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Basic Research for Development of the KRIVET Job Prospect Index
저자
한상근 박천수 정윤경 최동선 김기헌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4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6.12.31
등록일
2006.12.31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3
 제3절  연구의 방법 5
   1. 문헌조사 5
   2. 전문가 의견조사 5
   3. 전문가 네트워크의 구축 5
   4. 연구의 구성체계 6
 제4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6
 제5절  용어의 정리 7
   1. 지표 7
   2. 직업전망 8
   3. 직업전망 지표 8
제2장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개념 탐구
 제1절  국내외 선행연구 11
   1. 유망직업에 대한 논의 12
   2. 전문직에 대한 논의 17
   3. 좋은 일자리(good job)에 대한 논의 18
 제2절  직업전망 지표 개념의 정립 21
   1. 직업전망 지표의 범주 구성 22
   2. 직업전망 지표의 세부 지표 24
제3장  직업전망 지표 관련 연구사업과 데이터
 제1절  직업조사 29
   1. 인구 및 기초통계 조사 29
   2. 고용구조 조사 33
   3. 중소기업 및 소규모사업체 실태조사 39
   4. 산업별 인력동향 조사 44
   5. 기타 51
   6. 통계조사 요약 57
   7. 시사점 59
 제2절  직업전망 지표 관련 데이터 61
   1. 임금 61
   2. 종사자 수 64
   3. 고용안정 68
   4. 근무여건 74
   5. 직무만족 76
   6. 사회적 지위 및 직업위세 77
   7. 직업전망 기대 79
   8. 종합 및 시사점 80
제4장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제1절  전문가 의견조사의 개요 87
   1. 조사 목적 및 방법 87
   2. AHP 기법 88
   3. 전문가 의견조사의 대상자 90
 제2절  제1차 전문가 의견조사 93
   1. KRIVET 직업전망 지표 시안의 구성 93
   2. 제1차 전문가 의견조사의 결과 95
   3. KRIVET 직업전망 지표 시안의 수정 97
 제3절  제2차 전문가 의견조사 101
   1. 수정된 KRIVET 직업전망 지표 101
   2. 제2차 전문가 의견조사의 결과 103
제5장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전문가 네트워크 운영방안
 제1절  전문가 네트워크의 의의 113
 제2절  전문가 네트워크의 구축 및 운영 115
   1. 전문가 네트워크의 인력 확보 115
   2. 전문가 네트워크의 구성 및 운영 117
   3. 직능원 내 지원체제 119
제6장  결론: 직업전망 지표 연구의 향후 과제
SUMMARY 127
<부록 1> 제1차 전문가 의견조사 설문지 135
<부록 2> 제2차 전문가 의견조사 설문지 141
<부록 3> [보론] 독일의 ‘숙련수요 조기인식(Fruherkennung derQualifikationserfordernissen)’ 전략 150
<부록 4> 직업관련 각종 연구사업의 조사표 175
<부록 5> 직업관련 주요 데이터 188
참고문헌 209
  좋은 일자리(good job)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해서는 다양한 대답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의 실태와 미래 전망을 보여줄 수 있는 종합적인 직업전망 지표를 조사 하였다.
  직업전망 지표의 항목을 추출하여 확정하고, 각 항목 간 상대적 중요성을 확인한 후 가중치 를 산정하기 위하여 직업 ·고용·취업 관련 연구자 및 실무자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크게 7가지의 측면에서 직업을 평가해야 좋은 일자리인지 아닌지 확인이 가능 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직업을 평가할 수 있는 7가지 요소는 보상, 고용전망, 고용 안정, 발전가능성, 근무여건, 직업전문성, 고용평등 등이다. 
  ○ 주요 내용
   -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개념 탐구
   - 직업전망 지표 관련 연구사업과 데이터
   -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전문가 네트워크 운영방안
   - 직업전망 지표 연구의 향후 과제
  Recently, the demand for information on changes in the job market is on the increase, and in particular, information on promising jobs in the future is in high demand. 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various media and relevant institutions have rushed to publish information on a variety of promising jobs. Unfortunately, this has mostly led to more confusion among job-seekers when they are selecting their career path. The reason for this confusion is that different criteria are used in different surveys, when selecting promising job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seeks to develop a job prospect index, which will serve as preparatory work for a reliable annual prospect index on major jobs. The idea of a job prospect index is to survey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lements of Korea's job market, so as to provide reference data that will guide job-seekers. In other words, the index is a comprehensive indicator put together by selec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lements that can show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 of Korea's major jobs, and doing research on them on a regular basis in order to offer a reference guide to youngsters selecting a career path and job hunters looking for their first job or changing their current job.
  The main tasks of the research on the job prospect index after next year will be to form a network that could make a prospect for certain jobs or explain each job's characteristics.  This network will consist of 1) researchers on employment and hiring, 2) experts at job centers and private employment agencies, 3) staff in charge of HR and training at companies, 4) incumbents working in the field, 5) relevant parties from associations representing each industry and each job, and finally, 6) relevant professors and researchers. Through this network of experts, opinions on the job prospect should be surveyed. Furthermore, opinions on a variety of issues related to job research should be collected continuously.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a detailed method and strategy in establishing this network among experts.
...
<표 Ⅱ-1>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직업(2004 / 2014)․12
<표 Ⅱ-2> 가장 많이 성장하는 직업(2004/2014)․13
<표 Ⅱ-3> 가장 많은 인력채용이 이루어진 직업(2004)․14
<표 Ⅱ-4> 평균임금이 가장 높은 직업(2004)․15
<표 Ⅱ-5> 미국의 50대 좋은 직업(2006)․16
<표 Ⅱ-6> 좋은 일자리의 구성요소와 측정방법․20
<표 Ⅲ-1> IT 기술의 분류체계․49
<표 Ⅲ-2> IT 직업의 분류체계․50
<표 Ⅲ-3> 통계조사 비교표․57
<표 Ⅲ-4> 한국고용직업분류 중분류별 월평균 임금․62
<표 Ⅲ-5> 한국고용직업분류 중분류별 종사자 수․66
<표 Ⅲ-6>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서의 비정규 근로자 유형․70
<표 Ⅲ-7> 비정규직의 규모 및 변화 추이․72
<표 Ⅲ-8>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에서의 비정규직의 규모 및 변화 추이․73
<표 Ⅲ-9> 직업전망 지표 항목별 관련 데이터․82
<표 Ⅳ-1> AHP 기법을 활용한 주요 선행연구․91
<표 Ⅳ-2> 전문가 집단의 분포․92
<표 Ⅳ-3> KRIVET 직업전망 지표의 시안항목․94
<표 Ⅳ-4> 1차 조사 평가영역별 분석결과․95
<표 Ⅳ-5> 1차 조사 세부항목별 분석결과․96
<표 Ⅳ-6> 수정된 평가영역에 대한 설명․98
<표 Ⅳ-7> 1차 조사결과에 따른 평가준거 수정사항 종합․99
<표 Ⅳ-8> KRIVET 직업전망 지표의 세부항목과 설명 수정안․101
<표 Ⅳ-9> 제2차 전문가 조사 설문 문항의 예시․103
<표 Ⅳ-10> KRIVET 직업전망 지표의 평가영역에 대한 집단별 가중치․104
<표 Ⅳ-11> KRIVET 직업전망 지표의 세부항목에 대한 국지적 가중치․106
<표 Ⅳ-12> KRIVET 직업전망 지표의 세부항목에 대한 복합 가중치․107
<표 Ⅳ-13> KRIVET 직업전망 지표에 대한 집단별 가중치 우선순위․108
<표 Ⅳ-14>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현직자 대상 조사방식에 대한 의견․110
<표 Ⅳ-15> 직업전망 지표의 대상직업 수에 대한 의견․110
<표 Ⅳ-16> 개별 직업의 직업전망 지표 평가자에 대한 의견․111
<표 Ⅳ-17> 직업전망 지표 평가결과의 발표방식에 대한 의견․112
[그림 I-1] 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구성체계․10
[그림 Ⅲ-1]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의 내용모형과 업무환경 하위 영역․76
[그림 Ⅳ-1] 직업전망 지표의 조사․발표 주기에 대한 의견․109
[그림 Ⅴ-1] 직업전망 지표의 생성과정․114
[그림 Ⅴ-2]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방안․115
[그림 Ⅴ-3] 직업전망 지표 개발팀 조직(안)․120
[그림 Ⅵ-1] 전문가 네트워크 구성도․12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2006.07.01~2006.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