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분야 핵심인력의 경력단계와 인적자원정책
Career Stages For HRD Policy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 저자
- 이지연 오호영 윤형한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7-0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7.09.30
- 등록일
- 2007.09.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과학기술과학기술인력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용어 정의 5 1. 핵심인력 5 2. 경력단계 6 3. 촉진 및 장애 요인 6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1. 연구의 내용 7 2. 연구의 방법 8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 제1절 생애사 연구 방법의 의의와 한계 11 1. 질적 연구의 이해 11 2. 생애사 연구 방법의 의의 15 3. 생애사 연구 방법의 한계 19 4. 생애사 연구 사례 20 5. 소결론 22 제2절 경력장애와 경력단계 관련 논의 23 1. 경력장애 유형 23 2. 경력단계별 장애 특징 28 3. 성 인지적 접근의 여성 노동시장 참여 38 4. 소결론 48 제3절 핵심인력 유치에서의 촉진 및 장애의 역할과 기능 50 1. 핵심인력의 국제이동에 대한 접근방식 50 2. 미국체류 의도 및 귀국선택과정 53 3. 선행 연구를 통한 국내 유치 촉진 및 장애요인 추출 56 4. 소결론 62 제4절 과학기술분야 핵심인력 활용 현황 및 관련 정책 66 1. 과학기술분야 핵심인력의 양성 66 2. 과학기술분야 핵심인력의 활용 71 3. 과학기술인력의 생애 전 주기적 양성 지원 정책 73 4. 소결론 75 제3장 과학기술분야 핵심인력의 국내활동 촉진 및 장애 요인 분석 제1절 연구 참여자 77 1. 참여자 선정 기준 78 2. 참여자 선정 방법 78 3. 참여자 일반적 특성 79 제2절 연구 도구 및 자료수집 절차 81 1. 심층면담 반구조화 비구조화설문지와 경력 도표 81 2. 심층면담 과정 88 3. 심층면담 자료 분석 89 제3절 연구 결과 91 1. 참여자의 특성 91 2. 참여자의 경력도표 97 3. 참여자 인생의 전환점 104 4. 참여자의 경력단계별 국내활동 촉진 및 장애요인 135 5. 소결론 152 제4장 결론 및 정책논의 제1절 과학기술인력의 경력단계별 국내활동 촉진 및 장애요인의 일반적 모형 156 제2절 과학기술인력의 국내활동 촉진 및 장애요인의 개인적 모델 개발 161 1. 국내거주 여성 참여자 E의 Nvivo2 분석과정 및 모델 제시 162 2. 국외거주 남성 참여자 P의 Nvivo2 분석과정 및 모델 제시 164 제3절 정책 논의 166 제4절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제언 203 SUMMARY 207 <부록 1> 심층면담 참여 동의서 211 <부록 2> 참여자 경력도표 212 <부록 3> 참여자 경력단계별 촉진 및 장애요인(개인별) 230 <부록 4> 참여자 경력단계별 촉진 및 장애요인(거주지별) 265 참고문헌 279
국가 경쟁력은 첨단과학기술분야의 우수 핵심인력을 어떻게 양성하고 활용하는지와 관련된 국가 정책 실현성과 관련이 깊다. 이 연구는 국내외 18인의 과학기술분야 박사들을 대상으로 경력형성, 성장, 성숙기, 은퇴기 등 경력단계별 국내활동의 촉진과 장애 요인에 심층적으로 접근하여 국내활동의 주요 요인을 추출하였다. 과학기술분야 박사학위 취득 이후 국내외에서 체류하는 인력의 경력단계별 접근과 생애사 접근의 질적 심층면담 연구는 전혀 시도된 바 없는 것이기에 더욱 값진 연구성과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의 정책 제안들은 정책을 형성하고 집행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핵심인력의 전 생애 주기적 국가 정책을 입안하고 실현하는 주요한 촉진제가 될 것이다. ○ 주요내용 - 과학기술분야 핵심인력의 국내 활동 촉진 및 장애요인 분석 - 국내외 과학기술분야 핵심인력의 경력단계별 국내활동 요인 - 과학기술분야 핵심인력의 국내 활동 유치 및 활용 정책 방안
With the rapidly development of ICT and the importance of HRD policy specially in the area of Science and Engineering, OECD countries have been tried to investigate the “right” policy for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core-human resources in this area for the strong national competitiveness. Korea is not the exception. Mostly research for this area in Korea is focus to reveal the quantitative approach to show the numbers such as Ph.D. holders and rate of the employment/unemployment. This quantitative oriented research has the limitation of explanation why core-human resourc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decided to stay United States where they received the Ph.D, and have the hesitation to come back and develop careers in their home country. Thus, the concrete and dynamic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for whole life of core-human resources were need to investigate for the "right" policy development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not the quantitative way. This research is purpose to investigate and explanation what is the push and pull factors to develop their careers for the core-human resourc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led in Korea. A person who received the Ph.D in the United States and have the position in University, Company and Research institute more than 10 years are referred to as a core-human resources in this research. For the purpose, career development stages were dived to four stages such as career formation, career growing, career maturation and career retirement stage. Total of 18 numbers of core-human resources were agreed to participate this research and actively performed the deep face to face interview for their life and careers history. Life satisfaction, push and pull factors depending on 4 stages of each participates were interviewed and analyzed. In addition, "career picture" were drawn by 18 participations for understanding their career and life history.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and explained the reasons of push and pull factors that they experienced the hesitation of developing careers in Korea according to their career stages. Moreover HRD policy alternatives especially for the core-human resources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4 stages in the perspectives of 18 participa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to broaden the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pull and push factors working in Korea after receiving Ph.D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utilize in developing national policy for the issue of "brain drain" matter in Korea.
<표 Ⅱ-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비교 · 13 <표 Ⅱ-2> 생애사 연구 사례의 비교 · 21 <표 Ⅱ-3> 경력장애 하위 범주 및 구체적인 예 · 25 <표 Ⅱ-4> 4개 범주에 따른 선행연구의 경력 장애 요인 범주 · 28 <표 Ⅱ-5> Erikson과 Levinson 등의 생애발달 단계 · 29 <표 Ⅱ-6> Super, Hall, Greenhaus 외의 경력개발 단계에 따른 주요발달과업 · 31 <표 Ⅱ-7> Super의 경력개발 순환과 재순환 모형 · 34 <표 Ⅱ-8> 경력단계별 장애요인 · 37 <표 Ⅱ-9>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관한 이론적 논의 · 40 <표 Ⅱ-10> 고급인적자원 유출 및 유입의 순기능과 역기능 · 52 <표 Ⅱ-11> 미국거주박사의 미국 체류계획 · 53 <표 Ⅱ-12> 미국에서 취업하려는 주된 이유 · 54 <표 Ⅱ-13> 한국으로 귀국하고자 하는 가장 주된 이유 · 54 <표 Ⅱ-14> 국내거주 미국박사의 해외취업 의향 이유 · 55 <표 Ⅱ-15> 미국 체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6 <표 Ⅱ-16> 선행연구별 연구방법 및 정책대안 · 57 <표 Ⅱ-17> 선행연구를 통한 고급인력의 국내활동 촉진 및 장애 요인 · 63 <표 Ⅱ-18> 선행연구에 대한 영역별·시행기관별 정책 구분 · 64 <표 Ⅱ-19> 우리나라와 OECD의 과학기술분야 인력 비교 · 68 <표 Ⅱ-20> 연도별 국외 한국인 유학생 수 · 69 <표 Ⅱ-21> IMD WCY에서의 한국 대학 경쟁력(60개국 중 순위) · 71 <표 Ⅱ-22> 연구개발 인력 중 박사급 연구원의 규모 · 72 <표 Ⅲ-1>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 80 <표 Ⅲ-2> 심층면담 예시 질문 문항 · 82 <표 Ⅲ-3> 심층면담 참여자 특성 · 92 <표 Ⅲ-4> 경력도표 정리표(거주지별)-국내 · 98 <표 Ⅲ-5> 경력도표 정리표(거주지별)-국외 · 100 <표 Ⅲ-6> 경력도표 정리표(성별) - 남자 · 102 <표 Ⅲ-7> 경력도표 정리표(성별) - 여자 · 103 <표 Ⅲ-8> 참여자 인생의 전환점(국내/국외) · 134 <표 Ⅲ-9> 참여자 특성에 따른 경력단계별 평균연령과 주요생애사건 · 136 <표 Ⅲ-10> 경력형성기 촉진 및 장애요인 · 138 <표 Ⅲ-11> 경력성장기 촉진 및 장애요인 · 143 <표 Ⅲ-12> 경력성숙기 촉진 및 장애요인 · 148 <표 Ⅲ-13> 경력은퇴기 촉진 및 장애요인 · 151 <표 Ⅳ-1> 참여자 18인 시각에서 분석된 영역별 정책 방안 · 201 [그림 Ⅰ-1] 과학기술분야 미국박사의 미국체류 계획 변화 추세․3 [그림 Ⅰ-2]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 8 [그림 Ⅰ-3] 과학기술분야 핵심인력 경력단계 분석과 활용 정책 제안을 위한 연구 분석 틀 · 10 [그림 Ⅱ-1] 경력단계에 따른 핵심 과업 · 36 [그림 Ⅱ-2] 과학기술 고급인력의 유출 및 순환모형 · 51 [그림 Ⅱ-3] 국내 배출박사의 분야별 비중 변화 추세 · 67 [그림 Ⅱ-4] 미국내 과학기술분야 박사학위 취득 외국인 · 70 [그림 Ⅱ-5] 연구개발주체별 학위별 연구원 분포 · 73 [그림 Ⅱ-6] 전주기적 과학기술인 양성·지원 체계 · 74 [그림 Ⅲ-1] 경력 도표 · 86 [그림 Ⅲ-2] 경력 도표 예시 · 87 [그림 Ⅲ-3] 생애사 접근 질적 데이터 수집 과정 및 방법 · 89 [그림 Ⅲ-4] 생애사 심층면담 자료 분석 과정 · 90 [그림 Ⅳ-1] 국내과학기술인력 경력단계별 국내활동 촉진 및 장애요인의일반적 모형 · 158 [그림 Ⅳ-2] 국외과학기술인력 경력단계별 국내활동 촉진 및 장애요인의일반적 모형 · 159 [그림 Ⅳ-3] Nvivo2의 메인 화면 · 162 [그림 Ⅳ-4] 국내거주자(참여자 E) 사례의 Nvivo2 분석과정 · 163 [그림 Ⅳ-5] 국내거주자(참여자 E) 사례의 Nvivo2 모델 결과 · 164 [그림 Ⅳ-6] 국외거주자(참여자 P) 사례의 Nvivo2 분석과정 · 165 [그림 Ⅳ-7] 국외거주자(참여자 P) 사례의 Nvivo2 모델 결과 · 16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과학기술분야 핵심인력의 경력단계와 인적자원정책 | 2007.01.01~2007.09.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