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가인적자원개발 사업평가를 위한 BSC기반 ROI분석 시스템 개발 연구: 평가지표분류 및 분석을 중심으로

The BSC Based ROI Analysis System for the Nation-wide HRD Projects Evaluation
저자
이성 한준상 백일우 장원섭 김소영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4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7.02.28
등록일
2007.02.28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국가인적자원개발사업 평가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국가인적자원개발사업 평가연구의 목적 5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Balanced Scorecard(BSC)모형 개관 9
 제2절  Return on Investment(ROI)분석 개관 36
 제3절  국가인적자원개발 평가에 대한 시사점 49
제3장  국가인적자원개발사업 평가를 위한 자료 분석 방법
 제1절  분석 개요 55
 제2절  분석 자료 58
 제3절  분석 방법 63
제4장  국가인적자원개발사업 평가를 위한 자료 분석 결과
 제1절  BSC 모형의 관점별 지표분류 결과 69
 제2절  자료 분석 결과 79
 제3절  시사점 100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103
 제2절  제언 106
SUMMARY 109
참고문헌 111
  본 연구는 국가인적자원개발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공부문(Public-sector)에 대한 균형성과관리(Balanced Scorecard:BSC)의 전략과 네 가지 기본 관점(재무관점, 고객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 관점)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더 나아가 공공부문 평가의 실효성을 강조하기 위해 투자수익률(ROI) 분석방법을 공공부문 평가에 결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이는 공공부문이 지니는 공익성으로 인하여 간과될 수 있는 인적자원개발 사업의 재무적 성과를 더욱 강조하고, 객관적 평가를 통해 성과를 금전적 가치로 전환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것이엇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국가 인적자원개발 사업의 실증적 평가가 가능할 정도의 분석 자료는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BSC 모형과 ROI 분석방법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통하여 국가 인적자원개발 사업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현 국가인적자원개발 사업에 대한 지표 분류와 분석을 통하여 인적자원개발 사업의 우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들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ROI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통계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 주요내용
   - 국가인적자원개발사업 평가연구의 목적
   - Balanced Scorecard(BSC)모형
   - 국가인적자원개발사업 평가를 위한 자료 분석 방법
   - BSC 모형의 관점별 지표분류 결과
  This study was initiated to find a way of evaluating the results of nation-wide project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RD) in Korea. It has bee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valuating the outcomes of nation -wide HRD projects in terms of public-interest and monetary value to establish the future direction of the HRD policy. The agreement on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has been also expanded from private sector to public sector. However, it has not been easy to conduct the evaluation for nation-wide HRD projec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ector such as macro perspective and intangible aspect of it. Therefore, the evaluators need a more structured and systematic way of assessing the outcomes of nation-wide HRD proje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mploy both BSC strategy and ROI analysis and combine them as the effective way of evaluating the current nation-wide HRD project in a more systematic way. The four perspectives-financial, customer, internal process and learning & growth- in the Balanced Scorecard strategy were employed to identify the indexes for the HRD project evaluation. The discriminant analysis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influential indexes among the indexes that were identified through the BSC model in evaluating the excellence in HRD. The ROI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valuating the monetary value of the HRD projects. The ROI analysis should not be ignored in the case of nation-wide HRD projects to emphasize more on the monetary value of the outcom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accumulated data for the evaluation research yet and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more support for the evaluation research. The investigation based on the BSC model indicated that the evaluators focused on the indexes that could be categorized as internal process and learning & growth. However, the evaluators need to develop indexes falling into the categories of financial and customer perspectives in the future.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statistical model, which can be used for the future research of the BSC based ROI analysis model,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
<표 Ⅱ-1>  선행지표와 후행지표(Niven, 2003에서 재구성)․12
<표 Ⅱ-2>  BSC의 네 가지 관점과 측정지표 예시․19
<표 Ⅱ-3>  ROI와 국가인적자원개발사업 평가의 관점․40
<표 Ⅲ-1>  BSC의 각 관점 별 측정지표 예시(Niven, 2003 재구성)․64
<표 Ⅳ-1>  자체평가 공통항목 평가지표의 BSC 관점에 따른 분류․71
<표 Ⅳ-2>  자체평가 유형별 항목 평가지표의 BSC 관점에 따른 분류․72
<표 Ⅳ-3>  BSC 관점에 따른 인적자원개발사업 평가지표의 분류․74
<표 Ⅳ-4>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 심사지표의 BSC 관점에 따른 분류․75
<표 Ⅳ-5>  BSC 관점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 사업 평가지표의 분류․78
<표 Ⅳ-6>  전문가 집단(n=10)이 판단한 중요도에 따른 지표 순위․80
<표 Ⅳ-7>  실무자 집단(n=143)이 판단한 중요도에 따른 지표 순위․82
<표 Ⅳ-8>  전문가와 실무자 집단이 판단한 세부 지표의 순위 비교․84
<표 Ⅳ-9>  paired t-test 결과․88
<표 Ⅳ-10>  이원분산분석 결과․89
<표 Ⅳ-11>  기술통계 분석 결과 (가중치를 부여한 자료)․96
<표 Ⅳ-12>  기술통계 분석 결과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은 자료)․97
<표 Ⅳ-13>  설명변수별 집단 간 차이 분석표(가중치를 부여한 자료)․97
<표 Ⅳ-14>  설명변수별 집단 간 차이 분석표(가중치를 부여하지 않은 자료)․97
<표 Ⅳ-15>  표준화된 판별함수의 계수․98
[그림 Ⅱ-1]  BSC의 개괄적 모형․11
[그림 Ⅱ-2]  고객 시각-핵심측정지표(Kaplan & Norton, 2002)․15
[그림 Ⅱ-3]  내부프로세스 가치사슬 모형(Kaplan & Norton, 2002)․16
[그림 Ⅱ-4]  학습 및 성장 측정의 기본 틀(Kaplan & Norton, 2002)․17
[그림 Ⅱ-5]  공공 및 비영리 부문을 위한 BSC(Niven, 2005에서 재구성)․20
[그림 Ⅱ-6]민간 부문 조직과 공공 및 비영리 조직의 가치흐름의 차이(Kaplan & Norton, 2004에서 재인용)․22
[그림 Ⅱ-7]  인적자원개발 분야에서의 ROI모형 발달 개관․37
[그림 Ⅱ-8]  영리기업과 공공부문을 위한 BSC 비교․52
[그림 Ⅲ-1]  분석대상이 된 자료(지표)의 구조도․6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국가인적자원개발 사업 평가를 위한 BSC 기반 ROI 분석 시스템 개발 연구 2006.09.08~2007.02.28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