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평생학습사회 만들기: 교육에서 학습으로

Building a Lifelong Learning Society: from Education to Learning
저자
박세일 김승보 박정수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4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7.02.28
등록일
2007.02.28
발간사
[제1부  평생학습의 의의와 실천전략]
 제1장  국가 선진화와 평생학습 3
   제1절  왜 선진화인가? 3
   제2절  어떻게 선진화할 것인가? 6
   제3절  노동시장과 교육제도의 미스매치(mismatch) 10
   제4절  21세기 노동시장의 3대 변화 11
   제5절  평생학습사회의 기본방향 15
   제6절  21세기 위험사회(risk society)의 등장 18
   제7절  [평생학습-평생고용-평생복지] 종합전략: 3각 관리망 20
 제2장  사람중심 발전 패러다임과 평생학습사회 구축 25
   제1절  새로운 현실과 도전 26
   제2절  왜 사람중심 패러다임인가? 32
   제3절  총체적 학습사회의 구현전략과 과제 42
   제4절  맺음말 47
 제3장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실천전략 - 파편화에서 통합화로 - 51
   제1절  평생학습사회 실현의 실천적 의의 51
   제2절  평생학습 파편화의 맥락과 문제점 55
   제3절  통합적 평생학습 실현을 위한 원칙과 방향 70
   제4절  통합적 평생학습을 위한 실천 전략 75
[제2부  평생학습의 해외 동향과 시사점]
 제4장  미국의 평생교육과 평생학습 85
   제1절  서론 85
   제2절미국의 평생학습 실태 - 전국 가구 교육 실태 조사(National Household Education Surveys) 91
   제3절  미국 대학의 발전에 비쳐본 평생교육 98
   제4절  노동자의 직장교육과 훈련 106
   제5절  정부의 역할 111
   제6절  결론 115
 제5장  최근 OECD와 유럽의 평생학습 정책 동향 121
   제1절  1990년대 이후 새로운 평생학습 패러다임의 등장과 그 배경 121
   제2절  1990년대 이후 OECD의 평생학습 정책 동향 123
   제3절  1990년대 이후 유럽연합과 유럽 국가들의 평생학습 정책 동향 130
 제6장  국제기구의 평생학습 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 147
   제1절  국제개발원조기구와 평생교육 147
   제2절  평생학습의 필요성과 특징 149
   제3절  교육훈련기관의 변화 151
   제4절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내용: 지식과 능력 153
   제5절  평생학습과 교육방법 154
   제6절  평생학습제도의 지배관리체제(Governance) 159
   제7절  평생학습제도의 재정 162
   제8절  평생교육제도의 전망과 과제 163
[제3부  평생학습 지원체제의 개혁과제]
 제7장  평생학습 참여 실태 분석 169
   제1절  평생학습 참여 기회의 제약 170
   제2절  평생학습 참여 기회의 불균등 173
   제3절  평생학습 참여의 경제적 성과 182
   제4절  평생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184
 제8장  평생학습제도의 발전과정과 과제 189
   제1절  평생학습제도의 형성 190
   제2절  평생학습 제도의 성립 194
   제3절  평생교육 제도의 진단 195
   제4절  평생학습체제로의 전환 208 
 제9장  평생학습 재정체계의 현황과 과제 213
   제1절  서론 213
   제2절  평생학습 재정 현황 218
   제3절  현안과제 230
   제4절  결론 236
 제10장  평생교육법과 평생교육 행정의 쟁점과 과제 - 평생교육법과 인적자원개발기본법 개정을 중심으로 - 241
   제1절  문제제기의 배경 241
   제2절  평생교육법과 인적자원개발기본법 시행 244
   제3절  평생교육법과 인적자원개발기본법 개정안 비교 249
   제4절  쟁점 및 과제 255
 제11장  평생학습 지원체제로서의 이러닝 261
   제1절  평생학습 관점에서 조망한 이러닝의 개념 261
   제2절  평생학습 지원체제로서의 해외 이러닝의 동향 262
   제3절  정보 격차와 e-평생학습: 소외계층의 정보접근성 및 활용성의 공정성 제고 271
   제4절  고등평생학습으로서의 사이버 대학 275 
   제5절  평생학습 수혜자 확대를 위한 이러닝 도입 282
   제6절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는 이러닝 284
[제4부  평생학습 기관들의 실천과제]
 제12장  학교교육과 평생학습 291
   제1절  서론 291
   제2절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열린 평생학습사회의 등장 292
   제3절  학교교육의 평생학습 현황 297
   제4절  학교교육의 평생학습 현안 304
   제5절  결론 308
 제13장  직업교육기관의 평생학습 기능 강화 311
   제1절  머리말 311
   제2절  직업교육기관 및 평생학습 제도 현황 312
   제3절  직업교육기관의 평생학습 관련 문제점 325
   제4절직업교육기관의 평생학습 기능 활성화 방안: 성인 학습의 직업적유용성 제고를 중심으로 329
   제5절  맺음말 339
 제14장  직업훈련기관과 평생학습 343
   제1절  서론 343
   제2절  직업훈련 추진현황과 문제 344
   제3절  공공직업훈련의 특징과 운영실태 352
   제4절  민간훈련기관의 운영실태 및 문제점 359
   제5절  결론 362
 제15장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평생학습 365
   제1절  서론 365
   제2절  지역인적자원개발과 평생학습의 이론적 분석 366
   제3절  평생학습 및 지역인적자원개발 현황 및 문제점 376
   제4절  정책 제언 383
 제16장  대학 교직원의 평생학습 389
   제1절  대학교육의 상황 분석 389
   제2절  대학교직원 역량개발의 필요성 392
   제3절  교직원 개발의 국내ㆍ외 동향 394
   제4절  교직원 개발에 대한 요구 분석 399
   제5절  방향과 과제 409
  본 연구는 평생학습사회의 비전이야말로 사회 각 부문의 혁신역량을 창출하고 평생고용-평생복지의 사회안전망을 건설하며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데에 있어서 중심 전략으로서 위치가 있다는 판단 아래 평생학습과 관련한 전반적인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고찰하고 있다. 또한 평생학습사회의 구현은 우리사회 교육개혁이 종국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의미하는 동시에 교육개혁을 실현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으로서도 큰 의의가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평생학습을 논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제1부에서는 평생학습이 우리 사회에서 제기하는 역사적 의의 및 평생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차원의 개괄적인 방향을 제기하고 있으며, 제2부에서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평생학습의 동향과 시사점, 그리고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 차원에서의 최근 논의 등을 다루고 있다. 제3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평생학습이 발전해 온 구체적인 경로와 현재적 모습을 행정·재정·법제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아울러 전반적인 참여 실태와 평생학습에서 중요한 키워드로 제기되는 e-Learning 문제를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4부에서는 초·중등학교, 대학, 직업교육 및 직업훈련기관 등 현장 단위의 주요 기관과 지역 단위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이 구체적으로 운용되는 현실과 평생학습사회를 만들기 위한 실천적 과제 그리고 향후 극복방향 등을 개별적으로 구체적 차원에서 고찰하고 있다.
<표 Ⅰ-1> 성장요인 분해 및 전망․28
<표 Ⅰ-2> 사람중심 발전패러다임․36
<표 Ⅱ-1> 미국 평생학습의 실태․92
<표 Ⅱ-2> 세계은행의 평생교육 관련 문헌․148
<표 Ⅱ-3> 전통적인 교육과 평생교육의 차이․155
<표 Ⅲ-1> 평생학습 참여율․176
<표 Ⅲ-2> 직업훈련 참여율․177
<표 Ⅲ-3> 평생학습(직업훈련) 참여 여부에 대한 프라빗 모형의 추정(전체)․180
<표 Ⅲ-4> 평생학습(직업훈련) 참여 여부에 대한 프라빗 모형의 추정(취업자)․180
<표 Ⅲ-5> 평생학습(직업훈련) 참여여부에 대한 프라빗 모형의 추정(임금근로자)․181
<표 Ⅲ-6> 평생학습 참여의 경제적 성과(소득 증대에 대한 도움 정도)․183
<표 Ⅲ-7> 성인학습의 공동 부담 제도․206
<표 Ⅲ-8> 인적자원개발의 목적과 개념요소․216
<표 Ⅲ-9> 각 부처별 2006년도 평생교육 예산․219
<표 Ⅲ-10> 2006년 인적자원개발 예산․222
<표 Ⅲ-11> 부처별 2006년 인적자원개발 예산․222
<표 Ⅲ-12> 연도별 직업능력개발사업 재정지원 현황․226
<표 Ⅲ-13> 중소기업훈련컨소시엄 훈련실적 현황․227
<표 Ⅲ-14> IT 인력개발 사업의 규모․228
<표 Ⅲ-15> 평생학습 참여율 국제비교․228
<표 Ⅲ-16> 해외 국가 평생학습 재정․229
<표 Ⅲ-17> 교육부의 평생교육예산내역․230
<표 Ⅲ-18> 교육 분야 국가재정운용계획․232
<표 Ⅲ-19> 평생교육법과 인적자원개발기본법안 비교․251
<표 Ⅲ-20> 국제기구의 이러닝 추진 현황․266
<표 Ⅲ-21> 각 국의 이러닝 추진 현황 요약․270
<표 Ⅲ-22> 인터넷 이용용도별 이용률․273
<표 Ⅲ-23> 사이버 대학의 연령별 등록생 분포 비율․276
<표 Ⅲ-24> 사이버 대학의 학력별 등록생 분포 비율․276
<표 Ⅲ-25> 사이버 대학의 직업별 등록생 분포 비율․277
<표 Ⅲ-26> 사이버 대학의 교육과정 분석․278
<표 Ⅲ-27> 사이버 교육의 성공요인․281
<표 Ⅵ-1> 2004년도 방송통신고등학교 현황․298
<표 Ⅵ-2> 2004년도 방송통신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상급학교 진학 현황․299
<표 Ⅵ-3> 학력인정 평생교육 시설학교의 현황․300
<표 Ⅵ-4>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의 재학생 및 졸업생 현황․301
<표 Ⅵ-5> 학교에서의 진로교육 경험여부․303
<표 Ⅵ-6> 학교의 직업능력 향상 추진계획․304
<표 Ⅵ-7>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305
<표 Ⅵ-8> 방송통신고등학교 잠재수요자 현황․306
<표 Ⅵ-9> 전문대 학생 현황․313
<표 Ⅵ-10> 전문대와 4년제 졸업자의 대기업 취업 비중․314
<표 Ⅵ-11> 전문대 신입생 지원율 및 등록률 추이․314
<표 Ⅵ-12> 산업대 주현황․315
<표 Ⅵ-13> 산업대 졸업자의 취업률․315
<표 Ⅵ-14> 기능대학 및 직업전문학교의 한국폴리텍 대학으로의 개편 상황․317
<표 Ⅵ-15> 학점은행제 학습자 등록 추이․320
<표 Ⅵ-16> 학점은행제 학습자 등록 시 최종학력․320
<표 Ⅵ-17> 원격대학 등록 추이․321
<표 Ⅵ-18> 대학별 고용보험환급 교육훈련 현황․326
<표 Ⅵ-19> 직업능력개발 지원현황(2000~2005년)․346
<표 Ⅵ-20> 규모별 직업능력개발훈련지원 사업장 구성비․347
<표 Ⅵ-21> 중소기업 컨소시엄 연도별 훈련실적․348
<표 Ⅵ-22> 규모별 유급휴가 지원사업장 구성비․349
<표 Ⅵ-23> 근로자학자금 대부 지원현황․351
<표 Ⅵ-24> 직종별 실업자재취업훈련 분포․352
<표 Ⅵ-25>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 현황․360
[그림 Ⅰ-1] 양적 구조조정과 구성의 오류․34
[그림 Ⅰ-2] 혁신주도형 경제의 인적자원상(像)․37
[그림 Ⅰ-3] 총체적 학습사회로의 이행․42
[그림 Ⅰ-4] 한국과 미국의 2년제 대학 성인연령 비율 비교․60
[그림 Ⅱ-1] 성인 평생교육과 훈련 참여도(1994-1998)․97
[그림 Ⅱ-2] 성인 평생교육과 훈련 평균 시간(1994-1998)․98
[그림 Ⅲ-1]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 국제 비교․170
[그림 Ⅲ-2] 근로자 직무관련 훈련참여율․171
[그림 Ⅲ-3] 노동비용 대비 교육훈련비 비중․172
[그림 Ⅲ-4] 주요국 교육예산 대비 평생교육 예산 비중․173
[그림 Ⅲ-5] 인터넷 이용률 및 이용자수 변화추이(1999-2004)․272
[그림 Ⅵ-1] OECD 미래의 학교모습 시나리오․296
[그림 Ⅳ-2] 최근 3년간의 대학행정/경영 관련 연수 프로그램 이수 경험․400
[그림 Ⅳ-3] 최근 이수한 내용의 만족도․400
[그림 Ⅳ-4] 보직담당 교수들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401
[그림 Ⅳ-5] 보직담당 교수들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응답자 전체)․401
[그림 Ⅳ-6] 대학행정직원들이 필요로 하는 지식․402
[그림 Ⅳ-7] 교직원 연수에 도움이 되는 교과목․403
[그림 Ⅳ-8] 대학행정/경영전문가 양성프로그램운영에서 이론과 실제 비중의 적절도․403
[그림 Ⅳ-9] 대학행정/경영전문가 양성프로그램운영 대상자 확보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404
[그림 Ⅳ-10] 대학행정/경영전문가 개발 프로그램 운용에서 중요한 것․405
[그림 Ⅳ-11] 이수하고 싶은 연수 프로그램․405
[그림 Ⅳ-12] 이수하고 싶은 연수 프로그램․406
[그림 Ⅳ-13] 대학행정/경영전문가 양성/개발 프로그램 참여 의향(1주일 과정)․406
[그림 Ⅳ-14] 대학행정/경영전문가 양성/개발 프로그램 참여의향(6개월 과정)․407
[그림 Ⅳ-15] 대학행정/경영전문가 양성/개발 프로그램 참여의향(2박3일 과정)․407
[그림 Ⅳ-16] 대학행정/경영전문가 양성/개발 프로그램 참여의향(석사과정)․408
[그림 Ⅳ-17] 대학행정/경영전문가 양성/개발 프로그램 참여의향(박사과정)․40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평생학습사회 만들기:교육에서 학습으로 2006.08.28~2007.02.28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