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연계형 기업HR 활동 지표·지수 개발
Performance-aligned HR Indicators and Index Development
- 저자
- 송창용 손유미 이성 박주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7-0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7.09.30
- 등록일
- 2007.09.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기업 HR활동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기업 HR 활동 개념화와 측정에 대한 논의 3 1. HR 활동의 개념 3 2. HR 활동과 기업성과 선행 연구 분석 7 3. HR 활동지표와 기업성과의 측정 사례 8 제3절 연구의 방법 17 1. 지표 구성 프레임 17 2. 조사 개요 19 제2장 기업의 HR 활동 지표 제1절 HR 지표 구성 25 1. 구성 체계 25 2. 지표 선정 - 공통지표와 차별화 지표 26 제2절 기업 HR활동 지표의 구성 30 1. HR 전략 지표 30 2. HR 활동 지표 31 제3절 기업 환경 지표의 구성 33 제3장 지표 실증 분석 제1절 기업의 특성과 지표 측정 37 1. 기업의 특성 37 2. 지표의 측정 39 제2절 지표 분석 결과 43 1. 기업 성과 지표 43 2. 기업 환경 지표 44 3. 기업 HR 전략 지표 49 제3절 HR 활동 지표 55 1. HRM 활동 지표 55 2. HRD 활동 지표 60 제4절 성과 연계형 HR 활동 지표 63 제4장 성과 연계형 HR 활동 지수 제1절 지수 산출 방법 67 제2절 성과 연계형 HR 활동 지수의 산출 71 1. 성과 연계형 HR활동 지수 71 2. HR활동 지수 기초 통계 73 3. HR 활동 지수의 기업성과 효과 77 제5장 기업의 HR 활동 지수를 통한 기업 분석 제1절 기업 환경과 HR 전략별 HR 활동 지수 81 1. 기업의 경영전략별 HR 활동 지수 81 2. 기술역량별 HR 활용지수 82 3. 핵심 역량별 HR 활동지수 82 4. 혁신 역량별 HR 활동지수 83 5. 인적자원 역량별 HR 활동지수 83 6. HR 전략별 HR 활동 지수 84 제2절 HR 활동 수준 결정 요인 85 제6장 결 론 제1절 요약 93 1. 성과 연계형 HR 활동 지표와 지수의 구성 93 2. 기업의 HR 활동 지수와 기업 성과효과 94 3. 기업의 환경과 HR 활동 지수 95 4. HR 전략과 HR 활동 지수 95 5. HR 활동 지수 결정 요인 96 제2절 정책적 시사점 96 SUMMARY 99 <부록 1> 기업 인적자원 활동 실태 조사 설문지 107 참고문헌 125
본 연구는 기업의 HR 관련 선행연구와 실천적인 노력들이 있어 왔지만, 기업의 참여를 촉진하는 기제가 미약하다는 실천적인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이런 문제점을 식하면서, 기업의 교육훈련을 포함한 HR 활동을 촉진시키는 작동 기제를 미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부분을 검토하였다. 첫째, HR 활동 수준을 지표·지수화 하여 기업의 인적자원 활동과 역량을 측정하고 계량화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측정된 HR 활동 수준 지수와 기업의 성과 변인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기업 인적자원개발의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 주요내용 - HR 활동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선행연구 분석 - HR 활동 수준 지표·지수 개발 - HR 활동 수준 지수와 기업의 성과 변인들과의 상관분석
The reason the investment of company on education and training and its HR activity are poor is the weakness of motivation, and this passive investment makes structural problems which deteriorate a competitive power of company. Recognizing the problem ab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a basic data providing for a system which promotes HR activities of company including education and training. Thus, there were two objectives to this study. One objective was to complete an indexation and quantify the HR competency and HR activity. Another objective was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significantly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HR activity, through the proces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R index and performance variables. In order to develop HR index, this study had been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and the precedent HR indexes, setting up the structural frame of HR index, selecting HR index and performance index, and questionnaire survey, its analysis and indexation. Every proceeding above had been done with expert group meeting composed of HRD specialized professors and the persons in charge of HRD department in companies. Related to performance index, this study had got regular advises and suggestions from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Compared to the decedent studies about HR index, this study has its own difference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took performance-aligned index into consideration at the stage of selecting HR index. So, it focused on the quantification of performance index and collected company performance data from Korea Information Service. Second, the questionnaire for HR index is composed of the items which lead a clear answer of the fact, not an unreliable answer depending on one's perception(example: small-group activity). Third, this study had proceeded many samples for statistical analysis(1928 companies in total). Especially, 1357 companies of total were small and medium companies which have less than 100 employees, so this helps to make a diagnosis about the present status of HR activities in small and medium companies. Forth, this study sophisticated a methodology on the quantification of HR index, using a much more statistical way such 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표 Ⅰ-1> 과거 HRM과 전략적 HRM․6 <표 Ⅰ-2> HR 활동의 다양한 연구․7 <표 Ⅰ-3> High Performance Work System의 측정(예시)․10 <표 Ⅰ-4> 고성과 작업시스템에 대한 연구의 성과지표와 결과(미국)․10 <표 Ⅰ-5> Watson Wyatt's HCI․11 <표 Ⅰ-6> 업종․기업규모별 모집단 구성․19 <표 Ⅰ-7> 업종․기업규모별 표본 분포․20 <표 Ⅰ-8> 분석을 위한 최종 데이터 구성․22 <표 Ⅱ-1> 기존 지표 분석․27 <표 Ⅱ-2> HR 전략 지표․31 <표 Ⅱ-3> 기업 HR 활동 지표의 구성․32 <표 Ⅱ-4> 기업 성과지표와 환경지표․35 <표 Ⅲ-1> 업종별⋅규모별 분포․38 <표 Ⅲ-2> 기업 환경지표와 기업성과지표․39 <표 Ⅲ-3> HR 전략 지표․40 <표 Ⅲ-4> HR 활동 - HRM 지표․41 <표 Ⅲ-5> HR 활동 - HRD 지표․42 <표 Ⅲ-6> 기업 재무 성과․43 <표 Ⅲ-7> 업종․규모별 인적자원역량 분포․49 <표 Ⅲ-8> 업종별 HR활동- HRM 수준․59 <표 Ⅲ-9> 업종별 HR활동- HRM 수준․62 <표 Ⅲ-10> HRM 활동 지표 유의성 - 제조업(업종과 규모 통제)․63 <표 Ⅲ-11> HRD 활동 지표 유의성 - 제조업(업종과 규모 통제)․64 <표 Ⅲ-12> 성과 연계형 HR 활동 지표의 구성- 제조업․65 <표 Ⅳ-1> 가중치 산출 결과․72 <표 Ⅳ-2> HR 활동 수준의 기초통계․76 <표 Ⅳ-3> 기업성과와 Log(HRI)의 관계․78 <표 Ⅳ-4> HRI 지수와 성과와의 관계․79 <표 Ⅴ-1> 경영전략 간 비교․81 <표 Ⅴ-2> 기술역량별 비교․82 <표 Ⅴ-3> 핵심역량별 비교․83 <표 Ⅴ-4> 혁신역량별 비교․83 <표 Ⅴ-5> 제조업-인적자원역량과 HR지수와의 회귀분석(규모 업종 통제 하)․84 <표 Ⅴ-6> HR 전략에 따른 HR 활동 지수(규모와 업종 통제 시)․85 <표 Ⅴ-7> 모델 1 : 기업 환경 요소의 유의성 검정․87 <표 Ⅴ-8> 모델 1 : 기업 환경 요소의 추정치와 유의성․87 <표 Ⅴ-9> 모델 2 : 기업 HR 전략의 유의성 검정․88 <표 Ⅴ-10> 모델 2 : 기업 HR 전략의 추정치․89 <표 Ⅴ-11> 모델 3 : 기업 환경, HR 전략의 유의성 검정․90 <표 Ⅴ-12> 모델 3 : 기업 환경, HR 전략의 추정치․90 [그림 Ⅰ-1] HRM 변천 과정․4 [그림 Ⅰ-2] Pfeffer(2002)의 고성과 기업의 HRM 특성․9 [그림 Ⅰ-3]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 지표․14 [그림 Ⅰ-4] 연구 수행 절차․17 [그림 Ⅰ-5] HR 지표 구성 체계․18 [그림 Ⅰ-6] 모집단 표본 구성 비율 비교․21 [그림 Ⅱ-1] 기업의 경쟁력 확보 순환 구조․33 [그림 Ⅲ-1] 업종․규모별 사업전략 비교․44 [그림 Ⅲ-2] 업종․규모별 기술역량 비교․46 [그림 Ⅲ-3] 업종․규모별 핵심역량 비교․47 [그림 Ⅲ-4] 업종․규모별 혁신역량 비교․48 [그림 Ⅲ-5] 업종․규모별 채용선발 기준 비교․50 [그림 Ⅲ-6] 업종․규모별 고용전략 비교․51 [그림 Ⅲ-7] 업종․규모별 평가기준 비교․52 [그림 Ⅲ-8] 업종․규모별 승진기준 비교․53 [그림 Ⅲ-9] 업종․규모별 임금기준 비교․54 [그림 Ⅲ-10] 업종․규모별 성과지급 기준 비교․55 [그림 Ⅲ-11] 업종․규모별 노조 유무 비교․58 [그림 Ⅲ-12] 업종․규모별 노사협의회 유무 비교․59 [그림 Ⅳ-1] 지수 산출 절차․68 [그림 Ⅳ-2] 지수 산출 구조도․71 [그림 Ⅳ-3] HR 활동지표들의 성과 설명 비중․73 [그림 Ⅳ-4] HR활동 수준(규모별)․74 [그림 Ⅳ-5] HR활동 수준(업종별)․74 [그림 Ⅳ-6] HR활동 수준(300인 이상 기업에서의 업종별)․75 [그림 Ⅳ-7] HR활동 수준(100인~299인 기업에서의 업종별)․75 [그림 Ⅳ-8] HR 활동수준(99인 이하 기업에서의 업종별)․7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성과 연계형 기업HR 활동 지표·지수 개발 | 2007.01.01~2007.09.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