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주도형 HRD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개발(Ⅱ)
Innovation-Driven HRD CLO Program Development
- 저자
- 이정택 이성 박동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07-0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7.09.30
- 등록일
- 2007.09.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HRD 전문가전문가 양성
요 약 제1장 연구개요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제2절 연구사업 내용과 방법 6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9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선행연구와 융합론 11 1. 선행연구 1 2. 융합이론 3 제2절 글로벌-현장 융합 HRD 전문가 육성 개발 모형 27 제3장 시뮬레이션을 통한 글로벌-현장 융합 HRD 전문가 프로그램 개발 제1절 영역별 시뮬레이션 주요 내용 29 제2절 HR 전문가과정 우수사례 36 제3절 글로벌 HRD 전문가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39 제4절 글로벌-현장 융합의 시너지효과 제고 방안 58 제4장 정책제언 제1절 인적자원개발 전문가 양성을 위한 산ㆍ학ㆍ연ㆍ정 협력체제 구축이 되도록 필요한 정책적 지원 61 제2절 HRD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구체적 방안 제시 지원 62 제3절 CLO 역량 교육방향과 사업 방안 제시 지원 63 제4절 CLO 리더십개발 학습조직화 방안 지원 65 SUMMARY 67 <부록 1> 시뮬레이션 1 추진일정표 75 <부록 2-1> 시뮬레이션 2 MOU체결 - 한국경제신문 76 <부록 2-2> 시뮬레이션 2 MOU체결 - 한국HRD협회 77 <부록 3-1> 시뮬레이션 3 사전 수요조사 설문지 78 <부록 3-2> 시뮬레이션 3 사전 수요조사 설문결과 분석 88 <부록 4-1> 시뮬레이션 4 브로슈어 1 95 <부록 4-2> 시뮬레이션 4 브로슈어 2 96 <부록 5-1> 시뮬레이션 5 강의 - 강의작성안 요령 97 <부록 5-2> 시뮬레이션 5 강의 - 강의편성시간표 98 <부록 5-3> 시뮬레이션 5 강의 - 강사진 101 <부록 6> HRD 고위 지도자 과정 명단 103 <부록 7> HRD 고위 지도자 과정 해외연수생명단 104 <부록 8> Korean Leadership Workshop Agenda 105 <부록 9> 해외연수 사전설문조사 결과 106 참고문헌 113 약어 117
21세기 지식기반 시대는 글로벌·네트워크·유비쿼터스·컨버전스를 키워드로 하는 하이테크 시대이다. 제반 산업 부문과 사회부문, 정치 및 경제 분야가 융합의 시대적 양상으로 가고 있다. 이러한 때에 인적자원개발의 글로벌화와 현장화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과제는 시대적 책무가 아닐 수 없다. 1인당 국민소득 3만불 시대를 목표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교육의 성과 제고가 이루어져야 사람 중심의 경제고도화가 성취되어, 목표를 조기에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교육제도, 프로그램, 교수·학습, 평가 등 모든 분야에서 글로벌-현장 융합화가 이루어져야한다. 이 연구사업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대학원 수준의 '고위인재전략과정'을 개설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2006년에 연구된 '혁신주도형 HRD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개발'의 2차년도 과제로 이루어졌다. 특히, 본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은 우리나라의 혁신주도형 HRD 전문가 육성에 보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주요내용 - 선행연구와 융합론 - HR 전문가과정 우수사례 - 글로벌 HRD 전문가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 글로벌-현장 융합의 시너지효과 제고 방안 - CLO 리더십개발 학습조직화 방안 제시 지원
□ This development and management project aims at developing HRD CLO (Human Resource Development, Chief Learning Officer) Training program, based on KRIVET's 2006 research project, Developing Innovation-Driven HRD Professional Cultivation, KRIVET #2006-33, which is expected to be used as guide for workplace-level HRD professionals in designing their in-plant manpower development master plan. ○ Basic framework and components of organization-level HRD globalization- workplace convergence-based HRD CLO cultivation program are illustrated. ○ Ways for building up industry·academia·R&D·government cooperation network as functional scheme for developing workplace-driven HRD globalization-local specificity convergence HRD CLO program, are suggested here. □ Methodology ○ Data, information, and advices are constructed, collected, and sought through implementation of pre-survey on needs, and steering meetings among professionals and government officials. - Pre-survey with needs identifying questionnaire is conducted with 500 respondents. - Both local and oversees workshops are held. Local one is focused on discussions among participants over the extents to which needs and course evaluation are matched. Oversees one is held at Center for the Study of Learning,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Washington DC, USA with 10 participants. Bench-marking of the USA experiences is the main purpose.
<표 Ⅱ-1> HRD전문가 카테고리 분류․13 <표 Ⅱ-2> 35개 HRD 역량․13 <표 Ⅲ-1> 혁신주도형 HRD 전문가 과정 주요 프로그램(1단계)․49 <표 Ⅲ-2> 혁신주도형 HRD 전문가 과정 주요 프로그램(2단계)․52 <표 Ⅲ-3> 혁신주도형 HRD 전문가 과정 주요 프로그램(3단계)․54 <표 Ⅲ-4> 사전수요파악설문지 1․55 <표 Ⅲ-5> 사전수요파악설문지 2․56 [그림 Ⅱ-1] 글로벌 HRD-현장 융합 개념, 정책, 실행 개념 틀․21 [그림 Ⅱ-2] 공공 서비스 평가 틀․24 [그림 Ⅲ-1] 교육과정 선호도․33 [그림 Ⅲ-2] 교육 참여 결정요인․33 [그림 Ⅲ-3] 교육의 기대효과․34 [그림 Ⅲ-4] 노사동반 인재개발 파트너십 구축․34 [그림 Ⅲ-5] 이론과 실제 간 연계강화․35 [그림 Ⅲ-6] 선진기업 벤치마킹․36 [그림 Ⅲ-7] 혁신주도형 HRD 전문가 과정의 구조․46 [그림 Ⅲ-8] HRD-글로벌 현장 융합 시너지 제고 기본 방향․59 [그림 Ⅳ-1] CLO 역량교육 방향과 사업내용․6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혁신주도형 HRD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개발Ⅱ | 2007.01.01~2007.09.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