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기술 확산과 인력개발전략 기초연구
Diffusion of Converging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저자
- 황규희 박동 홍선이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7-0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7.11.30
- 등록일
- 2007.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융합기술인력양성융합기술인력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방법 4 제2장 기술 융합 관련 연구 제1절 기술 융합 관련 해외 연구 7 제2절 융합인력 관련 국내 연구 19 제3장 융합기술과 인력 양성: 이론적 검토 제1절 융합기술 개념 및 추이 23 제2절 지식형성 36 제3절 융합기술과 지식형성 43 제4장 융합기술과 인력양성: 각국 동향 제1절 미국 49 제2절 유럽 57 제3절 기타 61 제5장 한국의 융합인력양성 제1절 융합인력양성의 필요성과 현황 67 제2절 대학의 융합인력 양성 사례 71 제3절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융합인력 양성을 위한 발전 모델 91 제6장 IT융합인력 양성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분석 제1절 분석 배경 107 제2절 분석 방법 108 제3절 조사 개요 및 기초 통계 112 제4절 분석 121 제5절 분석결과와 시사점 134 제7장 결 론 제1절 융합기술인력 양성 방안과 과제 137 제2절 융합기술인력 양성관련 후속 연구 과제 139 SUMMARY 143 <부록 1> 설문 조사지 147 <부록 2> 인터뷰 조사 155 <부록 3> 기술 융합 관련 연구에서 나타나는 용어해설 159 참고문헌 171
본 연구는 융합기술 확산에서의 지식생산은 지식생상자의 타 부문 지식과의 의사소통(communication)과 상호흡수(co-absorption) 능력에 기초한다는 것을 이론적·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현재의 기술수요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으로의 맞춤형 교육보다는 기초학습능력 강화를 전제로 현장학습기회를 확보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시사한다. 즉, 기술융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학문적 숙련과 지식에 접근하고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교육 및 훈련 시스템이 정비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융합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기존 지식의 진부화가 빠르게 진행될수록, 현장학습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한편, 정규교육은 이후 지속적으로 현장에서 새로운 기술 습득을 위한 기반으로의 성격이 강화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기업 수요중심의 맞춤형 교육이 지속적인 학습능력을 위한 기초학습능력에 기반하지 않는다면 지속성을 가질 수 없음을 의미하며, 현재 일각에서 제기되는 맞춤형 교육 혹은 특성화 교육 등의 주장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하도록 한다. 맞춤형 교육 혹은 특성화 교육은 기반교육으로의 학교교육의 성격을 간과하게 하며, 현장에서의 학습에 중장기적으로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 주요내용 - 기술 융합 관련 연구 동향 - 융합기술과 지식형성 변화 - 대학의 융합인력 양성 사례 - 융합인력 양성 방향
Following the fast technological chang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late 20th century is the emergence of converging technology from nano-technology (NT), ICT and bio-technology (BT). It brings great transformation of the whole society. For instance, different industries are now converging and new disciplines are derived from the old disciplines. Therefore, it is an urgent matter to research on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hich confronts the converging trend. The study aims to respond to the needs of the new era. It dares to enlarge the understandings of the changes in the knowledge, and of what is needed in the learning process along with the converging trends. It requires a theoretical inquiry about the knowledge as well as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n learning process. The study starts from the following two hypotheses: Hypothesis I: Traditional knowledge was created through transferring and combination of disciplines, but the creation of knowledge in the era of convergence is based on communication and co-absorption. Hypothesis II: Communication and co-absorption of knowledge are the essential core capability to create knowledge in diffusion of converging technologies, and also to acquire knowledge. The hypothesis I is theoretically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 hypothesis II is empirically tested through a survey. However, the study only reaches to a preliminary result preparing for the advanced study and cannot be considered as a concrete conclusion or a rigorous study. Next step of the study is to bring up a more reliable and robust confirmation based on further empirical evidences including job-analysis with future perspectives.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is that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era of convergence, prompt response to technological needs (ie. customized education and training) would be inferiorto the expansion of field-based learning opportunity based on strengthening fundamental learning capability.
<표 Ⅱ-1> 2020년대 기술융합 전망․28 <표 Ⅱ-2> 시장의 요구와 나노-생명-정보-인지 과학기술 발전의 격차․34 <표 Ⅲ-1> 미국의 나노-생명 연구소․56 <표 Ⅳ-1> 성균관대 반도체학과의 주요 교육과정․72 <표 Ⅳ-2> 성균관대 휴대폰학과의 교육 과정 및 연구분야․74 <표 Ⅳ-3> 충남 디스플레이 인력양성 사업단의 주요 내용․76 <표 Ⅳ-4> KEPSI 모집 인원 및 모집 예상인원․80 <표 Ⅳ-5> KEPSI의 주요 교과과목․82 <표 Ⅳ-6> EPSS 모집 인원 및 모집 예상 인원․84 <표 Ⅳ-7> EPSS 주요 교과목과 교과 내용․85 <표 Ⅳ-8> 이음의 표준교과과정․87 <표 Ⅳ-9> 이음을 프로젝트 수, 참여 멘토, 참여 멘티․89 <표 Ⅳ-10> 참여 멘토 및 참여 학과 지역별 분포․90 <표 Ⅳ-11> 이음 사이트 회원수․90 <표 Ⅵ-1> 설문조사 모집단․113 <표 Ⅵ-2> 업체별 분류․114 <표 Ⅵ-3> 업무별 분류․115 <표 Ⅵ-4> 전공별 분류․116 <표 Ⅵ-5> 성별 업체분류․117 <표 Ⅵ-6> 성별 현 직장 업무 대분류․118 <표 Ⅵ-7> 업체별 학력분류․120 <표 Ⅵ-8> 기술습득 경로․122 <표 Ⅵ-9> 학습경로 변화 패턴․125 <표 Ⅵ-10> IT 전공자 학습경로 변화 패턴․127 <표 Ⅵ-11> 비 IT 전공자 학습경로 변화 패턴․129 <표 Ⅵ-12> 연관규칙 마이닝 방법을 이용한 전․현 직장의 업무 변화 추이․132 [그림 Ⅲ-1] 융합기술 교육의 깊이와 폭․51 [그림 Ⅳ-1] 학습 성과에 대한 평가(100점 만점): 2007년․69 [그림 Ⅳ-2] 디스플레이-반도체 물리학과의 비전․77 [그림 Ⅳ-3] KEPSI의 산학 연계 모델․81 [그림 Ⅳ-4] ESPP의 산학 연계 모델․84 [그림 Ⅳ-5] EM 트랙 교과과정․89 [그림 Ⅳ-6] 기초과학 및 융합기술 트랙의 학습내용․92 [그림 Ⅳ-7] UCSC의 생물정보학 학사교육과정․101 [그림 Ⅳ-8] 융합인력 양성을 위한 발전 모델․103 [그림 Ⅵ-1]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개념도․108 [그림 Ⅵ-2]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얻어진 정보(지식)의 예․109 [그림 Ⅵ-3] 의사결정 나무의 예․112 [그림 Ⅵ-4] 기술습득 경로별 분포․123 [그림 Ⅵ-5] 학위취득시기별 의사결정나무․13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융합기술 확산과 인력개발전략 기초연구 | 2007.01.01~2007.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