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2008)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2008) : 기업구성원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Status of Koreans’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Work Ethics(2008) -Coporate members
- 저자
- 이영현 김미숙 정윤경 김민수 신유형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8-03-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8.11.30
- 등록일
- 2008.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윤리직업의식
요 약 제1장 서론 (이영현)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3 1. 연구 내용 3 2. 연구 방법 5 제3절 연구의 범위 6 1. 연구 대상 6 2. 연도별 연구 비교 6 제2장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개념 및 측정 (이영현) 제1절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의 개념 13 1. 직업의식의 개념 13 2. 직업윤리 15 제2절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측정 20 1. 국내외 직업의식 관련 조사연구 20 2.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조사 연구 22 제3절 조사 방법과 설문 구성 30 1. 조사 방법 30 2. 설문지 구성과 주요 항목 30 3. 표본 설계와 가중치 33 4. 조사 결과 41 5. 응답자 특성 45 제3장 직업의식의 변화 (정윤경) 제1절 서설 51 1. 직업의식 변화 연구의 필요성 51 2. 3개 연도의 조사 개요 52 2. 분석 대상의 직업별 특성 53 제2절 직업구조의 변화 55 1. 산업별 취업구조 55 2. 직업별 취업구조 57 3. 종사상지위별 취업구조 58 제3절 직업관 및 직업의식의 변화 59 1. 직업을 갖는 이유 59 2. 희망하는 직업경로 68 제4절 일의 가치 75 1. 전체 근로자의 일의 가치 75 2. 성별에 따른 일의 가치 77 3. 연령별 일의 가치 79 4. 학력별 일의 가치 81 제5절 소결 83 제4장 직업윤리 (이영현) 제1절 서설 89 제2절 직업윤리 인식 91 1. 직업윤리 덕목의 중요도 91 2. 회사 기밀이나 기술의 유출에 대한 인식 96 3. 일과 운/인간관계에 대한 인식 99 제3절 직업윤리 실태 102 1. 직업윤리 수준 102 2. 직무 관련 비윤리적 행위 목격 여부와 유형 107 3. 업무시간 중 사적인 활동 111 4. 업무관련 선물 수수에 대한 태도와 허용 수준 113 5. 스카우트 제안이 들어왔을 때의 태도 116 제4절 경제관과 직업윤리 120 제5절 소결 127 제5장 근로자의 직업윤리와 조직역량과의 관계 (김미숙) 제1절 서설 131 1. 직업윤리와 조직역량과의 관계 연구의 필요성 131 2. 조직역량 관련 요인의 개념 정의 134 3. 직업윤리의 조직역량과의 관계 분석가설과 분석모형 139 제2절 근로자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와 조직역량의 상관관계 142 1. 근로자와 경영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대한 인식 비교 142 2. 근로자 직업윤리와 조직역량의 상관관계 146 제3절 근로자의 직업의식과 윤리가 조직역량에 미치는 영향 154 제4절 소결 161 제6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경영진의 윤리적 리더십 (김민수) 제1절 서론 165 1.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 166 2.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논의 174 제2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경영자의 윤리적 리더십 변수들에 대한 분석 176 1.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176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근로자/경영자 인식의 문항분석 180 3. 상관분석 182 4. 윤리적 리더십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 183 5.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의 성과간의 관계 187 제3절 소결 189 제7장 기업의 윤리적 풍토와 기업문화 및 기업성과와의 관계(신유형) 제1절 서설 193 1. 기업의 윤리적 풍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193 2. 윤리적 풍토의 개념 196 3. 윤리적 풍토에 대한 선행 연구 197 제2절 업종 및 기업규모에 따른 윤리적 풍토의 차이 199 1. 윤리적 풍토의 측정 199 2. 업종에 따른 윤리적 풍토의 차이 200 3. 기업규모에 따른 윤리적 풍토의 차이 204 제3절 기업문화와 윤리적 풍토간의 관계 208 1. 기업문화의 측정 208 2. 업종에 따른 기업문화의 차이 210 3. 기업규모에 따른 기업 문화의 차이 212 4. 기업 문화와 윤리적 풍토와의 관계 213 제4절 윤리적 풍토에 대한 경영자와 근로자의 인식 차이 214 1. 경영자와 근로자의 윤리적 풍토의 측정 214 2. 윤리적 풍토에 대한 경영자와 근로자의 인식의 차이 217 제5절 윤리적 풍토와 기업성과와의 관계 219 1. 기업성과의 측정 219 2. 경영자가 인식하는 윤리적 풍토와 기업성과와의 관계 221 3. 근로자가 인식하는 윤리적 풍토와 기업성과와의 관계 226 제6절 소결 231 1. 주요 발견 사항 231 2. 토론 및 함의 234 제8장 요약 및 연구결과의 함의 제1절 요약 237 제2절 연구결과의 함의 240 SUMMARY 243 <부록 1> 기업구성원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설문조사표(근로자용) 247 <부록 2> 기업구성원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설문조사표(경영자용) 267 참고문헌 277
글로벌 지식경제 시대에 한국인의 직업의식이 어떤 위치에 있고 어떤 특징을 갖는지 파악하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정책적으로 중요하다. 이 연구는 한국, 일본, 미국, 독일 4개국 국제비교조사를 통해 현 시기 한국인의 직업윤리를 국제적 맥락에서 비교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미국, 독일의 18~64세 성인 취업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각국별로 1,200명씩 총 4,80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집 및 조사는 인터넷 액세스 패널 서베이(Access Panel Survey)방식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직업가치관과 직업위세 등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전반을 조사하였다. 한국인의 일과 삶의 만족도, 조직 및 직무몰입은 미국이나 독일에 비해 낮지만 일본보다는 다소 높았다. 삶에서 일이 차지하는 중요도는 매우 높았지만, 일에 대한 자부심은 낮아 후진적 양상을 보였다. 일본인들의 조직 및 직무몰입이 높다는 통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직업위세 평가에서 한국은 상대적으로 민간부문의 가치 창출형 직업들에 대한 평가가 낮았으며, 직업위세 격차가 두드러지게 컸다. ○ 주요내용 - 삶과 일 만족도의 국제비교 - 지식정보사회 직업가치관의 국제비교 - 조직몰입, 직업몰입 및 직장에서의 신뢰 - 직업위세에 대한 인식 -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 - 직업자격과 직업의식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arries out surveys on work values and work ethics of Koreans periodically. 2008 surveys were conducted for employers and workers of firms and professional group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measure work ethics of workers and business ethics of Korean companies. A survey of 247 managers and 6,053 workers from 263 companies was conducted from 9 June to 22 August, 2008. The survey items included work values, work ethic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person-job fit, job performance, ethical climat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of work values of Korean workers, common(comparable) items on work value from 1998 & 2002 surveys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of 2008 survey. The result show that while work values of Korean workers had been increasing, leisure values had been decreasing in the last ten years(1998~2008). Second, The levels of work ethics of employers and workers were examined. Employers and workers evaluated work ethnics of their groups in 5 scale. Results present that the level of work ethics among employer group was 3.83 point while the level of work ethics of employees recorded 3.59 point. Third, the influence of work ethics of workers on corporate competence such as person-job fi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was examined. Survey result show that work ethics of workers has close relationships with corporate competence. Forth, the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of employers on perceptions of worker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as examined. The result demonstrate that the ethical leadership of employers influences to the legal responsibility and ethical responsibilit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work climate and corporate performance was examined. The result show that law- and ethic-centered work climate and community centered climate forecast the current term net profit of a firm significantly. The community-centered work climate has positive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표 Ⅰ-1> 연도별 연구 내용 (3개년)․7 <표 Ⅱ-1> 1998년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 도구 중 ‘직업의식’부분․23 <표 Ⅱ-2> 2002년 직업의식 조사의 질문지 하위 영역 구조․25 <표 Ⅱ-3> 2006년 직업의식 조사의 구조 및 하위영역․28 <표 Ⅱ-4>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실증연구․29 <표 Ⅱ-5> 2008년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조사 영역․31 <표 Ⅱ-6> 기업 표본 추출 틀의 업종별 규모별 분포․35 <표 Ⅱ-7> 업종별, 규모별, 지역별 표본 배분․37 <표 Ⅱ-8> 업종별, 규모별, 지역별 최초 표본기업 추출규모 (재무제표 있는 기업)․39 <표 Ⅱ-9> 업종별, 규모별, 지역별 컨택 후 설문시도 기업․40 <표 Ⅱ-10> 조사 진행 결과 - 개인설문지 회수 기업․42 <표 Ⅱ-11> 조사 진행 결과 - 경영진 설문지 회수 기업․42 <표 Ⅱ-12> 개인용 설문지 회수 상황․43 <표 Ⅱ-13> 설문조사 대상 기업의 규모별 업종별 분포․46 <표 Ⅱ-14> 경영자 특성․47 <표 Ⅱ-15> 근로자 특성․49 <표 Ⅲ-1> 3개 연도 설문 응답자 비교․53 <표 Ⅲ-2> 3개 연도 분석 대상 취업자 비교․54 <표 Ⅲ-3> 산업구조의 변동추이(명목, 총기초가격 부가가치 기준)․56 <표 Ⅲ-4> 산업별 취업자 구성비․56 <표 Ⅲ-5> 직업별 취업자 구성비․58 <표 Ⅲ-6>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구성비․59 <표 Ⅲ-7> 연령별 직업 갖는 이유(’02년, ’08년 비교) (단위: 4점 만점)․65 <표 Ⅲ-8> 학력별 직업 갖는 이유(’02년, ’08년 비교) (단위: 4점 만점)․67 <표 Ⅲ-9> 연령별 희망 직업경로(’02년, ’08년 비교)․73 <표 Ⅲ-10> 학력별 희망 직업경로(’02년, ’08년 비교)․75 <표 Ⅲ-11> 성별 일의 가치(’02년, ’08년 비교) (단위: 4점 만점)․78 <표 Ⅲ-12> 연령대별 일의 가치(’02년, ’08년 비교) (단위: 4점 만점)․80 <표 Ⅲ-13> 학력별 일의 가치(’02년, ’08년 비교) (단위: 4점 만점)․82 <표 Ⅳ-1>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 덕목 : 근로자․92 <표 Ⅳ-2>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 덕목 : 경영자․93 <표 Ⅳ-3>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 덕목 : 기업구성원과 전문직 비교․95 <표 Ⅳ-4> 퇴사 시 회사의 기밀이나 기술을 가지고 나가는 행위에 대한평가 : 근로자․98 <표 Ⅳ-5> 근로자의 일과 운에 대한 인식․100 <표 Ⅳ-6> 근로자의 직업윤리 수준․103 <표 Ⅳ-7> 경영자의 직업윤리 수준․106 <표 Ⅳ-8> 근로자의 직무관련 비윤리적인 행위 목격 여부․108 <표 Ⅳ-9> 근로자가 목격한 비윤리적인 행위의 종류․110 <표 Ⅳ-10> 근로자의 업무시간 중 사적인 활동 시간․113 <표 Ⅳ-11> 근로자의 업무 관련 선물 수수에 대한 태도․114 <표 Ⅳ-12> 경영자의 업무 관련 선물 수수에 대한 태도․115 <표 Ⅳ-13> 근로자가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을 때의 태도․119 <표 Ⅳ-14> 성과와 보상과의 연계에 대한 의견 : 근로자․121 <표 Ⅳ-15> 성과와 보상과의 연계에 대한 의견 : 경영자․122 <표 Ⅳ-16> 근로자의 임금피크제에 대한 평가․124 <표 Ⅳ-17> 경영자의 임금피크제에 대한 평가․126 <표 Ⅴ-1> 근로자 직업윤리 관련 변수 설명․140 <표 Ⅴ-2> 조직역량 관련 변수 설명․141 <표 Ⅴ-3>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대한 근로자와 경영자 비교․142 <표 Ⅴ-4> 근로자와 경영자의 조직몰입 차이․143 <표 Ⅴ-5> 규모별 조직몰입 차이․143 <표 Ⅴ-6> 업종별 조직몰입 차이․144 <표 Ⅴ-7> 직급별 조직몰입 차이․145 <표 Ⅴ-8> 경력별 조직몰입 차이․145 <표 Ⅴ-9> 근로자의 직업윤리 요소별 상관관계․147 <표 Ⅴ-10> 직업윤리와 조직몰입의 상관관계․149 <표 Ⅴ-11> 직업윤리와 적합성의 상관관계․150 <표 Ⅴ-12> 직업윤리와 조직시민행동의 상관관계․151 <표 Ⅴ-13> 직업윤리와 직무만족 및 업무성과의 상관관계․152 <표 Ⅴ-14> 근로자의 직업의식과 조직역량의 상관관계․153 <표 Ⅴ-15> 근로윤리 요소와 조직역량의 상관관계․154 <표 Ⅴ-16> 개인 배경 변수의 적합성, 조직몰입 설명력․155 <표 Ⅴ-17> 개인 배경 변수의 조직시민행동, 업무성과, 직무만족 설명력․155 <표 Ⅴ-18> 근로자의 직업윤리가 적합성에 주는 영향력 분석․156 <표 Ⅴ-19> 근로자의 직업윤리가 조직몰입에 주는 영향력 분석․158 <표 Ⅴ-20> 근로자의 직업윤리가 조직시민행동에 주는 영향력 분석․159 <표 Ⅴ-21> 근로자 직업윤리가 직무만족 및 업무성과에 주는 영향력 분석․161 <표 Ⅵ-1>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의․169 <표 Ⅵ-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구분․171 <표 Ⅵ-3>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178 <표 Ⅵ-4>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179 <표 Ⅵ-5>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182 <표 Ⅵ-6> 윤리적 리더십이 경제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결과․184 <표 Ⅵ-7> 윤리적 리더십이 법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결과․185 <표 Ⅵ-8> 윤리적 리더십이 윤리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결과․186 <표 Ⅵ-9> 윤리적 리더십이 자선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결과․187 <표 Ⅶ-1> 윤리적 풍토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200 <표 Ⅶ-2> 업종별 윤리적 풍토의 차이에 대한 일변량 분석 결과․201 <표 Ⅶ-3> 기업규모에 따른 윤리적 풍토의 차이에 대한 일변량 분석 결과․205 <표 Ⅶ-4> 기업 문화 문항들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210 <표 Ⅶ-5> 업종별 기업 문화의 차이에 대한 일변량 분석 결과․210 <표 Ⅶ-6> 기업규모별 기업문화의 차이에 대한 일변량 분석 결과․212 <표 Ⅶ-7> 기업 문화와 윤리적 풍토간의 상관관계․214 <표 Ⅶ-8> 윤리적 풍토들의 rwg, ICC(1), ICC(2) 값 및 일변량 분석의F 값․215 <표 Ⅶ-9> 6가지 윤리적 풍토에 대한 경영자와 근로자의 응답․217 <표 Ⅶ-10> 기업성과 변수들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220 <표 Ⅶ-11> 기업성과 변수들의 rwg, ICC(1), ICC(2) 값 및 일변량 분석의F 값․221 <표 Ⅶ-12> 기업 당기순이익에 대한 위계적 회귀 분석 결과․222 <표 Ⅶ-13> 근로자 직무성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223 <표 Ⅶ-14> 근로자 직무만족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224 <표 Ⅶ-15> 근로자 조직몰입에 대한 위계적 회귀 분석 결과․225 <표 Ⅶ-16> 기업 당기순이익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227 <표 Ⅶ-17> 근로자 직무성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228 <표 Ⅶ-18> 근로자 직무만족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229 <표 Ⅶ-19> 근로자 조직몰입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230 [그림 Ⅲ-1] 직업을 갖는 이유(’98년, ’02년, ’08년 비교) (단위: 4점 만점)․61 [그림 Ⅲ-2] 성별 직업 갖는 이유(’02년, ’08년 비교) (단위: 4점 만점)․63 [그림 Ⅲ-3] 성별 직업 갖는 이유의 차이 점수․63 [그림 Ⅲ-4] 연령별 직업 갖는 이유(’02년, ’08년 비교)․64 [그림 Ⅲ-5] 학력별 직업 갖는 이유(’02년, ’08년 비교)․66 [그림 Ⅲ-6] 희망 직업경로(’98년, ’02년, ’08년 비교) (단위: %)․69 [그림 Ⅲ-7] 성별 희망 직업경로(’02년, ’08년 비교) (단위: %)․70 [그림 Ⅲ-8] 연령별 희망 직업경로(’02년, ’08년 비교) (단위: %)․72 [그림 Ⅲ-9] 학력별 희망 직업경로(’02년, ’08년 비교) (단위: %)․74 [그림 Ⅲ-10] 일의 가치(’98년, ’02년, ’08년 비교) (단위: 4점 만점)․77 [그림 Ⅲ-11] 성별 일의 가치(’02년, ’08년 비교)․78 [그림 Ⅲ-12] 연령대별 일의 가치(’02년, ’08년 비교)․79 [그림 Ⅲ-13] 학력별 일의 가치(’02년, ’08년 비교)․82 [그림 Ⅳ-1]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 덕목 : 근로자와 경영자 비교․94 [그림 Ⅳ-2] 회사 기밀이나 유출에 대한 인식 : 근로자와 경영자 비교․99 [그림 Ⅳ-3] 근로자 직업별 일과 운에 대한 인식․101 [그림 Ⅳ-4] 근로자 연령별 일과 운에 대한 인식․101 [그림 Ⅳ-5] 일과 운에 대한 근로자와 경영자의 인식 비교․102 [그림 Ⅳ-6] 근로자 직업별 직업윤리 수준․104 [그림 Ⅳ-7] 근로자 업종별 직업윤리 수준․105 [그림 Ⅳ-8] 직업윤리 수준 평가 : 기업구성원과 전문직 비교․107 [그림 Ⅳ-9] 근로자가 목격한 비윤리적인 행위의 종류․109 [그림 Ⅳ-10] 근로자의 업무시간 중 사적인 활동 시간․111 [그림 Ⅳ-11] 업무 관련 선물의 허용 한도액에 대한 근로자와 경영자 비교․116 [그림 Ⅳ-12] 근로자가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을 때의 태도․117 [그림 Ⅳ-13] 성과와 보상과의 연계 : 근로자와 경영자 비교․123 [그림 Ⅳ-14] 임금피크제에 대한 평가 : 근로자와 경영자 비교․127 [그림 Ⅴ-1] 관계성 분석틀․142 [그림 Ⅵ-1]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근로자 인식의 문항분석 결과․180 [그림 Ⅵ-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경영자 인식의 문항분석 결과․181 [그림 Ⅵ-3] 기업성과에 대한 윤리적 리더십과 사회적 책임의 영향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결과: 매출액을 중심으로․188 [그림 Ⅵ-4] 기업성과에 대한 윤리적 리더십과 사회적 책임의 영향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결과: 당기순이익을 중심으로․188 [그림 Ⅶ-1] 법과 윤리 중심 풍토의 업종별 차이․202 [그림 Ⅶ-2] 지역사회 중심 풍토의 업종별 차이․203 [그림 Ⅶ-3] 효율성 풍토의 업종별 차이․204 [그림 Ⅶ-4] 법과 윤리 중심 풍토의 기업규모별 차이․206 [그림 Ⅶ-5] 지역사회 중심 풍토의 기업규모별 차이․206 [그림 Ⅶ-6] 권위에 대한 복종 풍토의 기업규모별 차이․207 [그림 Ⅶ-7] 효율성 풍토의 기업규모별 차이․208 [그림 Ⅶ-8] 인간관계 문화의 업종별 차이․211 [그림 Ⅶ-9] 합리적 목표 문화의 업종별 차이․211 [그림 Ⅶ-10] 합리적 목표 문화의 기업규모별 차이․213 [그림 Ⅶ-11] 6가지 윤리적 풍토에 대한 경영자와 근로자의 인식 차이․21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2008) | 2008.01.01~2008.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