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능력개발 훈련수요 조사 : 한·미 FTA에 따른 훈련수요 추정

A Vocational Training Demand Survey : Estimation of Training Demand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U.S. FTA
저자
고혜원 이상준 주인중 김상호
분류정보
기본연구(2007-2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7.12.31
등록일
2007.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한·미 FTA직업능력개발훈련수요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주요 연구 내용 2
 제3절  연구 방법 4
제2장  한ㆍ미 FTA의 주요 내용 및 관련 대책
 제1절  주요 내용 및 영향 7
 제2절  국내 보완대책 16
제3장  한ㆍ미 FTA 영향으로 인한 산업별ㆍ직업별 고용조정과 인력 수요 규모 추정
 제1절  추정 개요 25
 제2절  산업별 고용조정과 인력 수요 변화의 규모 추정 27
 제3절  직업별 고용조정과 인력 수요 변화의 규모 추정 37
제4장  한ㆍ미 FTA로 인한 직종별 훈련수요 규모 추정
 제1절  직업-훈련과정 매핑 및 추정 방법 45
 제2절  추정 결과 50
제5장  4개 업종 인력 및 훈련 수요 조사 결과
 제1절  조사 개요 61
 제2절  기업체 일반 현황 64
 제3절  한ㆍ미 FTA와 기업의 변화 68
 제4절  정책 요구 98
 제5절  요약 102
제6장  정책 방안
SUMMARY 109
<부록 1> 기업체 조사지 115
<부록 2> 고용조정과 인력수요 추정 관련 부표 125
<부록 3> 훈련수요 추정관련 부표 133
참고문헌 141
  2007년 4월 2일 한·미 FTA 협상이 타결되어 현재 양국에서 의회의 비준을 기다리고 있다. 한·미 FTA 협상을 전후로 성장률과 고용창출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시나리오에 따라 다르지만 이러한 분석들은 약 30~55만?명의 고용 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따라 새롭게 창출될 인력 수요에 따른 직업훈련 수요의 증가도 예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렇듯 한·미 FTA의 영향으로 인한 고용조정 및 인력 수요에 따른 직업훈련 수요를 추정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 주요내용
   - 한·미 FTA의 주요 내용 및 업종별 영향 분석
   - 산업별, 직업별, 훈련직종별 한·미 FTA의 영향으로 인한 고용조정 및 인력수요 규모에 따른 훈련수요 추정
   - 기계, 전기전자, 의류 및 섬유, 승용차 및 부품 업종 390여 개소에 대하여 한·미 FTA에 따른 인력 및 훈련 수요, 한·미 FTA 준비 수준 등에 대한 설문조사 및 업종별 연합회, 협회 인사 등과의 면담결과 분석
   - 정책방안 도출
  With the Korea-U.S. FTA taking effect as of April 2nd 2007, both countries are now awaiting legislative ratifi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urvey on vocational training demand arising from employment adjustment and manpower demand following the agreement.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FTA on labor markets, the primary terms of the Korea-U.S. FTA and their impact on each job were investigated. 
  Secondly, the vocational training demand directly resulting from employment adjustment and manpower demand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an FTA with the U.S. has been divided into estimates for each industry, job, and training program. 
  By deducting the adjusted employment number from the net job creation thanks to the FTA, the increase of manpower demand is estimated to be around 75,200 to 395,900 jobs in total. The agriculture & fishery industries, which are under more pressure for employment adjustment, might not show an increase in demand for human resources, however about 19,000 more jobs are expected to be created in the long ru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t is estimated that there will be an increase in manpower demand in the range of 5,800 to 92,800. As a driver of job creation in the Korean market, the service sector will see an increase in manpower demand of 69,400 to 283,700. 
  Looking into the manpower demand derived from the agreement by job type, the biggest beneficiaries in the next decade shall be beauty, accommodation, travel, entertainment, and sport related jobs, which will experience an increase in manpower demand in the range of 25,000 to 100,000, while positions in the textile & clothing industries are expected to increase by 8,000 to 55,000.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estimation, the training demand for each job category was analyzed by classifying 75,162 jobs as a minimum demand arising from FTA in each job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demand volume: other service (22,702 persons), tourism & accommodation service (5,949 persons), sewing (4,292 persons), maintenance?facilities (3,463 persons), clothes making (2,098 persons), and construction (2,092 persons).
  In addition, 395,940 jobs was analyzed to be the maximum manpower demand arising from the agreement, and by job training field these can be broken down as: other services (92,231 persons), sewing (31,086 persons), maintenance?facilities (18,386 persons), and clothes making (15,197 persons).
  Thirdly, targeting about 390 businesses in the machinery, electricity & electronics, clothing & textile, and the automotive & auto parts sectors, all of which are expected to be strongly affected by the Korea-U.S. FTA, surveys as well as interviews with associations representing each industry and industry leaders were conducted regarding the anticipated job & vocational training demand brought about by the FTA, and how prepared they are for the resulting changes. 
  In general, rather than a direct and quick effect, businesses anticipate long-term effects from the Korea-U.S. FTA. Taking a mid & long-term view, 3 years or more into the agreement the domestic market will witness job increases to some degree in the R&D sector, and another slight increase in mechanical, office, sales, and technical jobs. Meanwhile, low-skilled labor jobs are anticipated to decrease in demand. In addition, businesses in overseas markets are more likely to have an increase in manpower demand that is much higher than their overall sector.
  As it is still very much in controversy for many parts of the county, it isn’t easy to clearly forecast the effects of the agreement between Korea & the U.S. on our economy. However, policy must be shaped to prepare countermeasures that respond to the impact of the bilateral agreement. In other words, the framing of policy should be based not on the prospective result, but should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result. It is much more important to prepare a contingency plan which can respond to general situations expected from the prospective result.
<표 Ⅱ-1> 주요 수출국별 미국시장 점유율 추이․10
<표 Ⅱ-2> 한국, 미국, 일본의 관세율 비교․12
<표 Ⅱ-3> 한․미 FTA 자동차 분야 핵심 사안 협상 진행 상황과 타결 결과․13
<표 Ⅱ-4> 부처별 보완대책 세부과제․23
<표 Ⅱ-5> 이행시기별 보완대책 세부과제․23
<표 Ⅱ-6> 목적별 보완대책 세부과제․23
<표 Ⅲ-1> 한․미 FTA의 거시경제 효과(누적): GDP 및 후생․27
<표 Ⅲ-2> 한․미 FTA의 (누적)고용효과 - 순일자리 규모의 변동․30
<표 Ⅲ-3> 생산물 시장 변화 기준 한․미 FTA의 분류별(누적) 순고용효과․31
<표 Ⅲ-4> 해외요인 변화에 따른 고용조정의 압력과 인력수요의 증가 규모(누적개념)․32
<표 Ⅲ-5> 한․미 FTA로 인한 고용조정 규모의 범위(업종별)․34
<표 Ⅲ-6> 한․미 FTA로 인해 증가하는 인력수요(일자리 창출의 순규모에서 고용조정 인원을 차감) 증가 규모(업종별)․36
<표 Ⅲ-7> CGE모형의 산업(품목)과 한국표준산업분류 연계․38
<표 Ⅲ-8> 산업별․직업별 취업자 분포와 고용효과․39
<표 Ⅲ-9> 한․미 FTA로 인한 고용조정 규모(직업별)․42
<표 Ⅲ-10> 한․미 FTA로 인한 인력수요(직업별)․43
<표 Ⅳ-1> 경영․회계․사무 관련직의 훈련직종 매핑 예시․46
<표 Ⅳ-2> 경영․회계․사무 관련직의 훈련직종 분포 예시․49
<표 Ⅳ-3> 한․미 FTA에 의한 훈련예상수요(최소치)․53
<표 Ⅳ-4> 한․미 FTA에 의한 훈련예상수요(최대치)․56
<표 Ⅴ-1> 설문문항․62
<표 Ⅴ-2> 모집단 및 조사표본․63
<표 Ⅴ-3> 조사대상 특성․63
<표 Ⅴ-4> 근로자 수․65
<표 Ⅴ-5> 매출액․65
<표 Ⅴ-6> 인건비․66
<표 Ⅴ-7> 교육훈련비․67
<표 Ⅴ-8> 인력채용방법․68
<표 Ⅴ-9> 한․미 FTA 협정의 협의내용 인지정도․69
<표 Ⅴ-10> 한․미 FTA에 대한 방안 수립 여부․70
<표 Ⅴ-11> 한․미 FTA로 인한 경제적 기대효과-전체․71
<표 Ⅴ-12> 한․미 FTA로 인한 경제적 기대효과-산업별․71
<표 Ⅴ-13> 한․미 FTA 발효 후 인력수급에 대한 전망-전체․73
<표 Ⅴ-14> 한․미 FTA 발효 후 인력수급에 대한 전망-산업별․74
<표 Ⅴ-15> 한․미 FTA 발효 후 직무별 인력수급에 대한 전망-전체․75
<표 Ⅴ-16> 한․미 FTA 발효 후 직무별 인력수급에 대한 전망-산업별․76
<표 Ⅴ-17> 한․미 FTA로 인한 신규채용 증가 직업군(대분류)․77
<표 Ⅴ-18> 한․미 FTA로 인한 신규채용 증가 직업군(소분류)․78
<표 Ⅴ-19> 한․미 FTA로 인한 신규채용 인력의 필요 훈련직종(대분류)․80
<표 Ⅴ-20> 신규채용 증가 직업군별 교육훈련 직종-관리직․81
<표 Ⅴ-21> 신규채용 증가 직업군별 교육훈련 직종-경영․회계․사무관련직․82
<표 Ⅴ-22> 신규채용 증가 직업군별 교육훈련 직종-문화․예술․디자인․방송 관련직․83
<표 Ⅴ-23> 신규채용 증가 직업군별 교육훈련 직종-운전 및 운송 관련직․83
<표 Ⅴ-24> 신규채용 증가 직업군별 교육훈련 직종-영업 및 판매 관련직․84
<표 Ⅴ-25> 신규채용 증가 직업군별 교육훈련 직종-경비 및 청소 관련직․85
<표 Ⅴ-26> 신규채용 증가 직업군별 교육훈련 직종-기계 관련직․86
<표 Ⅴ-27> 신규채용 증가 직업군별 교육훈련 직종-섬유 및 의복 관련직․87
<표 Ⅴ-28> 신규채용 증가 직업군별 교육훈련 직종-전기․전자 관련직․88
<표 Ⅴ-29> 신규채용 증가 직업군별 교육훈련 직종-정보통신 관련직․89
<표 Ⅴ-30> 한․미 FTA가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 직무별 인력수급에 대한 전망-전체․90
<표 Ⅴ-31> 한․미 FTA가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 직무별 인력수급에 대한 전망-산업별 예상증감비율․91
<표 Ⅴ-32> 한․미 FTA 발효 후 재직근로자의 추가 교육훈련 수요 직종(대분류)․92
<표 Ⅴ-33> 한․미 FTA 발효 후 재직근로자의 추가 교육훈련 수요 직종(소분류)․93
<표 Ⅴ-34> 한․미 FTA가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 재직근로자의 추가 교육훈련 수요 직종(대분류)․95
<표 Ⅴ-35> 한․미 FTA가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 재직근로자의 추가 교육훈련 수요 직종(소분류)․96
<표 Ⅴ-36> 한․미 FTA가 기업 인력활용에 미치게 될 영향․99
<표 Ⅴ-37> 한․미 FTA 발효 후 기업 또는 업종에 필요한 정부 정책․101
[그림 Ⅳ-1] 추정 절차 개요․5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능력개발훈련 수요 조사: 한미 FTA에 따른 훈련수요 추정 2007.01.01~2007.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