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아·태지역 직업교육훈련 실태조사 및 직업교육훈련 Workshop(Ⅲ) : 베트남

A Study 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Asia Pacific and Workshop on Vocational Education(Ⅲ): Vietnam
저자
최영렬 조정윤 권율 오호영 한정임 천문화
분류정보
기본사업(2008-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04.30
등록일
2009.04.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아태지역베트남직업교육훈련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필요성 1
   2. 목적 3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4
   1. 연구방법 4
   2. 연구절차 4
 제3절  연구의 범위 9
 제4절  연구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9
   1. 기대효과 9
   2. 활용방안 9
제2장  베트남의 경제구조와 노동시장 11
 제1절  베트남 경제개혁의 주요특징 13
   1. 경제개혁의 초기조건 13
   2. 베트남 개혁모델의 특징 15
   3. 개혁ㆍ개방정책의 추진현황과 성과 18
   4. 최근 경제현황과 전망 27
 제2절  베트남 노동시장 32
   1. 베트남 노동시장의 특징 32
   2. 노동력과 고용구조 38
   3. 산업별ㆍ업종별 고용구조 41
   4. 임금구조 46
제3장  베트남의 교육 및 인적자원개발 53
 제1절  교육시스템의 변화 53
   1. 교육의 역사와 3차에 걸친 개혁 53
   2. 도이모이 정책과 교육의 변화 54
   3. 전환기 교육의 주요 업적 56
 제2절  교육 및 인력개발 계획 58
   1. 모든 이를 위한 교육[Education for All(EFA)] 계획(2003-2015) 58
   2. 인력개발계획 2001~2010 63
   3. 교육발전전략 2006~2010 66
 제3절  베트남의 현행 교육시스템 71
   1. 교육 관련 법령 71
   2. 교육 담당기관 71
   3. 교육시스템의 구성 71
   4. 교육환경 75
   5. 교육재정 81
 제4절  시사점 및 도전과제 83
제4장  직업교육훈련<최영렬ㆍ오호영ㆍ조정윤> 87
 제1절  사회경제발전계획(2006-2010)과 직업교육훈련 89
   1. 베트남 사회경제발전계획(2006-2010) 89
   2. 베트남 경제구조 변화 90
   3. 청년노동시장 92
 제2절  직업교육훈련 시스템의 변화 및 행정체계 102
   1. 직업교육훈련 시스템의 변화 102
   2. 직업교육훈련 체계 107
   3. 직업교육훈련 담당기관 및 역할 107
 제3절  직업교육훈련의 성과 111
   1. 직업교육의 성과 111
   2. 직업훈련의 성과 125
 제4절  베트남 직업자격제도 134
   1. 직업자격제도 개관 134
   2. 교육훈련부와 노동보훈사회부의 자격증 관리운영 137
   3. 국가직무능력표준 142
 제5절  시사점 148
   1. 직업교육 148
   2. 직업훈련 150
   3. 자격제도 155
제5장  국가의 VET 해외 수원 현황 분석<최영렬> 163
 제1절  외국의 VET 지원 현황 163
   1. ODA 일반 163
   2. 교육훈련 부문 168
   3. 대표적인 지원사업 171
 제2절  한국의 지원현황 179
   1. ODA 일반 179
   2. 교육훈련 부문 ODA 180
   3. 대표적인 지원 사업 183
 제3절  우리나라 지원의 특징과 시사점 186
제6장  직업교육훈련 워크숍 189
 제1절  세미나 개최 189
   1. 세미나 개요 189
   2. 세미나 배경 및 목적 190
   3. 세미나 발표 내용 196
   4. 현지 교육훈련기관 답사 203
 제2절  세미나 결과 및 기대 효과 207
   1. 정책 대안 207
   2. 주요 성과 208
   3. 기대 효과 209
제7장  결론 및 시사점 211
 제1절  주요 연구결과 211
   1. 경제구조와 노동시장 211
   2. 교육 및 인적자원개발 215
   3. 직업교육훈련 220
   4. 직업자격제도 226
 제2절  시사점 228
   1. 직업교육 228
   2. 직업훈련 230
   3. 자격제도 232
<부록> 235
참고문헌 289
  많은 개도국이 경제성장에 기여한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정책 및 프로그램의 벤치마킹을 원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개도국이 원하는 한국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자문 및 연수를 매년 제공하고 있다. 이와 병행하여 개도국의 수요를 반영한 직업교육훈련 지원을 위해 개별 국가의 직업교육훈련분야에 관한 구체적인 실태조사 및 현황파악을 하고 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2006년부터 라오스를 시작으로 캄보디아(2007)에 대한 실태조사 및 워크숍을 실시했으며 3차년도에 베트남을 대상국가로 선정하여 실태조사 및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 주요내용
   - 베트남의 경제구조와 노동시장
   - 베트남의 교육 및 인적자원개발
   - 직업교육훈련
   - 베트남의 VET 해외 수원 현황
   - 직업교육훈련 워크숍
<표 Ⅰ-1> 환경 분석 내용․6
<표 Ⅱ-1> 개혁이전 베트남경제의 주요 정책변화(1954~1985)․14
<표 Ⅱ-2> 베트남의 거시경제지표 변화추이(1986~1995)․17
<표 Ⅱ-3> 베트남의 부문별 주요개혁조치․19
<표 Ⅱ-4> 베트남의 국영기업개혁 추진계획(2003~2005)․20
<표 Ⅱ-5> MF의 지원실적․22
<표 Ⅱ-6> 외자도입액 현황(1989~1998)․23
<표 Ⅱ-7> 경제성장 및 재원조달 목표․24
<표 Ⅱ-8> 베트남의 주요 거시경제지표 추이(2001~2007년)․28
<표 Ⅱ-9> 베트남의 주요 품목별 수입 비중 추이(2006~2008년 5월 현재)․30
<표 Ⅱ-10> 동남아 GDP 성장률(2006년~2008)․32
<표 Ⅱ-11> 베트남의 연령별 노동 인력 분포 추이(1996~2005년)․34
<표 Ⅱ-12> 베트남의 직무 숙련도별 노동인력 분포 추이(1996~2005년)․35
<표 Ⅱ-13> 베트남 노동자 학력수준 변동 추이(1996~2005년)․35
<표 Ⅱ-14> 베트남의 도시-농촌간 노동인력 분포 추이(1997~2005년)․37
<표 Ⅱ-15> 베트남의 지역별 노동자 수 추이(2003~2006)․37
<표 Ⅱ-16> 연령별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 비율․38
<표 Ⅱ-17> 실업률 추이․39
<표 Ⅱ-18> 지역별 도시부분 실업률․39
<표 Ⅱ-19> 호치민市의 업종별 노동자 수 추이(2003년~2006년)․40
<표 Ⅱ-20> 하노이시의 업종별 노동자 수 추이(2003년~2006년)․41
<표 Ⅱ-21> 베트남의 산업별 고용인력 현황․42
<표 Ⅱ-22> 베트남의 업종별 고용구조(2002~2006년)․43
<표 Ⅱ-23> 베트남의 기업 소유 형태별 고용현황 (2002~2006년)․44
<표 Ⅱ-24> 2006년 기업의 소유형태별 고용구조․44
<표 Ⅱ-25> 직종별 고용비율․45
<표 Ⅱ-26> 베트남의 최저임금 현황․46
<표 Ⅱ-27> 국영부문의 경제활동당 일인당 월평균 수입․48
<표 Ⅱ-28> 경제부문과 소유형태별 비숙련 노동자의 월평균 수입․49
<표 Ⅱ-29> 지역별⋅성별 비숙련 노동자의 월평균 수입․50
<표 Ⅱ-30> 최근 베트남의 주요 경제지표 추이(2007년 1분기~2008년 3분기)․51
<표 Ⅲ-1> 베트남 분석 및 투자모델․62
<표 Ⅲ-2> 지역별 고등학교 졸업률․72
<표 Ⅲ-3> 중등전문학교, 대학, 단기대학 학생수․73
<표 Ⅲ-4> 초․중등교육 학교수․76
<표 Ⅲ-5> 직업중등학교․76
<표 Ⅲ-6> 연도별 학생수 변화 추이․78
<표 Ⅲ-7> 연도별 교사수 변화 추이․78
<표 Ⅲ-8> 1995~2004년 과정별 증가율․79
<표 Ⅲ-9> 졸업생 전망(2005~2015)․79
<표 Ⅲ-10> 초등학교 교과과정․80
<표 Ⅲ-11> 중등학교 교과과정․80
<표 Ⅲ-12> 고등학교 교과과정․81
<표 Ⅲ-13> 교육 부문 정부지출 구성비(1998~2002)․82
<표 Ⅲ-14> 정규교육과 회귀교육 지출 구성비․83
<표 Ⅳ-1> 베트남 사회경제발전계획(2006~2010)의 주요내용․89
<표 Ⅳ-2> 베트남의 경제구조 변화․91
<표 Ⅳ-3> 훈련받지 않은 노동자와 훈련받은 노동자․99
<표 Ⅳ-4> 훈련받지 않은 노동자와 훈련받은 노동자 비율(2006년)․99
<표 Ⅳ-5> 2004년~2006년 지역별 기술노동자 비율․100
<표 Ⅳ-6> 기업형태 및 경제분야별 기술노동자 비율․101
<표 Ⅳ-7> 직업 고등학교 학생 등록률 구성도(1995/1996년~2003/2004년)․114
<표 Ⅳ-8> 직업고등학교의 구성도(2005)․117
<표 Ⅳ-9> 도시별 직업 고등학교 교사&학생 수(2002년~2006년)․119
<표 Ⅳ-10> 현재 베트남 청소년들의 직업 종류․120
<표 Ⅳ-11> 전문 직업 고등학교의 남녀 비율․121
<표 Ⅳ-12> 교사 발전 내역(2000/01부터 2004/05까지)․123
<표 Ⅳ-13> 40개의 주에서 사용하고 있는 평가제도와 이를 사용하는 주․125
<표 Ⅳ-14> 지역별 공직 직업훈련 학교 비율(2005)․128
<표 Ⅳ-15> 직업훈련학교의 훈련규모와 훈련비율․129
<표 Ⅳ-16> 교실에서 배운 지식의 취업준비에 대한 유용성․132
<표 Ⅳ-17> 직업훈련기회에 대한 성별 공정성․133
<표 Ⅳ-18> 직업훈련기회의 충분성․134
<표 Ⅳ-19> 직업훈련 수준별 직업훈련기관의 종류․135
<표 Ⅳ-20> 직업훈련 수준별 직업훈련 방법 및 내용에 관한 요구․136
<표 Ⅳ-21> 직업교육기관의 훈련평가 내용 및 점수․139
<표 Ⅳ-22> 훈련 평가 결과 분류․140
<표 Ⅳ-23> 야채, 과일가공 직업중등수준 프로그램(2008)․141
<표 Ⅳ-24> 졸업시험 구조 및 내용․142
<표 Ⅳ-25>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구조와 내용․144
<표 Ⅴ-1> ODA 약정액․집행액․사용액(1993~2007년)․164
<표 Ⅴ-2> 분야별 ODA 활용 현황(1993~2007년)․165
<표 Ⅴ-3> 최근 5년간 연도별 승인 규모․166
<표 Ⅴ-4> 최근 5년간 승인 비중․166
<표 Ⅴ-5> 분야별 ODA 활용․167
<표 Ⅴ-6> 대 베트남 교육 분야 해외 원조․169
<표 Ⅴ-7> 대 베트남 해외직접투자 추이․179
<표 Ⅴ-8> 대 베트남 해외직접투자 추이․179
<표 Ⅴ-9> 대 베트남 경제협력기금지원 현황․180
<표 Ⅴ-10> 베트남에서의 KOICA 주요 프로젝트(1994~2010)․181
[그림 Ⅰ-1] 연구절차 모형․4
[그림 Ⅰ-2] Phase I: 연구사업 사전조사․5
[그림 Ⅰ-3] 환경 분석 주요 방법론․6
[그림 Ⅰ-4] Phase II: 워크숍 실시․7
[그림 Ⅰ-5] Phase III: 현장실사․8
[그림 Ⅱ-1] 베트남의 주요 투자국 및 FDI 실적(2007.12 누계)계)․27
[그림 Ⅱ-2] 베트남 종합주가지수 동향(2008년 1월~2008년 10월)․29
[그림 Ⅱ-3] 베트남 노동자 학력수준 변동 추이(1996~2005년)․36
[그림 Ⅱ-4] 베트남의 산업별 고용인력 현황(2003~2005)․42
[그림 Ⅱ-5] 베트남의 품목별 물가 동향(2007년 10월~2008년 9월)․51
[그림 Ⅲ-1] 베트남의 교육시스템․74
[그림 Ⅲ-2] 과정단계․과정별 학생현황(1995~2003)․77
[그림 Ⅳ-1] 인구구조․93
[그림 Ⅳ-2] 베트남 청년층의 소득계층별ㆍ학력수준별 졸업률․94
[그림 Ⅳ-3] 경제활동참가율 및 실업률․95
[그림 Ⅳ-4] 청년층(15~24세)의 회사유형별 취업비중(%)․96
[그림 Ⅳ-5] 청년층 실업사유․97
[그림 Ⅳ-6] 연령별 실업률․97
[그림 Ⅳ-7] 베트남 직업교육 행정체계․109
[그림 Ⅳ-8] 베트남 직업훈련 행정체계․110
[그림 Ⅳ-9] 인문계와 직업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 비율(1995년 6월~2003년 4월)․112
[그림 Ⅳ-10] 인문계 고등학교와 직업 고등학교 학생 입학률(1995년 6월~2003년 4월)․113
[그림 Ⅳ-11] 2004년 직업 고등학교 입학률․115
[그림 Ⅳ-12] 2005년 베트남 전문 직업과 인문계 고등학교 진학률-남부, 북부지방․116
[그림 Ⅳ-13] 베트남 교육예산중 직업훈련 비중(%)․126
[그림 Ⅳ-14] 직업훈련생 수(천명)․127
[그림 Ⅳ-15] 공식직업훈련 이수 비율․131
[그림 Ⅳ-16] 베트남 자격취득 체계․137
[그림 Ⅳ-17] 훈련교사 학력구성비(%)․15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아·태지역 직업교육훈련 실태조사 및 직업 교육훈련 workshop(Ⅲ):베트남 2008.01.01~2009.04.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