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우수사례 발굴·보급(2007)

Best Practices in Teaching and Learning Vocational Education
저자
장명희 변숙영 김기홍
분류정보
기본사업(2007-0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7.12.31
등록일
2007.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연구대회우수사례실업계 고등학교전문대학
요 약
제1장  사업 개요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사업 내용 2
 제3절  사업 추진 방법 5
제2장  직업교육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대회 우수사례의 동향 및 성과 분석
 제1절  직업교육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대회 우수사례 동향 9
   1. 직업교육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대회 우수사례 발굴 현황 9
   2. 직업교육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대회 우수사례 특성 및 동향 13
 제2절  직업교육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대회 우수사례 발굴 보급의 성과 31
   1. 우수사례 발굴 성과 31
   2. 우수사례 보급 효과 32
제3장  사업 추진 내용
 제1절  직업교육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대회 운영 체제 정비 및 협력 체제 구축 39
 제2절  출품작 작성 지침 개발 및 연구대회 개최 공지 52
 제3절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대회 심사 절차 및 심사 기준 56
 제4절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대회 심사 및 우수사례 선정 61
 제5절  우수사례 일반화를 위한 연구지원 및 컨설팅 94
 제6절  우수사례 보급 99
 제7절  2007년 직업교육 교수 학습 우수사례 발굴 보급 사업에 대한 자체 평가 104
제4장  사업 요약 및 제언
 제1절  사업요약 111
 제2절  제언 115
<부록 1> 제7회 전국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대회 안내문 121
<부록 2> 제6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대회 공고문 139
<부록 3> 전문계 고등학교 우수사례 발굴 보급 「사전 워크숍」 자료 155
<부록 4> 수상 작품별 심사평 요지 162
<부록 5> 교수ㆍ학습 방법 우수사례 발굴ㆍ보급 개선을 위한 면담지 198
<부록 6> 제7회 전국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대회 수장작의 현장 실천 효과 202
<부록 7> 제6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대회 수상작의 현장 실천 효과 205
<부록 8> 제1회 한국폴리텍대학 교수ㆍ학습 경진대회 207
참고문헌 223
  21세기 정보화 사회의 산업 및 직업 세계의 변화 속도는 가속화 되고 있으며, 직업교육을 통한 양성 인력에게 요구되는 능력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 개혁의 궁극적인 목적은 최종 수요자인 학생들이 보다 흥미있고 이해하기 쉬우며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구현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직업교육체제 혁신 방안을 추진함에 있어 교원의 전문성 신장 및 사기 진작, 우수한 교수·학습 방법 및 자료의 확산 보급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사업은 2001년부터 시행된 계속 사업이며,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우수사례 발굴·보급의 정착기로서 직업교육체제 혁신 방안과 연계하여 연구지원 및 컨설팅 기능을 강화하고 현장에 일반화하여 보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우수 사례의 주요 경향과 보급에 대한 성과를 분석하고, 추진 방향과 운영 내용 및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비하여 우수사례를 발굴·보급하였다.
  발굴된 교수·학습 방법 우수사례는 다원화된 방법으로 현장에 보급함으로써 교원들의 수업개선 의지를 고취하고, 창의적인 교수·학습 방법 개발을 유도하며,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수업 참여를 독려하며 수업 성과를 높이는 데 일조할 것이다.
  ○ 주요내용
    -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우수사례의 동향 및 성과 분석
    -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운영 체제 정비 및 협력 체제 구축
    -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개최 및 우수사례 발굴
    - 우수사례 일반화를 위한 연구지원 및 컨설팅
    - 우수사례 보급의 다원화
    -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우수사례 발굴·보급 사업 평가
<표 Ⅱ-1> 전국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운영 현황․10
<표 Ⅱ-2>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운영 현황․12
<표 Ⅱ-3> 전문계 고등학교 계열별 적용 교수․학습 방법 현황표․20
<표 Ⅱ-4> 공학계열의 교수ㆍ학습 방법 적용 빈도․23
<표 Ⅱ-5> 인문ㆍ사회실무계열의 교수ㆍ학습 방법 적용 빈도․25
<표 Ⅱ-6> 자연ㆍ보건계열의 교수ㆍ학습 방법 적용 빈도․26
<표 Ⅱ-7> 예체능 계열의 교수ㆍ학습 방법 적용 빈도․28
<표 Ⅱ-8>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우수사례 이용자수․35
<표 Ⅱ-9> 전문대학 교수․학습 방법 우수사례 이용자수․36
<표 Ⅲ-1> 시․도 대회 및 전국대회의 운영․42
<표 Ⅲ-2> 출품 자격․42
<표 Ⅲ-3> 전문대학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각 기관별 역할․47
<표 Ⅲ-4> 제6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운영 방법 및 연구 방향․48
<표 Ⅲ-5> 출품작 제출 서류․52
<표 Ⅲ-6> 전국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개최 관련 홈페이지 안내문․54
<표 Ⅲ-7>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개최 관련 홈페이지 안내문․55
<표 Ⅲ-8> 연구대회 심사 방법․56
<표 Ⅲ-9> 서류 심사 기준․57
<표 Ⅲ-10> 서류 심사 기준표․58
<표 Ⅲ-11> 현장 심사 기준․59
<표 Ⅲ-12> 현장 심사 기준표․60
<표 Ⅲ-13> 제7회 전국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출품작․62
<표 Ⅲ-14> 제6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출품작․66
<표 Ⅲ-15> 제7회 전국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위촉 심사 위원 명단․71
<표 Ⅲ-16> 제6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위촉 심사 위원  명단․72
<표 Ⅲ-17> 제7회 전국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심사 일정 및 현황․73
<표 Ⅲ-18> 제7회 전국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심사결과․75
<표 Ⅲ-19> 제6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심사 일정 및 현황․79
<표 Ⅲ-20> 제6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심사 결과․81
<표 Ⅲ-21>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우수사례 선정작(18편)의 현장 실천 효과․84
<표 Ⅲ-22> 전문대학 교수․학습 우수사례 선정작(14편)의 현장 실천 효과․85
<표 Ⅲ-23>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개선 지원의 주요내용․86
<표 Ⅲ-24> 강원도 교육청의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개선 지원의 주요내용․89
<표 Ⅲ-25> 경북전문대학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 지원 주요내용․92
[그림 Ⅱ-1] Cylearn에 탑재된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우수사례 자료․33
[그림 Ⅱ-2]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에 탑재된 전문대학 교수․학습 방법 우수사례․34
[그림 Ⅲ-1] 전국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추진체제별 역할․41
[그림 Ⅲ-2] 제7회 전국 전문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담당자별 추진 내용․44
[그림 Ⅲ-3]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추진 체제별 추진 내용․46
[그림 Ⅲ-4] 제6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담당자별 추진 내용․50
[그림 Ⅲ-5] 사후 컨설팅 추진 절차․96
[그림 Ⅲ-6] 사후 컨설팅을 반영한 자료 구성의 예 ․97
[그림 Ⅲ-7] Cylearn 홈페이지 탑재한 직업교육 교수․학습 우수사례․101
[그림 Ⅲ-8] ‘커뮤니티(카페)’메인 화면 예시(1)․103
[그림 Ⅲ-9] ‘커뮤니티(카페)’메인 화면 예시(2)․10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우수사례 발굴·보급(2007) 2007.01.01~2007.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