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도 학습과 산업현장적합성
Self-Directed Learning and Its Goodness-of-Fit in Industry
- 저자
- 이정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6-3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6.12.31
- 등록일
- 2006.12.31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제2절 연구내용과 범위 및 한계 2 1. 연구내용과 범위 2 2. 연구의 한계 4 제3절 연구방법 및 절차 5 1. 연구절차 5 2. 연구방법 6 3. 연구대상 8 제2장 자기주도 학습과 산업현장적합성 이론 제1절 자기주도 학습 11 1. 평생학습관점에서 본 자기주도 학습 11 2. 지식경영관점에서 본 자기주도 학습 13 3. 자기주도 학습 이론 16 4. 지표 관련 자기주도 학습 과정 개괄 20 제2절 산업현장적합성 24 1. 산업현장적합성 개념 및 특성 24 2. 산업현장적합성 조건과 내용 논의 25 3. 기업 자기주도 학습지표 개발 30 4. 자기주도 학습지표 개발 의의 및 활용 32 제3장 사례연구 제1절 사례연구 개괄 35 제2절 국내 S사 36 1. S사 36 2. 국내 S사 지표별 전개수준 및 향후전망 47 제3절 EDS 56 1. EDS 56 2. 미국 EDS사 지표별 전개수준 및 향후전망 75 제4장 결론 제1절 한국 S사ㆍ미국 EDS 자기주도 학습 비교 정리 85 1. 10가지 지표를 통해서 본 두 기업 특징 비교 85 2. 전반적인 교육과 훈련에 대한 비교 88 제2절 국내 현장 정착을 위한 정책제언 89 SUMMARY 93 <부록 1> 1차 S사 현장방문 토론결과 103 <부록 2> S사 자기주도 학습 지표 설문 105 <부록 3> 사원들의 SDL 도구들 (5) 관련 질문 109 <부록 4> EDS 자기주도 학습 질문 114 <부록 5> Questionnaire for EDS from K 120 <부록 6> Questionnaire for EDS from W 130 <부록 7> 2nd Round Questionnaire for EDS from K 139 <부록 8> S사의 정보화 시스템 - mySingle 146 <부록 9> EDS의 JASON 프로젝트 149 참고문헌 151 약어 157
본 연구는 사원들의 자기주도 학습 활동과 특정 기업에서의 업무수행력 제고 간에 적합성을 추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여, 개발된 지표를 기업 내 사례연구에 적용하여 자기주도 학습이 산업현장에 이상적인 학습방법이라는 것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주요내용으로 자기주도 학습과 산업현장 적합성의 이론적 배경을 논의하고, 자기주도 학습의 산업현장적합성 수준을 분석하는 데 활용할 10개의 기업 내 자기주도 학습 지표들을 개발하고, 이를 국내와 미국의 두 개의 IT 서비스 업체를 선정하여 위 지표들을 통해 실제 자기주도 학습 수준과 취약 영역 그리고 우수 영역을 비교분석한다. 연구대상으로 현대사회에서 가장 앞서가는 분야인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산업체를 연구대상으로 선정 하였고, 한국과 미국 두 개의 대기업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 주요 내용 - 자기주도 학습과 산업현장적합성 이론 - 미국과 한국의 자기주도 학습 사례연구 - 미국과 한국의 자기주도 학습 비교 정리 - 국내 현장 정착을 위한 정책제언
This study aims to compares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at both global enterprises, Company S. Korea and Company E, USA and small and medium firms, one in S Korea and one in USA. In the process, it presents a practical action plan for firm-specific team leaders’ and employees’ estimating degree of goodness-of-fit (GOF) of corporate self-directed learning(SDL) being undertaken within their firms. It also draw policy alternatives for upgrading GOF of Korea’s corporate SDL based on analysis of comparative studies of corporate SDL in USA and South Korea. HRD paradigm shift emphasizing lifelong-learning rights prioritizes individual’s learning style, learning performance outcome, and organization’s provision of learning incentives and network system. In this context, transformation of existing enterprises into lifelong-learning ones is encouraged. Lifelong learning system at work is facilitated by Korean government to be an on-going-processed one, rather than one time or temporary event-typed activity, where efficient linkage between individual lifelong learn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capacity enhancement need to be ensured. In sum, goodness of fit between SDL and corporate business performance becomes a focus of this study. ...
<표 Ⅰ-1> 현장방문 및 자문회의 장소 및 일시․7 <표 Ⅱ-1> 자기체크 매트릭스․23 <표 Ⅱ-2> SDL 학습계약 실행도․23 <표 Ⅱ-3> 지표개발 근거․26 <표 Ⅱ-4> 기업 자기주도 학습의 10 지표․30 <표 Ⅲ-1> 경력/역량 개발 가이드․40 <표 Ⅲ-2> S사 6대 역량모델․41 <표 Ⅲ-3> S사의 단계별 지식경영 전략․44 <표 Ⅲ-4> EDS 임원 리스트․57 <표 Ⅲ-5> IT 자격증 종류․65 <표 Ⅲ-6> 지식경영활동․74 <표 Ⅳ-1> 두 기업 지표별 비교․85 <표 Ⅳ-2> S사와 EDS 10가지 지표를 통한 자기주도 학습의 공통점과 차이점․87 [그림 Ⅰ-1] 자기주도 학습과 산업현장적합성 연구의 절차․6 [그림 Ⅱ-1] 자기주도 학습 과정․19 [그림 Ⅱ-2] 자기주도 학습 구도 요약․20 [그림 Ⅱ-3] 자기주도 학습 순환도․22 [그림 Ⅱ-4] 자기주도 학습실행 개념지도․23 [그림 Ⅲ-1] 표준 성장경로․39 [그림 Ⅲ-2] 마이싱글 네트워크․42 [그림 Ⅲ-3] 지식경영 활동조직․46 [그림 Ⅲ-4] 개인발전계획․67 [그림 Ⅲ-5] Thomson NETg 예․72 [그림 Ⅲ-6] 지식자본경영모델․7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자기주도 학습과 산업현장 적합성 | 2006.06.01~2006.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