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고령친화산업의 직업연구 : 요양·용품·여가·장묘분야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Occupations in Senior Industry: Exploration in Industrial Sectors of Long-term Care, Supportive Aids or Devices, Leisure for Elderly, and Recreation
저자
최동선 한상근 정윤경 김나라
분류정보
기본연구(2007-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7.10.31
등록일
2007.10.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고령친화산업직업연구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제2절  연구의 내용 4
 제3절  연구의 방법 7
   1. 문헌고찰 7
   2. 산업 분야별 인적자원개발 실태 분석을 위한 사업체 조사 8
   3. 직무분석 15
   4. 직업분석을 위한 심층 인터뷰 16
   5. 고령친화산업의 교육훈련 요구분석 17
   6. 전문가 협의회 및 자문 21
 제4절  연구의 제한 23
제2장  고령친화산업 관련 선행 연구
 제1절  고령친화산업의 배경 25
   1. 인구구조의 변화 27
   2. 인구 고령화와 소비지출 행태의 변화 35
   3. 인구 고령화와 복지 및 보건ㆍ의료 39
   4.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 40
 제2절  고령친화산업 관련 연구의 동향 47
   1. 고령친화산업의 성장 및 발전에 관한 선행연구 47
   2. 고령친화산업에서의 인력 양성 및 직업 관련 선행연구 52
제3장  고령친화산업 및 고령친화산업 분야 직업의 개념 및 분류
 제1절  고령친화산업의 개념 및 유형 55
   1. 고령친화산업의 개념 55
   2. 고령친화산업의 유형 58
 제2절 고령친화산업 분야 직업 61
 제3절  연구대상 분야 및 선정 기준 64
   1. 연구대상 분야 선정 기준 64
   2. 요양 분야 66
   3. 용품(기기) 분야 79
   4. 여가 분야 84
   5. 장묘 분야 102
제4장  고령친화산업 사업체에서의 인력수급 및 교육훈련
 제1절  인력 분포 107
 제2절  인력 수급 111
   1. 분야별 핵심인력의 상대적 중요도 111
   2. 직종별 요구되는 학력 및 경력 116
   3. 수요 대비 지원자 규모 및 현재와 미래의 인력 확보의 어려움 126
   4. 우수 인력 확보 어려움의 주요 이유 132
 제3절  교육훈련 134
   1. 분야별 교육훈련 활동의 활성화 정도 134
   2. 사업체 및 시설에서의 교육훈련 지원 체계 138
   3. 교육훈련 전망 140
 제4절  전망 143
   1. 고령친화산업의 발전에 대한 기대 143
   2. 고령친화산업의 신생직업에 대한 기대 146
제5장  고령친화산업 분야 주요 직업의 특성 및 교육훈련 요구
 제1절  주요 직업의 특성 155
   1. 케어매니저(가칭) 155
   2. 요양보호사 187
   3. 노인전문간호사 205
   4. 노인생활체육지도자 218
   5. 레크리에이션치료사 237
   6. 장례지도사 249
 제2절  교육훈련 요구 262
   1. 직무수행능력과 교육훈련 요구 262
   2. 기초직무능력에서의 교육훈련 요구 266
   3. 세부직무능력에서의 직종별 교육훈련 요구 271
제6장  정책 제언
 제1절  인력 양성 체계의 개선 285
   1. 다각화된 인력 양성 경로의 개발 285
   2. 고령친화산업 인적자원 개발 중 장기 종합계획 마련 287
   3. 보건의료 및 여가 분야의 고령친화산업 전문 인력의 양성 288
   4. 케어매니저 직종의 신설 및 국가자격화 289
   5. 고령자에 적합한 고령친화산업 분야의 직종 개발 292
 제2절  교육훈련의 개선 294
   1. 산업현장 지향적인 표준 교육과정 개발ㆍ보급 294
   2. 현장 요구를 고려한 교육훈련 과정의 개선 294
   3. 효율적인 인력 활용과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자격체계 마련 296
   4. 고령친화산업 분야 현직자의 직무능력개발을 위한 다양한 학습기회 제공 297
 제3절  고령친화산업의 발전을 위한 과제 299
   1. 고령친화산업 성장을 위한 정책의 지속적인 추진 299
SUMMARY 301
부표 309
<부록 1> 고령친화산업의 분야별 인적자원개발 현황 조사 설문지(요양분야) 349
<부록 2> 직무분석 지침서 양식 수정본 : 직업명세서 359
<부록 3> 고령친화산업 분야 심층 인터뷰 조사항목 364
<부록 4> 고령친화산업 분야 주요 직업의 교육훈련 요구분석 등을 위한 설문지(케어매니저용) 370
참고문헌 379
  저출산·고령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이 모색되는 가운데 급팽창하는 노인인구의 신규 거데 수요를 국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전환하는 혁신적인 처방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이 흔히 실버산업이라고 부르는 '고령친화산업' 이다.
  이 연구는 차세대 유망 분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직업연구를 통하여 고령친화산업에서의 직업세계에 관한 심층적인 직업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고령친화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관련 자격체제를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고령친화산업 사업체를 대상으로 인적자원개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 현직자 대상의 심층 인터뷰, 직무분석, 교육훈련 요구도 분석을 위한 현직자 설문조사 등의 연구 방법이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고령친화산업의 높은 관심과 성장에 대한 기대가 반영되어 보건의료 관련 직종의 상대적 중요도 증가, 요구되는 학력 및 경력 수준의 향상 등이 기대되었다. 하지만 아직 고령친화산업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시점인 관계로 현직자들이 보유하는 직무수행능력은 요구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한 실정이었다. 체계적이며 적극적인 교육훈련 정책이 요구되는 중요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에서의 교육훈련 및 자격에 관한 정책 대안을 모색하였다.
  ○ 주요내용
   - 고령친화산업 및 고령친화산업 분야 직업의 개념 및 분류
   - 고령친화산업 사업체에서의 인력수급 및 교육훈련
   - 고령친화산업 분야 주요 직업의 특성
   - 고령친화산업 분야 주요 직업에서의 교육훈련 요구
   - 정책 제언
  Various solutions are being tried to fi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Senior industry, or industry for the elderly, is regarded as one of innovative solutions in which this industry could transform the huge demands of inflating senior populations into the national growth momentum. Regardless of this anticipation of growth possibility, the detailed occupational informations in senior industry has not been introduced. In addition,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discussion on what is core manpower in senior industry, what kinds of systems should be operated for developing these core human resources, and so 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set up as generating detailed occupational informations in major senior industry, and considering several countermeasures for developing human resources in senior industry and for improving related qualification systems.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research made use of several methodologies. First, this research executed mailed survey fo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occupational outlooks in 451 senior business. Second, scores of SME's were interviewed with contents of occupational status and change, deman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occupational outlooks, and so on. Thirds, job analysis was executed on the major occupations such as care manager, leader of sports for the elderly, and recreation therapist. Fourth, making use of the inventories of knowledge and skill drew from job analysis, this research executed mailed survey for identifying education/training needs.
...
<표 Ⅰ-1> 분야별 모집단 규모 및 표본 규모․12
<표 Ⅰ-2> 산업 분야별 고령친화산업 인적자원개발 실태 조사 내용․14
<표 Ⅰ-3> 교육훈련 요구분석 등을 위한 설문지의 내용 구조․19
<표 Ⅰ-4> 교육훈련 요구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응답자 분포․20
<표 Ⅱ-1> 주요국의 인구고령화 속도․27
<표 Ⅱ-2>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30
<표 Ⅱ-3> 노인가구의 구성 전망․32
<표 Ⅱ-4> 요보호대상 노인인구 추계․34
<표 Ⅱ-5> 노인복지 관련 예산 추이․35
<표 Ⅱ-6> 65세 이상 건강보험 노인의료비 추이․40
<표 Ⅱ-7> 장기요양급여의 종류 및 내용․43
<표 Ⅱ-8> 재가장기요양기관의 인력 기준․46
<표 Ⅱ-9> 고령친화산업의 양성 및 교육대상 인력 유형․53
<표 Ⅱ-10> 고령친화산업에 요구되는 전문인력의 유형 및 수요․54
<표 Ⅲ-1> 이견직 외(2005, 2006)의 고령친화산업의 분류 및 「고령친화산업진흥법」과의 관계․59
<표 Ⅲ-2> 고령친화산업의 부문별 시장규모 및 취업자수 전망․64
<표 Ⅲ-3> 노인 재가보호 시설의 종류․68
<표 Ⅲ-4> 노인 시설보호 기관의 종류․69
<표 Ⅲ-5> 노인요양 서비스의 수혜율과 공적노인요양비용의 국가간 비교․70
<표 Ⅲ-6> 장기요양보호 대상 노인 규모 추계․71
<표 Ⅲ-7> 노인 요양보호를 위한 잠재비용 전망․72
<표 Ⅲ-8> 노인요양시설의 인력배치기준 및 관련 직업명․74
<표 Ⅲ-9> 요양 분야의 연구 대상 직업의 개요․79
<표 Ⅲ-10> 고령친화용품의 분류체계(안)․81
<표 Ⅲ-11> 복지용구 대여, 판매 시범사업소 ․82
<표 Ⅲ-12> 여가활동별 여가산업분류․86
<표 Ⅲ-13> 여가산업 분류체계․89
<표 Ⅲ-14> 여가산업의 3개 하위영역․91
<표 Ⅲ-15> 공공여가시설 분류․92
<표 Ⅲ-16> 노인 복지시설의 종류 및 현황․93
<표 Ⅲ-17> 노인복지회관의 프로그램․94
<표 Ⅲ-18> 주요 여가공간 및 시설의 설치 및 관리 관련 법규․95
<표 Ⅲ-19> 전국 시․도별 체육시설업 현황․96
<표 Ⅲ-20> 표준산업분류의 산업대분류에 따른 여가산업 시장규모 및 산업구성비․97
<표 Ⅲ-21> 여가산업의 하위영역별 여가시장 현황․98
<표 Ⅲ-22> 국내 고령친화 여가시장규모(2002)․98
<표 Ⅲ-23> 고령친화 여가산업 시장전망․99
<표 Ⅲ-24> 여가산업 관련 직업․101
<표 Ⅲ-25> 여가 분야의 연구 대상 직업의 개요․102
<표 Ⅲ-26> 한국고용직업분류의 장례지도사(장의사) 종사자수 변화 추이․106
<표 Ⅲ-27> 장묘 분야의 연구 대상 직업의 개요․106
<표 Ⅳ-1> 고령친화산업의 분야별․직종별 인력 현황․109
<표 Ⅳ-2> 고령친화산업 요양 분야 및 여가 분야에서의 외부 인력 활용 정도․110
<표 Ⅳ-3> 분야별․직종별 교육훈련 활동의 비활성화 이유․137
<표 Ⅳ-4> 외부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활용의 어려움․138
<표 Ⅳ-5> 분야별 사업체 차원의 교육훈련 지원제도 및 정책 활용 현황․140
<표 Ⅳ-6> 고령친화산업 사업체 대상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주체․142
<표 Ⅴ-1> 직종별 개호지원전문원 실무연수 수강시험 합격자 구성․167
<표 Ⅴ-2> 개호지원전문원 실무연수 표준교육과정․168
<표 Ⅴ-3> 대구한의대학교 노인요양서비스 전문인력양성사업단의 케어매니저 자격연수 과정의 교육내용․177
<표 Ⅴ-4>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의 실버케어매니저 과정의 교육내용․179
<표 Ⅴ-5> 한림대학교 고령친화전문인력육성사업단의 케어매니저 전문인력 양성과정 교육내용․180
<표 Ⅴ-6> 국민건강보험공단 요양관리요원 실무연수 교과목 및 교육시간․182
<표 Ⅴ-7> 노인복지시설별 요양보호사 배치기준․195
<표 Ⅴ-8> 요양보호사 1급 및 2급 표준교육과정 및 국가자격 소지자 승급 과정․200
<표 Ⅴ-9> 전문간호사 근거 법령 변화 과정․209
<표 Ⅴ-10> 2007년도 전문간호사 교육기관 현황․214
<표 Ⅴ-11> 전문간호사 배출 현황․215
<표 Ⅴ-12> 노인전문간호사 교육과정 및 이수학점․216
<표 Ⅴ-13> 문화관광부의 노인체육 관련 정책․224
<표 Ⅴ-14> 생활체육지도자 양성기관 현황․228
<표 Ⅴ-15> 생활체육지도자 등급․232
<표 Ⅴ-16> 생활체육지도자 연수과정 자격요건․233
<표 Ⅴ-17> 생활체육지도자 등급별 연수내용․235
<표 Ⅴ-18> 생활체육지도자 등급별 자격검정․236
<표 Ⅴ-19> 치료레크리에이션사 자격검정기준 및 검정방법․247
<표 Ⅴ-20> 치료레크리에이션사 1․2급 자격기준․248
<표 Ⅴ-21> 직무수행능력(competencies)의 구조 및 내용․265
<표 Ⅴ-22> 캐어매니저 양성․연수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지식 및 스킬․274
<표 Ⅴ-23> 레크리에이션치료사 양성․연수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지식 및 스킬․281
<표 Ⅵ-1> 요양보호사 2급 표준 교육과정에서 요양보호개론의 교육내용 개선안․296
<부표 1-1> 직업별 인력의 상대적 중요성․309
<부표 1-2> 직종별 요구되는 학력․310
<부표 1-3> 직종별 요구되는 경력수준․312
<부표 1-4> 수요에 따른 지원 규모․314
<부표 1-5> 현재와 미래의 인력확보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315
<부표 1-6> 우수 인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주된 이유․316
<부표 1-7> 고령친화산업 분야의 유망직업에 대한 기대․317
<부표 1-8> 고령친화산업 분야의 신생직업에 대한 기대․320
<부표 2-1> 필요한 학력수준․325
<부표 2-2> 요구되는 훈련 및 숙련기간․326
<부표 2-3> 최근 3년 사이의 업무강도 변화 정도․327
<부표 2-4> 선호하는 채용 방법․328
<부표 2-5> 근로소득(연봉)․328
<부표 2-6> 입사 후 교육훈련 참여 여부․329
<부표 2-7> 직무관련 교육훈련 장소․329
<부표 2-8> 지난 1년간 직무관련 교육훈련 기간 설문조사․330
<부표 2-9> 향후 5년 후의 일자리 규모 변화 전망․331
<부표 2-10> 향후 5년 후의 금전적 수입 변화 전망․331
<부표 2-11> 향후 5년 후의 사회적 영향력 변화 전망․332
<부표 2-12> 향후 5년 후에 요구되는 숙련 수준의 전망․332
<부표 2-13> 현재 보유하는 지식․기술의 유용성 전망․333
<부표 2-14> 신기술․신제도 혹은 신상품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333
<부표 2-15> 신기술․신제도 혹은 신상품에 대한 대응 정도․334
<부표 2-16> 고령친화산업 분야 주요 직업에서의 기초직무능력 요구도와 교육훈련 기여도의 비교․335
<부표 2-17> 케어매니저(가칭)의 세부 직무수행능력 요구도 및 교육훈련의 기여도 비교․337
<부표 2-18> 요양보호사의 세부 직무수행능력 요구도 및 교육훈련의 기여도 비교․340
<부표 2-19> 노인전담생활체육지도자의 세부 직무수행능력 요구도 및 교육훈련의 기여도 비교․342
<부표 2-20> 레크리에이션치료사의 세부 직무수행능력 요구도 및 교육훈련의 기여도 비교․344
<부표 2-21> 장례지도사의 세부 직무수행능력 요구도 및 교육훈련의 기여도 비교․346
[그림 Ⅰ-1] 연구의 내용 및 방법․22
[그림 Ⅱ-1] 연령계층별 인구구성비율 변화 추이(2000~2055년)․28
[그림 Ⅱ-2]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추이․30
[그림 Ⅱ-3] 품목별 가계 소비 지출 구성비 전망(2005~2020)․37
[그림 Ⅱ-4] 노인요양보험제도의 기본적인 틀․42
[그림 Ⅲ-1] 고령친화산업과 모태산업과의 관계․60
[그림 Ⅲ-2]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사이의 관계․63
[그림 Ⅲ-3] 총 장기요양 지출비용과 80세 이상 인구 비율의 관계(2000)․72
[그림 Ⅲ-4] 간병․일상활동 지원인력 현황(2002년 12월 현재)․76
[그림 Ⅲ-5] 인구 고령화와 장묘분야의 매출액 및 종사자수의 관계․104
[그림 Ⅳ-1] 요양 분야 인력의 상대적 중요도 변화 전망․112
[그림 Ⅳ-2] 용품 분야 인력의 상대적 중요도 변화 전망․113
[그림 Ⅳ-3] 여가 분야 인력의 상대적 중요도 변화 전망․115
[그림 Ⅳ-4] 장묘 분야 인력의 상대적 중요도 변화 전망․116
[그림 Ⅳ-5] 현재와 미래의 요양 분야 인력에 요구되는 학력수준․117
[그림 Ⅳ-6] 현재와 미래의 요양 분야 인력에 요구되는 경력수준․119
[그림 Ⅳ-7] 현재와 미래의 용품 분야 인력에 요구되는 학력수준․120
[그림 Ⅳ-8] 현재와 미래의 용품 분야 인력에 요구되는 경력수준․121
[그림 Ⅳ-9] 현재와 미래의 여가 분야 인력에 요구되는 학력수준․123
[그림 Ⅳ-10] 현재와 미래의 여가 분야 인력에 요구되는 경력수준․124
[그림 Ⅳ-11] 현재와 미래의 장묘 분야 인력에 요구되는 학력수준․125
[그림 Ⅳ-12] 현재와 미래의 장묘 분야 인력에 요구되는 경력수준․125
[그림 Ⅳ-13] 수요 대비 지원자 규모 및 현재와 미래의 인력 확보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요양 분야)․127
[그림 Ⅳ-14] 수요 대비 지원자 규모 및 현재와 미래의 인력 확보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용품 분야)․129
[그림 Ⅳ-15] 수요 대비 지원자 규모 및 현재와 미래의 인력 확보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여가 분야)․130
[그림 Ⅳ-16] 수요 대비 지원자 규모 및 현재와 미래의 인력 확보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장묘 분야)․131
[그림 Ⅳ-17] 우수 인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주된 이유․133
[그림 Ⅳ-18] 분야별․직종별 교육훈련 활동의 활성화 정도․135
[그림 Ⅳ-19] 분야별 교육훈련 전담부서 설치․운영 여부․139
[그림 Ⅳ-20] 분야별․직종별 교육훈련 투자 전망․141
[그림 Ⅳ-21] 분야별 고령친화산업의 여건 변화 전망․145
[그림 Ⅳ-22] 전체 고령친화산업과 비교한 분야별 향후 전망․146
[그림 Ⅴ-1] 케어매니저(가칭)의 주요 역할 및 기능․157
[그림 Ⅴ-2] 케어매니저(가칭)의 직업경로․161
[그림 Ⅴ-3] 일본개호보험제도에서의 개호지원서비스의 흐름도․164
[그림 Ⅴ-4] 영국 켄트주 사회서비스국(Social Services Department) 조직 및 전달체계․175
[그림 Ⅴ-5] 교육훈련 방법별 케어매니저 직무수행 능력에의 기여도․185
[그림 Ⅴ-6] 요양보호사의 주요 역할 및 기능․189
[그림 Ⅴ-7] 요양보호사의 직업경로․193
[그림 Ⅴ-8] 교육훈련 방법별 요양보호사 직무수행 능력에의 기여도․201
[그림 Ⅴ-9] 요양보호사 자격검정 체계․203
[그림 Ⅴ-10] 노인전문간호사의 직업경로․207
[그림 Ⅴ-11] 노인생활체육지도자의 주요 역할 및 기능․219
[그림 Ⅴ-12] 노인생활체육지도자의 직업경로․222
[그림 Ⅴ-13] 생활체육지도자의 양성 절차․227
[그림 Ⅴ-14] 교육훈련 방법별 노인생활체육지도자 직무수행능력에의 기여도․230
[그림 Ⅴ-15] 레크리에이션치료사의 역할 및 목표․238
[그림 Ⅴ-16] 레크리에이션치료사의 주요 역할 및 기능․239
[그림 Ⅴ-17] 레크리에이션치료사의 직업경로․241
[그림 Ⅴ-18] 레크리에이션치료사와 관련 직업과의 관계․242
[그림 Ⅴ-19] 장례지도사의 주요 역할 및 기능․251
[그림 Ⅴ-20] 장례지도사의 직업경로․254
[그림 Ⅴ-21] 교육훈련 방법별 장례지도사 직무수행능력에의 기여도․260
[그림 Ⅴ-22] 교육훈련 요구의 개념도․264
[그림 Ⅴ-23] 고령친화산업 분야 주요 직업에서 요구하는 기초직무능력․268
[그림 Ⅴ-24] 고령친화산업 주요 직종의 기초직무능력 요구도 및 교육훈련의 기여도 비교․270
[그림 Ⅴ-25] 케어매니저(가칭)의 세부 직무수행능력 요구도 및 교육훈련의 기여도 비교․272
[그림 Ⅴ-26] 업무수행에의 요구도와 교육훈련의 기여도의 관계 (케어매니저)․273
[그림 Ⅴ-27] 요양보호사의 세부 직무수행능력 요구도 및 교육훈련의 기여도 비교․275
[그림 Ⅴ-28] 노인생활체육지도자의 세부 직무수행능력 요구도 및 교육훈련의 기여도 비교․278
[그림 Ⅴ-29] 레크리에이션치료사의 세부 직무수행능력 요구도 및 교육훈련의 기여도 비교․280
[그림 Ⅴ-30] 장례지도사의 세부 직무수행능력 요구도 및 교육훈련의 기여도 비교․282
[그림 Ⅵ-1] 인력의 특성에 따른 다각화된 인력 양성 경로․287
[그림 Ⅵ-2] 케어매니저 인력 양성 체계․292
[그림 Ⅵ-3] 고령친화산업 분야별 과제의 시급성․30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고령친화산업의 직업연구: 요양·용품·여가·장묘분야를 중심으로 2007.01.01~2007.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