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Ⅱ) :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경쟁력
Social Capital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Ⅱ): Social Capital of Enterprises and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Korea
- 저자
- 이영현 김미란 김안국 유한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7-2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7.12.31
- 등록일
- 2007.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사회적 자본기업인적자원개발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3 1. 연구의 내용 3 2. 연구의 방법 4 제3절 연구의 범위 5 1. 연도별 연구 내용 5 2. 1차년도 연구 :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Ⅰ) 연구 요약 6 제2장 조직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논의 제1절 조직 수준에서의 사회적 자본 13 1. 사회적 자본의 개념 13 2. 사회적 자본의 수준 : 개인 수준과 조직 수준 14 3. 조직 내 사회적 자본의 구성 차원 21 제2절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조직역량에 미치는 영향 33 1. 긍정적 효과 34 2. 부정적 효과 37 제3절 연구의 분석 틀 38 제3장 기업의 사회적 자본 현황 제1절 기업의 사회적 자본 측정 도구 개발 41 1. 기업의 사회적 자본 개념 정립 41 2. 기업의 사회적 자본 측정 지표 설정 41 제2절 조사 개요 및 분석 방법 44 1. 조사 개요 44 2. 설문지 구성과 주요 항목 48 3. 측정 모형의 탐색 50 4. 데이타 코딩 및 분석 방법 52 제3절 기업 내 사회적 자본의 수준 56 1. 신뢰 56 2. 네트워크 61 3. 비전 및 가치의 공유 66 4. 기업의 사회적 자본 구성차원 간 관계 67 5. 기업의 사회적 자본 측정 모형의 분석 70 제4장 기업의 경영 시스템과 사회적 자본 제1절 선행 연구 정리 및 자료 변수화 75 1. 선행 연구 분석 75 2. 자료 변수화 77 제2절 기업의 조직구조와 사회적 자본 80 1. 기업지배구조와 사회적 자본 80 2. 기업의 구조적 특성과 사회적 자본 84 제3절 기업의 고용관행과 사회적 자본 87 1. 고용 지속성과 사회적 자본 87 2. 보상제도와 사회적 자본 90 제4절 조직문화와 사회적 자본 92 제5절 기업 내 사회적 자본의 결정 요인 95 1. 변수 및 모형 95 2. 결과 97 제6절 소결 101 제5장 기업 내 사회적 자본과 기업 성과 제1절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지식활동 105 1. 지식경영과 지식활동에 대한 논의 106 2.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지식활동과의 관계 110 3. 기업의 지식활동 실태 113 4.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지식활동에 미치는 영향 119 5. 요약 및 논의 124 제2절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몰입 125 1. 사회적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 125 2. 분석 모형의 구안 129 3. 분석결과 134 4. 논의 138 제3절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노사협력 140 1. 사회적 자본과 노사협력에 대한 논의 141 2. 노사협력의 주요특성에 대한 노사의 인식 비교 144 3. 노사협력과 사회적 자본의 상관관계 150 4.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노사협력에 미치는 영향 153 5. 요약 및 논의 158 제4절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기업효율 161 1.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성과에 대한 논의 161 2. 구조 모형 분석 164 3. 요약 및 논의 170 제6장 기업의 사회적 자본 형성 방안 제1절 상호 교류의 기회 제공 171 제2절 유연한 조직구조 172 제3절 고용 안정 173 제4절 합리적인 조직문화 174 제5절 지식정보 시스템의 활용 175 제7장 요약 및 결론 제1절 요약 179 제2절 결론 183 SUMMARY 185 <부록 1> 설문조사지 - 인사담당자용 193 <부록 2> 설문조사지 - 팀장용 207 <부록 3> 설문조사지 - 팀원용 218 <부록 4> 설문조사지 - 근로자대표용 235 참고문헌 245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사회적 자본을 정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2006년부터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을 주제로 3내년 연속과제를 수행해 오고 있다. 2006년의 1차년도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이에 기초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전국 수준의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사회적 자본의 수준을 진단하였다. 이번 2차년도의 기업 내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역량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업의 사회적 자본을 관계적 차원(신뢰), 구조적 차원(네트워크), 인지적 차원(비전 및 가치공유)으로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100개 기업(금융보험업과 사업서비스업)의 연구개발, 기획 및 상품개발 등 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핵심부서의 팀장과 팀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한 분석으로 우선 우리나라 기업의 사회적 자본 수준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자본 형성 요인을 조직구조 측면과 고용관행 측면, 작업조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자본은 기업의 지식활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구성원의 조직몰입 정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었다. '비전 및 가치공유'의 사회적 자본은 노사협력의 수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업의 인적자본은 사회적 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자본은 기업 효율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요내용 - 조직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논의 - 기업 내 사회적 자본의 수준 - 기업의 경영 시스템과 사회적 자본 -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몰입 - 기업의 사회적 자본 형성 방안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he first is to measure the social capital and business performance of Korean enterprises. The second is to devise effective ways to develop social capital towards enhanc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the concept of an organization's social capital must first be defined. In this study, social capital has three dimensions: the structural (trust), the relational (network), and the perceptual (shared vision and values).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the goal of determining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nd business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The sample group consisted of 100 for-profit organizations-mostly in either finance/insurance or business services sector. The survey team visited the companies to gather responses to four different types of questionnaires each designed for the HR manager, the employee representative, the team manager and the working-level staff. Respondent teams/departm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significance in the company's business as well as their headcount. In general, departments that are key to the value creation, such as those responsible for R&D, planning and product development, with a manpower of more five people or more, were considered as a potential respondent. The survey was carried out over the course of nine weeks from July 16th to September 14th, 2007. This part of the work was outsourced to a professional research firm to ensure greater reliability of results. ...
<표 Ⅰ-1> 연도별 연구 내용․6 <표 Ⅲ-1>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기업성과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42 <표 Ⅲ-2> 설문조사 대상기업의 규모별 업종별 분포․45 <표 Ⅲ-3> 조사대상자의 특성(팀장)․46 <표 Ⅲ-4> 조사대상자의 특성(팀원)․47 <표 Ⅲ-5> 기업의 사회적 자본 설문 항목 및 조사 내용․48 <표 Ⅲ-6> 기업 규모별, 업종별 신뢰 수준․57 <표 Ⅲ-7> 회사에 대한 신뢰․58 <표 Ⅲ-8> 상사에 대한 신뢰․59 <표 Ⅲ-9> 동료에 대한 신뢰․59 <표 Ⅲ-10> 부하직원에 대한 신뢰․60 <표 Ⅲ-11> 타부서원에 대한 신뢰․61 <표 Ⅲ-12> 기업 규모별 네트워크 밀도․62 <표 Ⅲ-13> 업종별 네트워크 밀도(6개 업종)․63 <표 Ⅲ-14> 기업 규모별 네트워크 중심화 정도(%)․64 <표 Ⅲ-15> 업종별 네트워크 중심화 정도(%)․65 <표 Ⅲ-16> 부서 간 네트워크․66 <표 Ⅲ-17> 기업 내 비전 및 가치의 공유 수준․67 <표 Ⅲ-18> 기업의 사회적 자본 구성차원간 관계․69 <표 Ⅲ-19> 측정모형 적합도 평가․71 <표 Ⅳ-1> 변수들의 기초통계량․79 <표 Ⅳ-2> 기업지배구조와 사회적 자본(신뢰와 가치공유)․82 <표 Ⅳ-3> 기업지배구조와 사회적 자본(네트워크)․83 <표 Ⅳ-4> 기업 규모와 사회적 자본의 상관관계․85 <표 Ⅳ-5> 업종 간 차이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85 <표 Ⅳ-6> 기업의 위계 정도와 사회적 자본․86 <표 Ⅳ-7> 그룹 계열사 여부와 사회적 자본․86 <표 Ⅳ-8> 기업의 연령과 사회적 자본․87 <표 Ⅳ-9> 고용보장 여부와 사회적 자본․88 <표 Ⅳ-10> 이직률과 사회적 자본수준(상관관계)․89 <표 Ⅳ-11> 비정규직 비율과 사회적 자본․90 <표 Ⅳ-12> 직무배치의 유연성과 사회적 자본․90 <표 Ⅳ-13> 기업의 임금수준과 사회적 자본․91 <표 Ⅳ-14> 개인인센티브 강도와 사회적 자본․91 <표 Ⅳ-15> 작업조직의 자율성과 사회적 자본․92 <표 Ⅳ-16> 의사소통의 원활함과 사회적 자본․93 <표 Ⅳ-17> 정보 공유와 사회적 자본․94 <표 Ⅳ-18> 지식정보시스템과 사회적 자본․94 <표 Ⅳ-19> 측정모형의 회귀계수와 t값․98 <표 Ⅳ-20> 잠재변수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100 <표 Ⅴ-1> 지식활동의 개념․110 <표 Ⅴ-2> 기업 내 지식활동의 수준․115 <표 Ⅴ-3> 학습의 유형․118 <표 Ⅴ-4> 지식활동간 상관관계․119 <표 Ⅴ-5> 지식활동모형 적합도 평가․119 <표 Ⅴ-6> 기본모형과 수정모형의 추정값․120 <표 Ⅴ-7> 사회적 자본이 지식활동에 미치는 전체효과와 간접효과․123 <표 Ⅴ-8> 조직몰입 투입변수 기초통계․132 <표 Ⅴ-9> 조직몰입도 다층모형 분석결과․135 <표 Ⅴ-10> 노조 연혁․144 <표 Ⅴ-11> 접촉빈도․145 <표 Ⅴ-12> 평소 노사관계에 대한 인식: 5점 척도․146 <표 Ⅴ-13> 노사대립 경험: 지난 3년간 (노사협의회 포함)․146 <표 Ⅴ-14> 노사 간 의견 대립 시 주된 해결 방법 : 5점 척도․147 <표 Ⅴ-15> 노조에 대한 사측의 대응: 지난 2년간․147 <표 Ⅴ-16> 품질관련 노사협력 수준: 5점 척도․148 <표 Ⅴ-17> 노사합의를 위한 제안금액과 수락최소 금액: 상금 100 나누기․149 <표 Ⅴ-18> 성과배분에 대한 노사의 양보/배타성․149 <표 Ⅴ-19> 노사협력과 사회적 자본 변수간 상관관계: 노조유무별․151 <표 Ⅴ-20> 노사협력과 사회적 자본 변수간 상관관계: 사업서비스업․152 <표 Ⅴ-21> 노사협력과 사회적 자본 변수간 상관관계: 금융보험업․152 <표 Ⅴ-22> 기초통계․154 <표 Ⅴ-23> 평소 노사협력 정도에 대한 회귀분석․157 <표 Ⅴ-24> 평소 노사협력 정도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 전체․157 <표 Ⅴ-25> 변수들의 기초통계량․166 <표 Ⅴ-26> 측정모형의 회귀계수와 t 값, 값․167 <표 Ⅴ-27> 잠재변수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168 [그림 Ⅱ-1]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틀․39 [그림 Ⅱ-2] 연구의 분석 틀․40 [그림 Ⅲ-1] 네트워크 밀도 유형 예시․55 [그림 Ⅲ-2] 네트워크 중심화 유형 예시․56 [그림 Ⅲ-3] 기업 내 신뢰 수준․57 [그림 Ⅲ-4] 기업 규모별 네트워크 밀도․62 [그림 Ⅲ-5] 업종별 네트워크 밀도(6개 업종)․63 [그림 Ⅲ-6] 기업 규모별 네트워크 중심화(%)․64 [그림 Ⅲ-7] 업종별 네트워크 중심화(%)․65 [그림 Ⅲ-8] 모형․72 [그림 Ⅳ-1] 사회적 자본 영향 요인 추정 모형․96 [그림 Ⅳ-2] 사회적 자본 영향요인의 구조 모형 추정 결과․101 [그림 Ⅴ-1] 기업 내 지식 활동의 수준․114 [그림 Ⅴ-2] 기업 내 학습의 유형․117 [그림 Ⅴ-3] 수정모형 분석결과․122 [그림 Ⅴ-4] 모형․164 [그림 Ⅴ-5] 모형 추정 결과․16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Ⅱ) :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경쟁력 | 2007.01.01~2007.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