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숙련 불일치와 직장이동
Skill Mismatch and Mobility of Youth in Labor Market
- 저자
- 엄미정 박재민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7-10-02)
- 발행기관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7.10.25
- 등록일
- 2007.10.2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청년층직장이동숙련불일치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주요 문제와 연구 방법 3 제2장 선행연구 7 제1절 청년층의 전공과 취업구조 7 1. 전공일치 취업의 결정요인 7 2. 전공일치 취업의 임금효과 9 제2절 청년층의 경력형성 과정과 직장이동 11 제3장 청년층의 숙련불일치와 노동성과 17 제1절 자료구성 17 제2절 청년층의 전공일치 취업 실태분석 20 1. 전공일치 취업 20 2. 이 직 24 3. 임 금 26 제3절 실증분석 28 1. 분석모형 28 2. 실증분석 결과 30 제4장 청년층 직장이동과 경력형성 41 제1절 자료구성 41 1. 자료구성 42 2. 직장이동 기초통계: 직장경험과 직업경력 44 제2절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과 특성 47 1.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 48 2. 첫 일자리의 특성과 근속 51 3. 첫 일자리 이행기간과 일자리 특성 55 제3절 청년층 직장이동과 경력형성의 주요특성 61 1. 직장이동 횟수와 근속기간 61 2. 직장이동과 경력 변화: 경력일치의 개선여부 65 3. 직장이동 성향에 대한 프로빗 분석: 교육유형, 전공계열 69 제4절 청년층 직장이동과 임금성과 73 1. 실증분석의 이슈 73 2. 추정식과 기초통계: 임금추정식 73 3. 추정결과 76 제5장 결론: 요약 및 정책제언 79 1. 요 약 79 2. 정책제언 85 SUMMARY 89 <부록 1> 분석 결과표 93 <부록 2> 2007 청년층 직업상태 추적조사 설문지 99 참고문헌 109
본 연구에서는 청년실업의 고착화로 야기된 이러한 전공-직무 불일치 및 취업 이후 이직현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청년들이 대학 졸업이후 직업으로 이행하는 과정과 그 이후에 경력을 형성해 가는 과정에 대한 연구의 일환이다. 이러한 주제는 본 연구과제 시리즈의 이전 연구들과 보완적 관계를 가진다. 본 연구의 앞서 진행된 채창균 외(2005, 2006)의 연구가 졸업 이후 3년 이내에 주로 일어나는 노동시장 이행과 진입 초기를 대상으로 취업이나 첫직장의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이행과정의 특성에 관심을 가졌다면, 본 연구는 노동시장 진입 후 4~6년 경과한 시점까지 전공의 유지와 이직 등을 통한 직업경력의 형성과정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서로 보완관계를 가진다.
This study focuses on skill mismatch and mobility of youth in labor market. This reviews determinants and wage effect based on degree field-job choices of the employed youth.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 and wage levels in transfer of workplace and change of career.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empirical analysis. One is the effect of the consistency in the degree field and the job on future career path and whether the maintenance of this consistency is related to the wage. The other topic is to analyze the formation of career path and the mobility of workplace after entering to the labor market. Policy implication and empirical analysis result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t is hard to see that employment stability is finding its place since graduates entails change in career. Specially, colleges and poly-tech colleges graduates reflects this clear trend and transfer of job is highly not to lead to the growth and improvement of career. Therefore, to increase the vocational quality of high-quality personnel graduating from colleges and poly-tech colleges, government and companies shall retain more aggressive attitude for reviewing the system. Second,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nature of first job and the employment period significantly effects the job choice made afterwards, career development and wage. This shows that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support i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first job. Notification of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that has been executed currently shall be expanded per degree-field and region. Also, information regarding the business, industry and employment condition shall be accumulated. Third, career change negatively affects the wage when transferring job but in case of being promoted or transferring to a bigger firm career change positively affects the wage. The more one has career change and the more one has experience different jobs, that factor positively affects the wage. This implies that career accumulation during the youth will significantly affect during adulthood, when the wage practically starts to increase. Therefore, policy approach of government's youth unemployment shall focus more on the long-term solution rather than on the short-term or specific newly graduates. Besides from a policy perspective, college education enables the accumulation of expertise in vocation and universities shall enhance the quality of degree-field education so as to support labor transition to field related jobs. More cautious approach is required for multi field, which is currently expanding. Also, diverse information shall be provided regarding employment and job.
<표 Ⅲ-1> 2007년도 추가조사 표본규모․18 <표 Ⅲ-2> 2003년도 전문대졸업생의 전공별 전공일치취업 분포․21 <표 Ⅲ-3> 2003년도 대학교 졸업생의 전공별 전공일치취업 분포․22 <표 Ⅲ-4> 2003년 졸업생의 전공별 이직률․24 <표 Ⅲ-5> 2003년 졸업생들의 전공일치여부별 이직경험자 비중․25 <표 Ⅲ-6> 2003년도 전문대 졸업생의 전공별 평균연봉․26 <표 Ⅲ-7> 2003년도 대학교 졸업생의 전공별 평균연봉․27 <표 Ⅲ-8> 2003년 대학교 졸업생의 전공취업 수준별 2005년 연봉차이 비교․28 <표 Ⅲ-9> 2003년 대학교 졸업생의 전공취업 수준별 2007년 연봉차이 비교․28 <표 Ⅲ-10> 2003년 졸업생의 2007년 임금 결정요인 분석결과: 대학교 (Tobit 모형)․33 <표 Ⅲ-11> 2003년 졸업생의 2007년 임금 결정요인 분석결과: 전문대 (Tobit 모형)․34 <표 Ⅲ-12> 2003년 졸업생의 2007년 전공취업 결정요인 분석: 대학교 (Logit 모형)․37 <표 Ⅲ-13> 2003년 졸업생의 2007년 전공취업 결정요인 분석: 전문대 (Logit 모형)․38 <표 Ⅲ-14> 2003년 졸업생의 2007년 이직 결정요인 분석결과(Logit 모형)․40 <표 Ⅳ-1> 표본 구성: 학교유형 및 전공별 모집단과 표본․42 <표 Ⅳ-2> 자료구성 내역․43 <표 Ⅳ-3> 직장경험횟수의 분포․44 <표 Ⅳ-4> 성, 학력, 전공별 직업경력․46 <표 Ⅳ-5> 첫 일자리 취득자의 성별 학력별 분포․48 <표 Ⅳ-6> 첫 일자리 이행기간․49 <표 Ⅳ-7> 첫 일자리 이행기간 분포․50 <표 Ⅳ-8> 첫 일자리의 기업 규모․51 <표 Ⅳ-9> 첫 일자리의 직종 ․52 <표 Ⅳ-10> 첫 일자리의 실질임금(2005년=100)․52 <표 Ⅳ-11> 첫 일자리 근속기간 및 재직자(censored data) 비율․53 <표 Ⅳ-12> 첫 일자리 근속기간 분포․54 <표 Ⅳ-13> 첫 일자리 이직 사유․55 <표 Ⅳ-14> 학력별 기업규모별 첫 일자리 이행 기간․56 <표 Ⅳ-15> 학력별 직종별 첫 일자리 이행기간 ․57 <표 Ⅳ-16> 첫 일자리 이행기간별 평균 근속기간 ․57 <표 Ⅳ-17> 첫 일자리 이행기간별 실질임금(입직 시)․58 <표 Ⅳ-18> 임금과 이행기간에 따른 집단별 특성(전체)․60 <표 Ⅳ-19> 직장이동 횟수별 근속기간의 분포․61 <표 Ⅳ-20> 직장이동과 일자리별 근속기간의 분포․64 <표 Ⅳ-21> 직장이동자의 경력 변화․66 <표 Ⅳ-22> 직장이동자의 기업규모 변화․68 <표 Ⅳ-23> 기초통계: 프로빗 분석․70 <표 Ⅳ-24> 직장이동 행태에 대한 프로빗분석: 빈번한 직장이동 여부․71 <표 Ⅳ-25> 경력변동 여부와 임금차이: 실질임금률․74 <표 Ⅳ-26> 기초통계: 임금식 추정․75 <표 Ⅳ-27> 임금식 추정결과: 최근 직장 기준․77 <표 Ⅳ-28> 임금식 추정결과: 임금 증가 기준(최근 직장 - 첫 직장) ․78 [그림 Ⅲ-1] 2007년도 추가조사 표본 구조․19 [그림 Ⅲ-2] 2003년 대학교 졸업생의 현 직장 내 직업훈련 상황․23 [그림 Ⅳ-1] 첫 일자리 이행기간과 실질임금․59 [그림 Ⅳ-2] 직장이동과 일자리별 근속년수의 분포․6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Ⅲ) | 2007.01.01~2007.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