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Ⅱ-1> 선정 평가 진행의 일정 및 주요내용․9
<표 Ⅱ-2> 발표 심사 일정․11
<표 Ⅱ-3> 특성화 기 선정 학교의 선정 평가 지표․12
<표 Ⅱ-4> 특성화 전환 희망 학교의 선정 평가 지표․13
<표 Ⅱ-5> 선정 결과․18
<표 Ⅱ-6> 지역별 선정 현황․19
<표 Ⅱ-7> 희망 유형(특성화 기선정/특성화 전환 희망)별 평가 결과․20
<표 Ⅱ-8> 계열별 평가 결과․21
<표 Ⅱ-9> 농업계열 신청 학교의 주요심의 내용․23
<표 Ⅱ-10> 공업계열 신청 학교의 주요심의 내용․24
<표 Ⅱ-11> 상업계열 신청 학교의 주요심의 내용․25
<표 Ⅲ-1> 추진절차 및 주요일정․28
<표 Ⅲ-2> 직업교육체제 혁신 추진 실적 분석 항목․29
<표 Ⅲ-3> 시․도별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혁신 추진 목표대비 실적 현황․31
<표 Ⅲ-4> 시․도별 진로지도 및 취업지원 추진 목표대비 실적 현황․33
<표 Ⅲ-5> 시․도별 계속교육 활성화 추진 목표대비 실적 현황․34
<표 Ⅲ-6> 시․도별 직업교육기관 학생의 교육복지 확충 추진 목표대비 실적 현황․34
<표 Ⅲ-7> 시․도별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혁신 추진 예산 현황․37
<표 Ⅲ-8> 직업교육체제 혁신 추진의 긍정적 효과․60
<표 Ⅲ-9> 직업교육체제 혁신 추진의 부정적 결과․67
<표 Ⅲ-10> 직업교육체제 혁신 추진의 애로사항․72
<부표 1>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2006년도 목표 및 실적 종합(서울, 부산, 인천, 대구)․197
<부표 2>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2006년도 목표 및 실적 종합(광주, 대전, 울산, 경기)․211
<부표 3>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2006년도 목표 및 실적 종합(강원, 경북, 경남, 전북)․219
<부표 4>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2006년도 목표 및 실적 종합(전남, 충북, 충남, 제주)․229
<부표 5> 시도별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추진 관련 2006년도 예산․238
<부표 6> 2006년 시도별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추진 주관부서 및 협조기관(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경기)․241
<부표 7> 2006년 시도별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추진 주관부서 및 협조기관(강원,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충북, 충남, 제주)․246
<부표 8> 직업교육체제 혁신 추진의 긍정적 효과, 부정적 결과 및 추진 상의 애로사항(서울, 부산, 인천, 대구)․250
<부표 9> 직업교육체제 혁신 추진의 긍정적 효과, 부정적 결과 및 추진 상의 애로사항(광주, 대전, 울산, 경기)․265
<부표 10> 직업교육체제 혁신 추진의 긍정적 효과, 부정적 결과 및 추진 상의 애로사항(강원, 경북, 경남, 전북)․277
<부표 11> 직업교육체제 혁신 추진의 긍정적 효과, 부정적 결과 및 추진 상의 애로사항(전남, 충북, 충남, 제주)․290
<부표 12> 1-1-1. 지자체(광역․기초)에 의한 전문계고 특성화․303
<부표 13> 1-1-2. 산업체 및 직능단체에 의한 전문계고 특성화․304
<부표 14> 1-1-3. 각 정부 부처에 의한 전문계고 특성화․305
<부표 15> 1-1-4. 농어촌 전문계고를 ‘지역종합문화센터’로 육성․307
<부표 16> 1-2-1. 일반 전문계고의 교육과정 전면 개편․308
<부표 17> 1-2-2. 통합형고 제도의 본격 도입․309
<부표 18> 1-2-3. 일반 전문계고의 기초학력책임지도제 도입․310
<부표 19> 1-2-4. 전문계고 학급당 학생수 하향 조정․312
<부표 20> 1-3-1. 학교 컨설팅 활성화․313
<부표 21> 1-3-2. 직업교육 최고경영자과정 설치․운영 지원․315
<부표 22> 1-3-3. 교원 수급의 유연성 제고․316
<부표 23> 1-4. 산업 수요의 예측에 근거한 전문계고의 일반고 전환 검토․317
<부표 24> 1-5. 일반고의 교양 직업교육 강화․318
<부표 25> 2-1. 각급 학교 진로지도 활성화․320
<부표 26> 2-2. 진로지도 지원 인프라 구축․324
<부표 27> 2-3. ‘직업 종합체험실’ 설치․327
<부표 28> 2-4. 전문계고 학생 창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329
<부표 29> 2-5. 전문계고 학생 현장실습의 다양화․내실화․331
<부표 30> 2-6. 직능단체 등 경제단체가 전문계고 학생 현장실습 지원․333
<부표 31> 2-7. 우수 전문계고 학생 해외 직업교육 연수 프로그램 도입․334
<부표 32> 2-8. 고용안정센터의 학생 취업 지원 기능 강화․335
<부표 33> 2-9. 학교기업의 활성화․336
<부표 34> 3-1-1. 전문계고 졸업생 동일계 특별전형 적극 추진․337
<부표 35> 3-2. 산업체에 의한 전문계고-전문대․대학 협약학과 운영․338
<부표 36> 4-1. 전문계고 장학금 지급 확대․340
<부표 37> 4-2. 전문계고 졸업자의 지방 공무원 특별임용 활성화․341
<부표 38> 4-3. 장애 학생의 직업교육 여건 개선․342
<부표 39>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2007년도 목표 및 실적 종합(서울, 부산, 인천, 대구)․344
<부표 40>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2007년도 목표 및 실적 종합(광주, 대전 ,울산, 경기)․358
<부표 41>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2007년도 목표 및 실적 종합(강원, 경북, 경남, 전북)․365
<부표 42>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2007년도 목표 및 실적 종합(전남, 충북, 충남,제주)․374
<부표 43> 시도별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추진 관련 2007년도 예산․382
<부표 44> 시도별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추진 주관부서 및 협조기관(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경기)․386
<부표 45> 시도별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계획 추진 주관부서 및 협조기관(강원,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충북, 충남, 제주)․390
<부표 46> 각 시․도별 직업교육체제 혁신 우수 사례명․394
<부표 47> 서울특별시 진로지도 홍보 현황․395
<부표 48> 서울특별시 진로지도 연수 현황․396
<부표 49> 대구광역시 직업교육체제 혁신 사례의 세부사항․400
<부표 50> 대구광역시 실업교육 우수사례 학교별 발표 일정․401
<부표 51> 광주광역시 직업교육체제 혁신 사례의 세부사항․402
<부표 52> 대전광역시 중학생을 위한 직업체험프로그램 운영 내용․403
<부표 53> 경상북도 직업교육체제 혁신 사례의 추진 현황․406
<부표 54> 경상북도 직업교육체제 혁신 사례의 세부 사항․407
<부표 55> 경상남도 직업교육체제 혁신 사례의 추진 현황․408
<부표 56> 경상남도 직업교육체제 혁신 사례의 세부 사항(관․학 협력)․408
<부표 57> 경상남도 직업교육체제 혁신 사례의 세부 사항(산․학 협력)․409
<부표 58> 전라북도 직업교육체제 혁신 사례의 세부 사항․410
<부표 59> 한국항만물류고등학교 일반 현황․410
<부표 60> 충청북도 직업교육체제 혁신 사례의 세부 사항․411
<부표 61> 충청남도 협약학과 운영 총괄 현황․412
<부표 62> 제주도 직업교육체제 혁신 사례의 추진 현황․413
<부표 63> 제주도 직업교육체제 혁신 사례의 세부 사항․413
[그림 Ⅰ-1] 사업의 추진 절차․3
[그림 Ⅰ-2] 사업의 추진 체제․4
[그림 Ⅰ-3] 산업체 협약에 의한 특성화 고교 선정평가 추진 절차․4
[그림 Ⅰ-4] 평가 방법 절차 및 일시․5
[그림 Ⅰ-5]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추진 실태 분석 추진 절차․7
[그림 Ⅲ-1] 서울특별시의 SWOT분석․39
[그림 Ⅲ-2] 부산광역시의 SWOT분석․41
[그림 Ⅲ-3] 인천광역시의 SWOT분석․42
[그림 Ⅲ-4] 대구광역시의 SWOT분석․43
[그림 Ⅲ-5] 광주광역시의 SWOT분석․44
[그림 Ⅲ-6] 대전광역시의 SWOT분석․45
[그림 Ⅲ-7] 울산광역시의 SWOT분석․46
[그림 Ⅲ-8] 경기도의 SWOT분석․47
[그림 Ⅲ-9] 강원도의 SWOT분석․49
[그림 Ⅲ-10] 경상북도의 SWOT분석․50
[그림 Ⅲ-11] 경상남도의 SWOT분석․52
[그림 Ⅲ-12] 전라북도의 SWOT분석․53
[그림 Ⅲ-13] 충청북도의 SWOT분석․54
[그림 Ⅲ-14] 충청남도의 SWOT분석․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