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Ⅰ-1> 설문조사지 조사항목, 조사내용 및 문항구성․8
<표 Ⅰ-2> 연도별 연구 계획 - 3개년․9
<표 Ⅱ-1> Coleman과 Putnam의 사회적 자본 이론 비교․19
<표 Ⅱ-2> 사회적 자본의 두 속성에 따른 사회유형(이념형적 분류)․27
<표 Ⅱ-3>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29
<표 Ⅲ-1> Putnam의 사회적 자본 지표의 구성요소․44
<표 Ⅲ-2> 사회적 자본 측정을 위해 제시된 틀․46
<표 Ⅲ-3> 사회적 자본의 여섯 가지 범주․54
<표 Ⅲ-4> 표준화된 질문 모듈에 기반한 사회통계를 위해 Siena Group이 제안한 사회적 자본 지표․60
<표 Ⅲ-5> 영국 통계청이 개발한 사회적 자본 측정 지표․67
<표 Ⅲ-6> 호주 통계청의 개념적 틀을 기반으로 만든 사회적 자본 지표들․82
<표 Ⅲ-7> 조사 개요(캐나다)․85
<표 Ⅲ-8> PRI 개념적 틀에 의한 사회적 자본 측정 지표․93
<표 Ⅲ-9> 국제기구 및 주요국의 사회적 자본 지표․95
<표 Ⅳ-1> 사회적 자본 측정 매트릭스․100
<표 Ⅳ-2> 국내외 사회적 자본에 대한 조사들․102
<표 Ⅳ-3> 조사 응답자의 특성․104
<표 Ⅳ-4> 설문 항목 및 조사 내용․105
<표 Ⅳ-5> 광역시/도별 인구수, 가구수 분포 및 가구원 수․107
<표 Ⅳ-6> 광역시/도별 농어가 인구 및 가구 분포(2000년 기준)․109
<표 Ⅳ-7> 지역별 표본 가구수․110
<표 Ⅳ-8> 지역별 최대허용오차(모비율 추정 기준)․111
<표 Ⅳ-9> 조사 완료된 표본구성 읍/면/동의 수․112
<표 Ⅳ-10> 사후가중치와 표준화 가중치․116
<표 Ⅳ-11> 신뢰, 네트워크, 참여의 측정 영역 및 항목․117
<표 Ⅳ-12> 개인적 신뢰에 대한 국가 간 비교(4점 척도)․122
<표 Ⅳ-13> 사회적 신뢰에 대한 국가 간 비교(4점 척도)․124
<표 Ⅳ-14> 개인/사회/제도 신뢰에 대한 응답자 특성별 비교(5점 척도)․125
<표 Ⅳ-15> 네트워크에 대한 설문내용․126
<표 Ⅳ-16> 집안의 경조사에 따른 네트워크(성별, 연령별, 지역별)․128
<표 Ⅳ-17> 집안의 환자에 따른 네트워크(성별, 연령별, 지역별)․129
<표 Ⅳ-18> 집안의 급전에 따른 네트워크(성별, 연령별, 지역별)․129
<표 Ⅳ-19> 사업상 도움에 따른 네트워크(성별, 연령별, 지역별)․130
<표 Ⅳ-20> 고민 상담에 따른 네트워크(성별, 연령별, 지역별)․131
<표 Ⅳ-21> 사소한 문제에 따른 네트워크(성별, 연령별, 지역별)․131
<표 Ⅳ-22> 특성별 참여네트워크의 종류․134
<표 Ⅳ-23> 특성별 참여네트워크의 수․136
<표 Ⅳ-24> 네트워크의 변화(성별, 연령별, 지역별)․137
<표 Ⅳ-25> 단체 참여를 통해 얻는 이득․146
<표 Ⅳ-26> 지역활동 참여율과 빈도․149
<표 Ⅳ-27> 지역활동 비참여시 비난 또는 제재 받을 가능성․150
<표 Ⅳ-28> 지역주민이 도움을 줄 가능성․151
<표 Ⅳ-29> 지역참여의 효능감․152
<표 Ⅳ-30> 지방선거 참여율: 성, 연령, 학력, 취업자여부, 소득수준, 도시형태․153
<표 Ⅳ-31> 지방선거 참여 성향: 프로빗 분석․153
<표 Ⅳ-32> 시민활동 참여율․154
<표 Ⅳ-33> 사회생활 측정 영역 및 항목․155
<표 Ⅳ-34> 구체적 지역 환경의 만족수준(5점 척도)․157
<표 Ⅳ-35> 현재 지역 거주 기간․160
<표 Ⅳ-36> 이웃공동체의 하위 범주(5점 척도)․161
<표 Ⅳ-37> 이웃 방문 혹은 피방문 횟수․162
<표 Ⅳ-38> 지역 주민의 동질성 정도․163
<표 Ⅳ-39> 지역문제를 야기하는 지역내 차이․164
<표 Ⅳ-40> 법과 도덕 수준, 공공성, 연고주의 개선 정도․167
<표 Ⅳ-41> 범법행위에 대한 신고 여부․168
<표 Ⅳ-42> 사회적 차별과 취약 계층의 보호․170
<표 Ⅳ-43> 노력과 능력의 성공에의 영향 정도․171
<표 Ⅳ-44> 사회적 이동 가능성에 대한 인식 태도․172
<표 Ⅳ-45> 봉사활동 참여․173
<표 Ⅳ-46> 봉사활동 참여 횟수 및 시간․174
<표 Ⅳ-47> 봉사활동 관련 기부금 액수․174
<표 Ⅳ-48> 봉사활동 관련 기부금액수와 봉사활동 참여 횟수 및 참여 시간의 상관관계․174
<표 Ⅳ-49> 공공서비스 및 정보 제공 수준(5점 척도)․176
<표 Ⅳ-50> 경제활동에 대한 정보 취득원․177
<표 Ⅳ-51> 교육훈련 종류별 참여일수 및 비용․180
<표 Ⅳ-52> 직업 교육훈련 참여 목적에 따른 평균참여일수 및 비용․181
<표 Ⅳ-53> 신뢰에 대한 신뢰도․186
<표 Ⅳ-54>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도․187
<표 Ⅳ-55> 네트워크 요인분석 결과․187
<표 Ⅳ-56> 참여단체수에 대한 기술통계․188
<표 Ⅳ-57> 참여에 대한 신뢰도․189
<표 Ⅳ-58> 인적자본에 대한 기술통계․190
<표 Ⅳ-59> 교육훈련에 대한 기술통계․191
<표 Ⅳ-60> 경제적 성과에 대한 기술통계․192
<표 Ⅳ-61> 지역의 삶의 질에 대한 기술통계․192
<표 Ⅳ-62> 개인수준의 상관관계 행렬표․198
<표 Ⅳ-63> 지역수준의 상관관계 행렬표․199
<표 Ⅳ-64> 개인모형 적합도 평가․200
<표 Ⅳ-65> 개인수준 모형의 전체효과와 간접효과․202
<표 Ⅳ-66> 지역모형 적합도 평가․203
<표 Ⅳ-67> 지역수준 모형의 전체효과와 간접효과․205
[그림 Ⅱ-1] 인적․사회적 자본과 복지관계․33
[그림 Ⅱ-2]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틀․39
[그림 Ⅱ-3]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의 분석 틀․39
[그림 Ⅲ-1] 사회적 자본의 측정에 있어서 형식(forms)과 범위(scope)․48
[그림 Ⅲ-2] 세 가지 영역에 기초한 PRI 프로젝트․89
[그림 Ⅲ-3] PRI의 사회적 자본의 분석 틀(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Social Capital)․91
[그림 Ⅳ-1] 개인적 신뢰․119
[그림 Ⅳ-2] 사회적 신뢰․120
[그림 Ⅳ-3] 제도적 신뢰․121
[그림 Ⅳ-4] 개인적 신뢰, 사회적 신뢰, 제도적 신뢰 수준(5점 척도)․121
[그림 Ⅳ-5] 중요한 일이나 사건을 통해 본 네트워크․127
[그림 Ⅳ-6] 참여 네트워크의 종류․132
[그림 Ⅳ-7] 참여단체의 수․135
[그림 Ⅳ-8] 네트워크의 변화․137
[그림 Ⅳ-9] 적극적으로 활동한 단체․139
[그림 Ⅳ-10] 적극적 참여 단체의 구성인원․140
[그림 Ⅳ-11] 적극적 참여 단체의 결속력․141
[그림 Ⅳ-12] 적극적 참여 단체의 규제 정도․142
[그림 Ⅳ-13] 적극적 참여 단체의 동질성과 다양성․143
[그림 Ⅳ-14] 적극적 참여 단체의 연간 참여 정도․144
[그림 Ⅳ-15] 적극적 참여 단체에서 응답자의 역할․145
[그림 Ⅳ-16] 지역 환경의 만족 수준(5점 척도)․157
[그림 Ⅳ-17] 지역 편의 시설의 갖춤 비율(%)․158
[그림 Ⅳ-18] 이웃공동체(5점 척도)․161
[그림 Ⅳ-19] 법과 도덕/ 공공성 수준 및 연고주의 개선 정도(5점 척도)․166
[그림 Ⅳ-20] 사회적 차별과 취약 계층 보호(5점 척도)․169
[그림 Ⅳ-21] 공공서비스 및 정보 제공 수준(5점 척도)․175
[그림 Ⅳ-22] 교육훈련 및 학습정보 취득원․178
[그림 Ⅳ-23] 교육훈련 및 학습종류별 참여비율․179
[그림 Ⅳ-24] 취업이나 직무능력향상 교육훈련 참여목적․181
[그림 Ⅳ-25] 취업 혹은 직무 능력 향상 교육훈련 만족도․182
[그림 Ⅳ-26] 학습조직 참여비율․183
[그림 Ⅳ-27] 학습모임에서의 학습 내용․183
[그림 Ⅳ-28] 학습모임 활동시 학습 방법․184
[그림 Ⅳ-29] 개인수준 사회적 자본의 효과분석 결과․207
[그림 Ⅳ-30] 지역수준 사회적 자본의 효과분석 결과․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