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태지역 직업교육훈련 실태조사 및 직업교육 Workshop(Ⅱ) : 캄보디아
A Study 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Asia Pacific and Workshop on Vocational Education(Ⅱ) - Cambodia
- 저자
- 최영렬 정지선 김수원 장지순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07-1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8.04.30
- 등록일
- 2008.04.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아태지역캄보디아직업교육훈련ODA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방법 2 제3절 연구의 한계 3 제2장 캄보디아 현황 제1절 일반현황 6 1. 개황 6 2. 주요 경제 지표 7 제2절 정치 및 경제 현황 7 1. 정치동향 7 2. 정치방향 8 3. 경제동향 10 4. 경제정책 11 5. 경제특징 12 제3절 사회 및 노동 현황 15 1. 연구 15 2. 사망률 15 3. 주거 16 4. 교육 16 5. 문맹률 16 6. 생활수준 16 7. 노동시장 17 제3장 국가발전전략 제1절 배경 21 제2절 사각전략의 내용 21 제3절 교육실태 및 정책 23 1. 캄보디아의 교육실태 23 2. 교육정책 27 제4장 캄보디아 직업교육훈련 실태 제1절 교육부분 ODA 지원 현황 31 1. 외국의 교육부문 ODA 지원 현황 31 2. 한국의 교육부문 ODA 지원 현황 34 제2절 직업교육훈련 37 1. 노동정책 및 직업교육훈련 기관 37 2. 직업교육훈련 실태 38 3. 직업교육훈련의 주요 쟁점 39 4. 캄보디아의 TVET 개혁을 위한 주요 정책 방향 45 제5장 요약 및 시사점 제1절 요약 55 제2절 시사점 59 참고문헌 61 [붙임 1] 캄보디아 교육부문 수원 현황(2007년) 63 [붙임 2] 캄보디아 직업교육훈련실태 Workshop 결과보고 73 [붙임 3] 캄보디아 현지 워크숍 자료 93
본 연구는 2006년부터 매년 아·태지역 국가를 대상으로 해당 국가의 직업교육훈련 실태를 파악하고 해당 국가에 적합한 직업교육훈련 시스템 및 정책수립을 위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또한 캄보디아에서의 워크숍 개최를 통해 한국의 성공사례를 단순히 전수하는 차원이 아닌 현지화 된 성공전략을 함께 논의·분석하고, 캄보디아 직업교육훈련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표 2-1> 캄보디아의 국내 경제 주요 지표․13 <표 2-2> 캄보디아의 국제 경제 주요 지표․13 <표 2-3> 캄보디아의 산업별 GDP 기여율․18 <표 2-4> 도농간 연령별, 성별 고용률(2004년)․19 <표 3-1> 캄보디아의 교육 체제․24 <표 3-2> 캄보디아의 학생수, 교직원수, 학교수․25 <표 3-3> 캄보디아의 고등교육 실태․26 <표 4-1> 외국의 교육부문 ODA 상위 10개 과제(2006년)․32 <표 4-2> 부문별 최대 공여국 및 기관(2006년)․33 <표 4-3> 한국의 교육분야 ODA 지원현황(2007년)․35 <표 4-4> 주요 직업교육훈련 기관 현황․38 <표 4-5> 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및 현황․39 <표 4-6> 캄보디아의 TVET 시스템․46 [그림 1-1] 캄보디아 지도․5 [그림 2-1] 캄보디아 산업별 인구추이(2004년)․18 [그림 2-2] 캄보디아 도농간 고용률(2004년)․19 [그림 3-1] 캄보디아 정부의 성장 전략․22 [그림 4-1] 외국의 교육부문별 ODA 지원현황(2006년)․31 [그림 4-2] 지역별 지원현황(2006년)․33 [그림 4-3] NTB의 조직도․4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아태지역 직업교육훈련 실태조사 및 직업교육 Workshop(Ⅱ): 캄보디아 | 2007.01.01~2008.04.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