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특성화지도 구축·운영방안

Operation of Information Mapping System for University
저자
정태화 박동열 박천수 박동 김미란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4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7.05.31
등록일
2007.05.31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과 절차 4
   1. 연구의 내용 4
   2. 연구의 절차 6
 제3절 연구 방법 8
   1. 관련자료 분석 8
   2. 전문가협의회 개최 9
   3. 설문조사 9
   4. 정책토론회 개최 10
제2장 대학특성화 관련 재정지원사업 현황 및 대학별 특성화 현황 분석
 제1절 대학특성화 관련 재정지원사업 현황 11
   1. 대학특성화 관련 대학 재정지원사업의 일반적 현황 11
   2. 대학특성화 관련 부처별 사업 현황 16
 제2절 지역전략산업과 대학별 특성화 현황 분석 30
   1. 지역전략산업의 개념과 선정 현황 30
   2. 대학특성화에 대한 대학의 인식 분석 39
 제3절 시사점 78
제3장 대학특성화 분류체계 및 운영체제 요구 조사
 제1절 대학특성화 분류체계 81
   1. 분류원칙 83
   2. 특성화 산업분류 83
   3. 학과분류와 학문분류 94
   4. 지역전략산업과 기타 분류코드 99
   5. 분류체계가 대학특성화지도 구축에 주는 시사점 101
 제2절 대학특성화지도 구축 운영에 관한 요구 조사 분석 결과 102
   1. 응답자의 일반적 현황 104
   2. 대학특성화지도 구축 운영에 대한 인식 106
   3. 특성화 영역 및 정보 요소 108
   4. 기존 사이트 활용 경험 여부 및 만족도 111
   5. 대학특성화지도 정보 인식 114
   6. 대학특성화지도 활용의 장점과 건의사항 116
제4장 대학특성화지도 구축 운영방안
 제1절 대학특성화지도 정보 관리 및 화면 구성 개발 119
   1. 대학특성화지도 개발 방향 119
   2. 대학특성화지도 정보 관리 체계 122
   3. 대학특성화지도 화면 구성 체계 125
 제2절 대학특성화지도 운영 목표와 방향 165
   1. 대학특성화지도 운영 목표 165
   2. 대학특성화지도 운영 방향 166
   3. 대학특성화지도의 정보 체제 구축 166
   4. 정보의 신뢰성 확보 방안 167
   5. 사업 추진 일정 172
제5장 정책 제언
SUMMARY 185
<부록 1> 2005년도 6개 부처 대학특성화 재정지원사업 현황 191
<부록 2> 대학특성화 정보 분류체계 참고자료 219
<부록 3> 대학특성화지도 구축 운영을 위한 요구 조사 설문지 234
<부록 4> 대학특성화지도 구축 운영방안 연구 정보화전략계획(ISP) 보고 259
참고문헌 537
  대학의 특성화 추진 현황을 전국적·지역적 차원에서 일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보유통 체계인 '대학특성화지도'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는 정부의 대학특성화관련 재정지원사업의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관리 및 정보 제공과 실질적인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대학특성화별 산학협력 정보 공유를 그 목적으로 한다.
  '대학특성화지도'란 "대학의 기능별·분야별 특성화 추진 현황을 전국적·지역적 차원에서 일괄 확인할 수 있도록 특성화 관련 정보를 학생·학부모, 기업, 관련 부처, 대학에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뜻한다.
  대학특성화지도의 구축·운영은 단기적으로는 국내 대학의 경쟁력 강화 촉진에 기여하는 사업으로 추진하되, 장기적으로는 '외국 유학생의 유치'와 '지역대학과 외국 산업체의 산학협력 촉진 가능성 제고' 등을 위한 사업으로 추진함을 밝힌다.
  ○ 주요내용
   - 대학특성화 관련 재정지원사업 현황 및 지역전략산업과의 관계 분석
   - 대학특성화 분류체계 및 운영체제 요구 조사
   - 대학특성화지도 구축·운영 사업 목표 및 내용과 방향 설정
   - 대학특성화지도 사업 추진 체계 구축 및 관련 지원 법령 제·개정
   - 대학특성화 분야별 해외 네트워크 구축
Higher education in Korea has set its sights beyond quantitative expansion to qualitative growth by securing global competitiveness and superiority. The government's recent 'Policy to Promote University's Comparative Edge' is a strategic measure to realize such educational goals.
Promoting university's comparative edge refers to the process of ascertaining the educational areas and functions(research/education) tha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o a comparative edge over those of other universities in reference to the universities' self development plans.  Re-allocating the resources within the university by creating an appropriate environment to pursue development of comparative edge through restructuring can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and ultimately enhance its competitive edge.
This study serves as a basis for the determination of each university's current status and strategies and the required performance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omparative edge in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map(Information Mapping System). The establishment and the operation of this map will enable higher efficiency in developing comparative edge  and increase the efficacy of the policy by revealing the performance level of this operation to universities as well as compani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seeks to design the virtual system with the purpose of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comparative edge at universities, to set the direction of the map operation and to suggest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actual establishment. 
Designing of the virtual system for the creation of the map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stages: (1) set up categorization criteria for information relevant to development of comparative edge, (2) establish companies, students, parents, universities and government agencies as potential map users and conduct surveys regarding the demand for information, (3) develop the technological framework for the map system and create the screens of the web site, and (4) create a network between the system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omparative edge. The essential element of the system design would be the '22 comparative edge indexes' of universities(10 core indexes and 12 selective indexes) and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universities, and it may also include the result of long-term deliberations and evaluations.
...
<표 Ⅱ-1> 정부부처별 대학 재정지원사업 현황․12
<표 Ⅱ-2> 지역혁신 관련 사업 현황․15
<표 Ⅱ-3> 2007년도 대학특성화지표 시범적용사업 현황․17
<표 Ⅱ-4> 정부 6개 부처 6개 사업의 사업수 및 예산규모․18
<표 Ⅱ-5> 대학별 6개 정부부처 재정지원 현황․19
<표 Ⅱ-6> 6개 정부부처 재정지원 빈도의 지역별 현황(1)․26
<표 Ⅱ-7> 6개 정부부처 재정지원 빈도의 지역별 현황(2)․27
<표 Ⅱ-8> 6개 정부부처 재정지원 규모의 지역별 현황(1)․28
<표 Ⅱ-9> 6개 정부부처 재정지원 규모의 지역별 현황(2)․29
<표 Ⅱ-10> 대학의 설립주체별/설립유형별/특성화 목적별 현황․39
<표 Ⅱ-11> 대학의 지역별 현황․40
<표 Ⅱ-12> 대학특성화 자료 조사 대학의 현황․40
<표 Ⅱ-13> 표준산업별 분류 현황(중분류)․42
<표 Ⅱ-14> 표준산업별 분류 현황(대분류)․43
<표 Ⅱ-15> 대학의 특성화 분야와 지역전략산업과의 일치 여부․44
<표 Ⅱ-16> 대학의 지역전략산업 현황․45
<표 Ⅱ-17> 대학의 설립주체별 지역 현황․47
<표 Ⅱ-18> 대학의 설립유형별 지역 현황․48
<표 Ⅱ-19> 대학의 특성화 목적별 지역 현황․49
<표 Ⅱ-20> 대학의 설립주체별 표준산업분류 현황(중분류)․50
<표 Ⅱ-21> 대학의 설립유형별 표준산업분류 현황(중분류)․52
<표 Ⅱ-22> 대학의 특성화 목적별 표준산업분류 현황(중분류)․54
<표 Ⅱ-23> 대학의 설립주체별 표준산업분류 현황(대분류)․56
<표 Ⅱ-24> 대학의 설립유형별 표준산업분류 현황(대분류)․58
<표 Ⅱ-25> 대학의 특성화 목적별 표준산업분류 현황(대분류)․59
<표 Ⅱ-26> 대학의 설립주체별 지역전략산업 현황․60
<표 Ⅱ-27> 대학의 설립유형별 지역전략산업 현황․62
<표 Ⅱ-28> 대학의 특성화 목적별 지역전략산업 현황․64
<표 Ⅱ-29> 대학의 설립주체별 특성화 분야 학내 자원 지원과정 현황․66
<표 Ⅱ-30> 대학의 설립유형별 특성화 분야 학내 자원 지원과정 현황․67
<표 Ⅱ-31> 대학의 특성화 목적별 특성화 분야 학내 자원 지원과정 현황․68
<표 Ⅱ-32> 대학의 설립주체별 특성화 분야 학내 자원 지원 비중 현황․69
<표 Ⅱ-33> 대학의 설립유형별 특성화 분야 학내 자원 지원 비중 현황․70
<표 Ⅱ-34> 대학의 특성화 목적별 특성화 분야 학내 자원 지원 비중 현황․71
<표 Ⅱ-35> 대학의 설립주체별 재정지원처 현황․72
<표 Ⅱ-36> 대학의 설립유형별 재정지원처 현황․72
<표 Ⅱ-37> 대학의 특성화 목적별 재정지원처 현황․73
<표 Ⅱ-38> 대학의 설립주체별 학과분류 현황(대분류)․74
<표 Ⅱ-39> 대학의 설립유형별 학과분류 현황(대분류)․75
<표 Ⅱ-40> 대학의 특성화 목적별 학과분류 현황(대분류)․75
<표 Ⅱ-41> 대학의 설립주체별 특성화 분야와 지역전략산업과의 일치 여부․76
<표 Ⅱ-42> 대학의 설립유형별 특성화 분야와 지역전략산업과의 일치 여부․76
<표 Ⅱ-43> 대학의 특성화 목적별 특성화 분야와 지역전략산업과의 일치 여부․77
<표 Ⅱ-44> 대학의 지역별 특성화 분야와 지역전략산업과의 일치 여부․77
<표 Ⅲ-1> KEDI 학과분류․94
<표 Ⅲ-2> 학과분류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기술표준분류 비교․96
<표 Ⅲ-3> 학과분류와 학술진흥재단의 학술연구분류 기준 비교․97
<표 Ⅲ-4> 단계별 지역산업진흥사업․99
<표 Ⅲ-5> 지역전략산업 분류․100
<표 Ⅲ-6> 대학특성화지도 구축․운영을 위한 요구 조사 설문문항 구성표․103
<표 Ⅲ-7> 응답 대학의 유형별/설립주체별 현황․104
<표 Ⅲ-8> 응답 대학의 소재지별 현황․104
<표 Ⅲ-9> 응답 대학의 입학 정원 및 재학생 현황․104
<표 Ⅲ-10> 응답 기업체의 업종별 현황․105
<표 Ⅲ-11> 응답 고등학생의 학교 유형별 현황․105
<표 Ⅲ-12> 응답 정부부처별 대학 재정지원사업 담당관의 현황․106
<표 Ⅲ-13> 대학의 대학특성화지도 구축·운영에 대한 인식․106
<표 Ⅲ-14> 기업체의 대학특성화지도 구축·운영에 대한 인식․107
<표 Ⅲ-15> 고등학생의 대학특성화지도 구축·운영에 대한 인식․107
<표 Ⅲ-16> 정부부처의 대학특성화지도 구축·운영에 대한 인식․108
<표 Ⅲ-17> 대학특성화지도에 소개할 적절한 대학특성화 영역의 수․108
<표 Ⅲ-18> 각 응답 집단별 대학특성화지도 기본 지표에 대한 인식․109
<표 Ⅲ-19> 대학의 대학특성화지도 추가 지표에 대한 인식․110
<표 Ⅲ-20> 기업체의 대학특성화지도 추가 지표에 대한 인식․111
<표 Ⅲ-21> 고등학생의 대학특성화지도 추가 지표에 대한 인식․111
<표 Ⅲ-22> 기업체/고등학생의 기존 사이트 활용 경험 여부․112
<표 Ⅲ-23> 기업체/고등학생의 기존 사이트 활용 만족도․112
<표 Ⅲ-24> 기업체의 기존 사이트 활용에 대한 불만족 이유․113
<표 Ⅲ-25> 고등학생의 기존 사이트 활용에 대한 불만족 이유․113
<표 Ⅲ-26> 각 응답 집단별 특성화 분야 제시 기준에 대한 인식․114
<표 Ⅲ-27> 각 응답 집단별 대학이 제공한 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인식․115
<표 Ⅲ-28> 대학/기업체/정부부처의 대학이 제공한 정보의 타당한 검증방식에 대한 인식․115
<표 Ⅲ-29> 대학/정부부처의 대학특성화지도 예산 내역 정보 제공의 범위에 대한 인식․116
<표 Ⅲ-30> 기업체의 대학특성화지도 활용의 장점에 대한 인식․117
<표 Ⅲ-31> 정부부처의 대학특성화지도 활용의 장점에 대한 인식․117
<표 Ⅲ-32> 기업체의 대학특성화지도 활용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118
<표 Ⅲ-33> 정부부처의 대학특성화지도 활용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118
<표 Ⅳ-1> 특성화 기본 지표․131
<표 Ⅳ-2> 특성화 추가 지표․134
<표 Ⅳ-3> 대학특성화지도 관련 사업기반조성기의 사업 추진 내용․173
<표 Ⅴ-1> 대학특성화지도 관련 사업기반조성기의 사업 예산 추정(안)․179
[그림 Ⅰ-1] 연구의 추진 절차․7
[그림 Ⅱ-1] 지역 주도의 국가균형발전5개년계획 수립․36
[그림 Ⅱ-2] 제1차 국가균형발전5개년계획상 지역전략산업․38
[그림 Ⅳ-1] 대학특성화지도 정보 구축 개요도․121
[그림 Ⅳ-2] 대학특성화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구성도․124
[그림 Ⅳ-3] 대학특성화지도 업무 프로세스․125
[그림 Ⅳ-4] 대학특성화지도 정보 흐름도․126
[그림 Ⅳ-5] 대학특성화지도 화면 구성 체계도․127
[그림 Ⅳ-6] 사용자 및 전국/지역단위 메뉴 선택․135
[그림 Ⅳ-7] 학생․학부모 전국단위 대학특성화지도 초기 메뉴․136
[그림 Ⅳ-8] 학생․학부모 전국단위 메인기능 초기 구성․137
[그림 Ⅳ-9] 학생․학부모 전국단위 대학특성화 정보 - 관련학과 정보 조회․138
[그림 Ⅳ-10] 학생․학부모 전국단위 대학특성화 학과소개 - 학과전망․139
[그림 Ⅳ-11] 학생․학부모 전국단위 대학특성화 학과소개 - 취업전망․140
[그림 Ⅳ-12] 학생․학부모 전국단위 특성화 성과 - 전임교수 1인당 저서/논문/학회발표․141
[그림 Ⅳ-13] 학생․학부모 전국단위 외부평가 - 졸업생 지원제도 및 정책과실적․142
[그림 Ⅳ-14] 학생․학부모 지역단위 권역 선택․143
[그림 Ⅳ-15] 학생․학부모 지역단위 전략산업별 특성화 대학 조회․144
[그림 Ⅳ-16] 학생․학부모 지역단위 메인기능 초기 구성․145
[그림 Ⅳ-17] 기업 전국단위 초기 화면․146
[그림 Ⅳ-18] 기업 전국단위 대학 조회․147
[그림 Ⅳ-19] 기업 전국단위 메인기능 초기 구성․148
[그림 Ⅳ-20] 기업 전국단위 대학교수 연구력․149
[그림 Ⅳ-21] 기업 전국단위 참여 업체 정보․150
[그림 Ⅳ-22] 기업 전국단위 장비 검색 및 신청․151
[그림 Ⅳ-23] 기업 전국단위 장비 이용 현황․152
[그림 Ⅳ-24] 대학 전국단위 초기 메뉴․153
[그림 Ⅳ-25] 대학 전국단위 조회․154
[그림 Ⅳ-26] 대학 전국단위 메인기능 초기 구성․155
[그림 Ⅳ-27] 대학 전국단위 A대학과 B대학의 대학교수 연구력․156
[그림 Ⅳ-28] 대학 전국단위 A대학과 B대학의 기술‧이전 실적․157
[그림 Ⅳ-29] 정부부처 전국단위 초기 메뉴․158
[그림 Ⅳ-30] 정부부처 전국단위 대학 조회․159
[그림 Ⅳ-31] 정부부처 전국단위 전체 예산 현황 - 목록보기․160
[그림 Ⅳ-32] 정부부처 전국단위 전체 예산 현황 - 그래프 보기․161
[그림 Ⅳ-33] 정부부처 전국단위 특성화 예산 현황 - 목록보기․162
[그림 Ⅳ-34] 정부부처 전국단위 정부지원 현황 - 목록보기․163
[그림 Ⅳ-35] 정부부처 전국단위 기업지원 현황 - 목록보기․164
[그림 Ⅳ-36] 대학특성화지도의 구축․운영 목표․165
[그림 Ⅳ-37] 대학특성화지도 관련 정보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전담직원 검색 방안․169
[그림 Ⅴ-1] 대학특성화지도 구축 추진 체계․17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대학 특성화 지도 구축·운영 방안 2006.12.01~2007.05.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