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산업수요와 학력별 수급전망 연구

A Study on the Forecasting of Manpower Demands by Industry and Manpower Requirements by Academic Background
저자
박천수 이상돈 전재식 박주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7-1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7.12.24
등록일
2007.12.24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인력수요 전망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과 기대효과 4
   1. 총량 인력공급전망 4
   2. 총량 인력수요전망 6
   3. 신규인력 수급전망 6
   4. 신규인력 전공별 수급차 전망 7
   5. 기대효과 8
 제3절  인력수급 전망 방법 9
   1. 연구 방법 9
   2. 인력수급전망 방법론 10
제2장  총량 공급전망
 제1절  인구추계 23
   1. 총인구와 가구 추이 23
   2. 연령별 인구구조 26
   3. 지역별 인구구조 30
   4. 각국의 인구변화 전망과 시사점 34
 제2절  생산가능인구 전망 41
   1. 생산가능인구 총량 전망 42
   2. 학력수준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45
   3.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51
 제3절  경제활동참가율 53
   1.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방법 53
   2. 학력수준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56
   3.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57
 제4절  경제활동인구 60
   1. 경제활동인구 총량 전망 60
   2. 학력수준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62
   3.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전망 65
제3장  총량 수요전망
 제1절  인력수요전망의 개요 73
   1. 인력수요전망 목적 73
   2. 기존 연구검토 74
 제2절  인력수요전망의 기본 개요와 방법 75
   1. 인력수급전망의 기본단계와 절차 75
   2. 정량적ㆍ정성적 인력수요전망의 결합 81
 제3절  중장기 산업별 성장과 취업계수 전망 82
   1. 산업별 부가가치 전망 82
   2. 산업별 취업계수 전망 95
 제4절  중장기 노동수요 전망 101
   1. 산업별 노동수요 전망 101
   2. 고용직업분류(KECO) 기준 직업별 수요 113
   3. 표준직업분류(KSCO) 기준 직업별 노동 124
   4. 학력별 노동수요 전망 131
 제5절  정책 함의와 시사점 135
   1. 정책 함의와 활용 방안 135
   2. 국제비교와 시사점 139
제4장  신규인력 수급 전망
 제1절  총량전망과 신규인력 147
   1. 신규인력의 개념과 분석대상 148
   2. 신규인력의 중요성 149
   3. 총량 생산가능인구와 학력별 변동 151
 제2절  신규인력 공급 전망 154
   1. 전공별 졸업생 전망 155
   2. 전공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 168
   3. 직업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 177
 제3절  신규인력 수요 전망 184
   1. 신규인력 수요 전망 절차 및 방법 184
   2. 전공별 신규인력 수요 전망 결과 185
   3. 직업별 신규인력 수요 전망 결과 193
제5장  신규인력의 수급차 전망
 제1절  신규인력 수급차 개념 202
   1. 신규인력 전공별 수급차 202
   2. 학력수준별 수급차와 총량 수치와의 관계 204
 제2절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 206
   1. 전공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 206
   2. 직업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 215
 제3절  설문조사 분석 224
   1.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224
   2. 향후전망 227
   3. 산업수요의 부합정도 231
제6장  결론
 제1절  인력수급 전망개요 237
 제2절  총량인력수급 전망 시사점 239
 제3절  신규인력 연구의 시사점 245
 제4절  수급전망의 개선방향 247
SUMMARY 249
<부록 1> 설문지 257
<부록 2> 조사 설문지 259
참고문헌 301
  기술의 빠른 발전과 경제개방의 확대는 노동의 수요측면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기능)이나 숙련이 바뀌는 등으로 여러 가지 변화를 수반한다. 이에 따라 산업수요의 변동을 감한하여 직업별 고용구조의 변화를 전망하고, 이에 적합한 인력의 양성과 공급의 흐름을 탐색하는 인력수급전망이 갖는 의미가 크다.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과 공동으로 총량 인력수급에 대한 전망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 졸업자를 중심으로 하는 신규인력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분석하였다. 특히 전문대학 이상의 전공별로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전공별 수급차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결과가 학생들의 진로선택을 돕고 정부의 인력수급 관련 정책수립이나 대학의 자율적인 정원조정 등에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주요내용
   - 총량 인력공급전망
   - 총량 인력수요전망
   - 신규인력 수급전망
   - 신규인력 수급차
   - 인력수급전망의 정책 시사점
  The main focus of economic activities has gone from being physical resources such as equipment and raw materials to human resources that possess the necessary technologies and knowledge. Core human resources which boast creative ideas and highly-advanced technological competencies have become an essential factor in securing competitiveness at the enterprise and even national levels. In addition, the securing of basic labor and human resources that boast basic operating skills has become a very important elements in maintaining economic development and in the carrying out of regular economic activities.
  The variable known as salary has traditionally been the main factor at play in terms of ensuring the flexible resolution of the gap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for manpower in individual industrial fields in Korea. However, the recent decrease in the flexibility of the labor market occasioned by the salary variable has resulted in increased difficulties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the demand and supply for manpower. In this regar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job seekers with exact information about general job tasks, or of detailed job descriptions at the individual enterprise level, has increased. To this end, the need to introduce an incentive system through which the required manpower could be educated has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forecasting of manpower requirements represents the basic materials with which manpower policies are established, and can serve as a roadmap in establishing the direction for manpower-related policies, studies on the forecasting of manpower requirements can be regarded as representing a very important element when it comes to the government’s establishment of policies.
  Given this reality, this study set out to forecast total manpower requirements in a highly reliable and useful fashion. In order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for manpower, the results of the forecast conducted herein, which reflect industrial demand, were used to estimate manpower demand by academic background and major, and manpower supply by academic major.
...
<표 Ⅰ-1> 주요 활용통계자료․20
<표 Ⅱ-1> 성별 혼인기준 가구의 변화․25
<표 Ⅱ-2> 인구비중과 부양비․27
<표 Ⅱ-3> 연령별 성별 인구구조의 변화․29
<표 Ⅱ-4> 지역별 성별 인구구조의 변화․32
<표 Ⅱ-5> 각국의 인구전망․35
<표 Ⅱ-6> 1980년 연령별 각국 남자 인구 구성비율․36
<표 Ⅱ-7> 2000년 연령별 각국 남자인구 구성비율․37
<표 Ⅱ-8> 2050년 연령별 각국 남자인구 구성비율․38
<표 Ⅱ-9> 1980년 연령별 각국 여자인구 구성비율․39
<표 Ⅱ-10> 2000년 연령별 각국 여자인구 구성비율․40
<표 Ⅱ-11> 2050년 연령별 각국 여자인구 구성비율․41
<표 Ⅱ-12> 추계인구와 생산가능인구 연간변화 비교․43
<표 Ⅱ-13> 추계인구와 생산가능인구 전망․44
<표 Ⅱ-14>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별 졸업자수 전망․46
<표 Ⅱ-15> 전문대 이상 학력별 사망자수․47
<표 Ⅱ-16> 학력수준별 연간 상위 학력 취득자수․49
<표 Ⅱ-17> 전문대졸 이상 학력별 순증가자수․49
<표 Ⅱ-18> 남자의 학력별 생산가능인구와 변화 전망․50
<표 Ⅱ-19> 여자의 학력별 생산가능인구와 변화 전망․51
<표 Ⅱ-20>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및 연평균 변화․52
<표 Ⅱ-21>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및 연평균 변화전망․56
<표 Ⅱ-22> 학력수준별 경제활동참가율 및 연평균 변화․57
<표 Ⅱ-23>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및 연평균 변화․58
<표 Ⅱ-24> 성별 경제활동인구 및 연평균 변화전망․62
<표 Ⅱ-25> 학력수준별 경제활동참가율 및 연평균 변화․63
<표 Ⅱ-26>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및 연평균 변화․66
<표 Ⅱ-27> 연령별 경제활동인구의 비중 및 연평균 변화․67
<표 Ⅲ-1> 산업 3분류 부가가치 전망․84
<표 Ⅲ-2> 산업연구원의 실질 부가가치 연평균 성장률 전망․85
<표 Ⅲ-3> 산업 3분류 부가가치 비중 전망․86
<표 Ⅲ-4> 농림어업 부가가치 전망․87
<표 Ⅲ-5> 농림어업 부가가치 비중 전망․87
<표 Ⅲ-6> 광업 부가가치 전망․88
<표 Ⅲ-7> 광업 부가가치 비중 전망․89
<표 Ⅲ-8> 제조업 부가가치 전망․90
<표 Ⅲ-9>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전망․92
<표 Ⅲ-10> 서비스업 부가가치 전망․93
<표 Ⅲ-11>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 전망․94
<표 Ⅲ-12> 농림어업 취업계수 전망․97
<표 Ⅲ-13> 광업 취업계수 전망․97
<표 Ⅲ-14> 제조업 취업계수 전망․98
<표 Ⅲ-15> 서비스업 취업계수 전망․100
<표 Ⅲ-16> 산업3분류 노동수요 전망․101
<표 Ⅲ-17> 산업3분류 노동수요 비중 전망․102
<표 Ⅲ-18> 산업대분류 노동수요 전망․103
<표 Ⅲ-19> 산업대분류 노동수요 비중 전망․104
<표 Ⅲ-20> 농림어업 노동수요 전망․105
<표 Ⅲ-21> 농림어업 노동수요 비중 전망․106
<표 Ⅲ-22> 광업 노동수요 전망․106
<표 Ⅲ-23> 광업 노동수요 비중 전망․107
<표 Ⅲ-24> 제조업 노동수요 전망․108
<표 Ⅲ-25> 제조업 노동수요 비중 전망․109
<표 Ⅲ-26> 서비스업 노동수요 전망․111
<표 Ⅲ-27> 서비스업 노동수요 비중 전망․112
<표 Ⅲ-28> 직업중분류 노동수요 전망․114
<표 Ⅲ-29> 직업중분류 노동수요 비중 전망․115
<표 Ⅲ-30> 직업소분류 노동수요 전망․117
<표 Ⅲ-31> 직업소분류 노동수요 비중 전망․121
<표 Ⅲ-32> 표준직업분류 대분류 노동수요 전망․125
<표 Ⅲ-33> 표준직업분류 대분류 노동수요 비중 전망․126
<표 Ⅲ-34> 표준직업분류 중분류 노동수요 전망․127
<표 Ⅲ-35> 표준직업분류 중분류 노동수요 비중 전망․129
<표 Ⅲ-36> 학력별 노동수요 전망․132
<표 Ⅲ-37> 학력별 노동수요 비중 전망․133
<표 Ⅲ-38> 학력계열별 노동수요 전망․134
<표 Ⅲ-39> 학력계열별 노동수요 비중 전망․135
<표 Ⅲ-40> 산업대분류별 취업자 구성(2006년)․140
<표 Ⅲ-41> 산업대분류별 취업자 구성 비중(2006년)․141
<표 Ⅲ-42> 직종대분류별 취업자 구성(2006년)․143
<표 Ⅲ-43> 직종대분류별 취업자 구성비중(2006년)․143
<표 Ⅳ-1> 15세 이상 성별 학력별 비속박 인구의 Stock 변동․151
<표 Ⅳ-2> 2008년 연간 성별 학력별 변동․152
<표 Ⅳ-3> 전망결과와 실적치 비교를 통한 예측력 검증․157
<표 Ⅳ-4> 학력별 졸업생 전망․158
<표 Ⅳ-5> 전문대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 결과: 대분류 기준․160
<표 Ⅳ-6> 전문대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 결과: 중분류 기준․161
<표 Ⅳ-7> 대학교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 결과: 대분류 기준․163
<표 Ⅳ-8> 대학교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 결과: 중분류 기준․164
<표 Ⅳ-9> 대학원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 결과: 대분류 기준․166
<표 Ⅳ-10> 대학원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 결과: 중분류 기준․167
<표 Ⅳ-11> 학력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169
<표 Ⅳ-12> 전문대의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171
<표 Ⅳ-13> 전문대의 전공중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172
<표 Ⅳ-14> 대학교의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173
<표 Ⅳ-15> 대학교의 전공중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174
<표 Ⅳ-16> 대학원의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175
<표 Ⅳ-17> 대학원의 전공중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176
<표 Ⅳ-18> 고용직업분류 체계․177
<표 Ⅳ-19> 직업 대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전망: 전체 학력 기준․178
<표 Ⅳ-20> 직업 중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전망: 전체 학력 기준․180
<표 Ⅳ-21> 직업 중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전망: 전문대 기준․181
<표 Ⅳ-22> 직업 중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전망: 대학교 기준․182
<표 Ⅳ-23> 직업 중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전망: 대학원 기준․183
<표 Ⅳ-24> 학력별 신규인력 수요 규모 전망․186
<표 Ⅳ-25> 전문대의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규모 전망․187
<표 Ⅳ-26> 전문대의 전공중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규모 전망․188
<표 Ⅳ-27> 대학교의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규모 전망․189
<표 Ⅳ-28> 대학교의 전공중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규모 전망․190
<표 Ⅳ-29> 대학원의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규모 전망․191
<표 Ⅳ-30> 대학원의 전공중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규모 전망․192
<표 Ⅳ-31> 직업 대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전망: 전체 학력 기준․193
<표 Ⅳ-32> 직업 중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전망: 전체 학력 기준․195
<표 Ⅳ-33> 직업 중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전망: 전문대 기준․197
<표 Ⅳ-34> 직업 중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전망: 대학교 기준․198
<표 Ⅳ-35> 직업 중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전망: 대학원 기준․199
<표 Ⅴ-1> 전공별 수급차 사례․203
<표 Ⅴ-2> 학력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207
<표 Ⅴ-3> 전문대의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208
<표 Ⅴ-4> 전문대의 전공중분류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209
<표 Ⅴ-5> 대학교의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211
<표 Ⅴ-6> 대학교의 전공중분류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212
<표 Ⅴ-7> 대학원의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213
<표 Ⅴ-8> 대학원의 전공중분류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214
<표 Ⅴ-9> 직업 대분류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 전체 학력 기준․215
<표 Ⅴ-10> 직업 중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전망: 전체 학력 기준․217
<표 Ⅴ-11> 직업 대분류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 전문대 기준․218
<표 Ⅴ-12> 직업 중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전망: 전문대 기준․219
<표 Ⅴ-13> 직업 대분류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 대학교 기준․220
<표 Ⅴ-14> 직업 중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전망: 대학교 기준․221
<표 Ⅴ-15> 직업 대분류별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 대학원 기준․222
<표 Ⅴ-16> 직업 중분류별 신규인력 수요 전망: 대학원 기준․223
<표 Ⅴ-17> 표본 구성․224
<표 Ⅴ-18> 전문대학 전공별 전망에 대한 판단․225
<표 Ⅴ-19> 대학 전공별 전망에 대한 판단․226
<표 Ⅴ-20> 대학원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에 대한 판단․227
<표 Ⅴ-21> 전공별 향후 전망 - 전문대․228
<표 Ⅴ-22> 전공별 향후 전망 - 대학․229
<표 Ⅴ-23> 전공별 향후 전망 - 대학원․230
<표 Ⅴ-24> 전문대 산업수요 부합정도에 대한 설문결과․232
<표 Ⅴ-25> 대학 산업수요 부합정도에 대한 설문결과․233
<표 Ⅴ-26> 대학원 산업수요 부합정도에 대한 설문결과․234
<표 Ⅵ-1> 중장기 총량 인력수급전망 결과․238
<부표 1> 전문대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 결과: 소분류 기준․265
<부표 2> 대학교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 결과: 소분류 기준․268
<부표 3> 대학원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 결과: 소분류 기준․272
<부표 4> 전문대의 전공별 신규 공급 전망 결과: 소분류 기준․276
<부표 5> 대학교의 전공별 신규 공급 전망 결과: 소분류 기준․279
<부표 6> 대학원의 전공별 신규 공급 전망 결과: 소분류 기준․283
<부표 7> 전문대의 전공별 신규 수요 전망 결과: 소분류 기준․287
<부표 8> 대학교의 전공별 신규 수요 전망 결과: 소분류 기준․290
<부표 9> 전문대의 전공별 수급차 전망 결과: 소분류 기준․294
<부표 10> 대학교의 전공별 수급차 전망 결과: 소분류 기준․297
[그림 I-1] 인력수급전망 연혁 비교․11
[그림 I-2] 전망추진 체계․12
[그림 I-3] BLS 인력전망 모형의 기본구조와 전망과정․14
[그림 I-4] IER 인력전망 모형의 기본구조와 전망과정․15
[그림 I-5] IAB 인력전망 모형의 기본구조와 전망과정․16
[그림 I-6] ROA 인력전망 모형의 기본구조와 전망과정․17
[그림 I-7] 직능원 인력수급 총량 및 신규인력 전망 모형․19
[그림 Ⅱ-1] 1960-2050년 우리나라 인구규모 추계와 여성비중․23
[그림 Ⅱ-2] 연령대별 고용률 비교(OECD, ’07)․28
[그림 Ⅱ-3] 지역별 인구비중의 변화전망․33
[그림 Ⅱ-4] 1991-2006년 경제활동참가율 변화․55
[그림 Ⅱ-5] 여자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59
[그림 Ⅱ-6] 경제활동인구 전망․61
[그림 Ⅱ-7] 고학력자의 경제활동인구 변화․64
[그림 Ⅱ-8] 남자의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구성비․68
[그림 Ⅱ-9] 여자의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구성비․69
[그림 Ⅱ-10] 연령별 인적자원공급구조 변화․70
[그림 Ⅲ-1] 인력수급전망 기본 단계․76
[그림 Ⅲ-2] 산업×직업 비중행렬구조․79
[그림 Ⅲ-3] 정성적 인력수요전망 기본 단계․82
[그림 Ⅲ-4] 전산업 부가가치와 증가율의 연도별 추이․83
[그림 Ⅲ-5] 산업별 취업계수 전망․96
[그림 Ⅲ-6] 제조업 분야 산업별 성장과 노동수요 전망의 관계․136
[그림 Ⅲ-7] 서비스산업 분야 산업별 성장과 노동수요 전망의 관계․137
[그림 Ⅲ-8] 산업대분류별 취업자 구성비율(2006년)․142
[그림 Ⅲ-9] 직종대분류별 취업자 구성비율(2006년)․144
[그림 Ⅳ-1] 신규인력 공급 전망 절차․154
[그림 Ⅳ-2] 전공별 졸업생수 전망 절차․155
[그림 Ⅳ-3] 학력별 졸업생수 비중 변화․159
[그림 Ⅳ-4] 전문대 졸업생의 연평균 증가율(2006~2016년) 상위 10개 전공: 소분류 기준․162
[그림 Ⅳ-5] 전문대 졸업생의 연평균 증가율(2006~2016년) 하위 10개 전공: 소분류 기준․162
[그림 Ⅳ-6] 대학교 졸업생의 연평균 증가율(2006~2016년) 상위 10개 전공: 소분류 기준․165
[그림 Ⅳ-7] 대학교 졸업생의 연평균 증가율(2006~2016년) 하위 10개 전공: 소분류 기준․165
[그림 Ⅳ-8] 학력별 신규인력 공급규모 비중 변화․170
[그림 Ⅳ-9] 직업 대분류별 신규인력 공급규모 비중 변화․179
[그림 Ⅳ-10] 신규인력 수요 전망 절차․184
[그림 Ⅳ-11] 학력별 신규인력 수요규모 비중 변화․186
[그림 Ⅳ-12] 직업 대분류별 신규인력 수요규모 비중 변화․194
[그림 Ⅴ-1] 전공대분류별 초과공급 비중․208
[그림 Ⅴ-2] 직업 대분류별 초과공급 비중․216
[그림 Ⅴ-3] 전문대 향후 전망에 대한 설문결과와 초과공급․230
[그림 Ⅴ-4] 대학 향후 전망에 대한 설문결과와 초과공급․231
[그림 Ⅴ-5] 대학원 향후 전망에 대한 설문결과와 초과공급․231
[그림 Ⅴ-6] 전문대 산업수요 부합정도에 대한 설문결과와 초과공급․235
[그림 Ⅴ-7] 대학 산업수요 부합정도에 대한 설문결과와 초과공급․235
[그림 Ⅴ-8] 대학원 산업수요 부합정도에 대한 설문결과와 초과공급․235
[그림 Ⅵ-1] 경제활동인구와 실업률 전망․240
[그림 Ⅵ-2] 2006∼2016년 연령별 공급구조 변화․24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산업수요와 학력별 수급 전망 연구 2007.01.01~2007.12.24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