 학업․직업탐색ㆍ212
[그림 Ⅶ-7] 청소년의 진로목표 및 진로계획 설정ㆍ217
[그림 Ⅶ-8]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중, 고등학생이 경험 못한 비율ㆍ219
[그림 Ⅶ-9] 고등학생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만족도ㆍ221
[그림 Ⅶ-10]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중, 대학생이 경험 못322비율ㆍ222
[그림 Ⅶ-11]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만족도ㆍ225
[그림 Ⅶ-12] 고등학생의 인식하는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문제점ㆍ226
[그림 Ⅶ-13] 대학생의 인식하는 진로지도 및 취업관련 서비스 문제점ㆍ22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2006) 2006.01.01~2006.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