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아태지역 직업교육훈련기관 실태조사 사업 I : 라오스

A Survey Research on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Asia-Pacific Region: Laos
저자
정지선 장지순 한정임
분류정보
기본사업(2007-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7.09.30
등록일
2007.09.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라오스직업교육훈련해외사례·동향
  라오스의 산업구조는 농업 중심에서 제조업 및 서비스업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적자원개발도 필요하다. 그러나 19세 미만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30%만이 중등학교에 다니고 있었으며 특히 기술교육과 고등교육 인원이 절대 부족한 실정이다.
  라오스의 직업훈련 정책은 자체 재원으로 실행할 수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해외 원조를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 정부에 요청하고 있는 남부 지역의 Xekong, Saravan, Attepue에 직업학교 설립, 중부 Savanakhet에 기술대학(Polytechnic College) 설립과 Pakpasak Technical School와 National Polytechnic College의 시설 개선 등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속히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의 지원으로 설립된 직업훈련기간과 대학에 대해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정기적인 점검과 그에 필요한 개선 사항을 찾아내어 지속적으로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장기간의 교육사업의 효과를 위하여 전문가 파견을 통한 지속적인 자문활동,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에 대한 정기적인 업그레이드, 교원 및 직원 장기 연수 등도 필요한 사항들이다.
  ○ 주요내용
   - 라오스 고등교육기관의 실태
   - 라오스 교육발전 계획
   - 라오스 직업교육훈련 현황 및 정책
Laos, which is located in Indochina Peninsular of the South East Asia, is one of poor countries in the world. Even though Laos has been in the transition to the market economy from social economy during 20 years, she still is short and lack of labor-force. Especially, the participant rate and conditions of higher education is deteriorated, which has been an important motive agent of economic development. There are only 3 universities in Laos. To overcome this obstacles, Laos has implemented to set up the ‘education system’ as the prior task of national agenda and strategy. The higher education develops the skill worker through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uitable for the industrial structure in the present stage. Especially, Laos try to receive aid an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from the Korean experiences.
According to this necess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to solve the problems and to find out the improvements through survey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Laos. The detail of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analyze the environment and the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Laos. For this, we had surveyed the history and present, politic and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Laos. Second, the educational system is researched especially in terms of higher education, education development plans, and participation rates, etc. Third, present and actual condition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Laos are analyzed. For this, we had surveyed the labor market, vocational educational institutes and centers, policies and strategies. Fourth, we conducted the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on the basis of this survey and contents. 
The research methodologies are employed: literature review, fields survey, related data collection, and interview with the experts and official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Laos. 
...
<표 Ⅱ-1> 한/라오스 교역추이․16
<표 Ⅱ-2> 한/라오스 주요 교역품목(2005년)․17
<표 Ⅱ-3> 라오스의 주요 경제 현황 ․19
<표 Ⅱ-4> 라오스의 연도별 교역추이․25
<표 Ⅱ-5> 라오스의 주요 수출 및 수입 국가(2006년)․26
<표 Ⅱ-6> 주요 산업의 수익 비교표․33
<표 Ⅱ-7> 라오스의 관광객수, 체류일수, 관광수입(1993-2005)․34
<표 Ⅱ-8> 인접국 관광객 수(2005년 기준)․35
<표 Ⅱ-9> 대륙별 방문 관광객 수․36
<표 Ⅱ-10> 관광시설 현황․37
<표 Ⅲ-1> 지역별 고등교육인구 분포․43
<표 Ⅲ-2> 라오스 국립대학의 단과대학 현황․47
<표 Ⅲ-3> 수파노봉 대학의 학과 현황․49
<표 Ⅲ-4> 라오스 루앙프라방 대학 설립 사업 개요․52
<표 Ⅳ-1> 라오스의 인구 분포(2005년 인구센서스 결과)․64
<표 Ⅳ-2> 향후 노동력 변천 추이․67
<표 Ⅳ-3> 분야별 고용현황․68
<표 Ⅳ-4> Pakpasak Technical School의 현황․77
<표 Ⅳ-5> 한/라오스 직업훈련원의 개요․79
<표 Ⅳ-6> 훈련생 현황․81
<표 Ⅳ-7> 교직원 현황․82
<표 Ⅳ-8> Xieng Khuang 통합학교 과정 및 정원․85
[그림 Ⅳ-1] 라오스의 인구 피라미드․65
[그림 Ⅳ-2] 라오스 인구의 지역별 분포․66
[그림 Ⅳ-3] 경제활동인구 및 비경제활동인구․66
[그림 Ⅳ-4] 학령인구(6세-25세)의 증가 추세 비교․69
[그림 Ⅳ-5] 6세 이상 인구 중 미진학자의 지역별 분포․70
[그림 Ⅳ-6] 라오스의 직업교육 및 훈련의 체제․72
[그림 Ⅳ-7] IVET의 체계도․7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아태지역 직업교육훈련기관 실태조사 사업 I: 라오스 2006.10.01~2007.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