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2008)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2008) : 전문직의 전문 직업성과 직업윤리

Status of Koreans’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Work
저자
이영현 김기헌 정재호 한상근
분류정보
기본연구(2008-03-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8.11.30
등록일
2008.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의식직업윤리전문직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3
   1. 연구의 내용 3
   2. 연구의 방법 3
 제3절  연구의 범위 4
   1. 연구 대상 4
   2. 연도별 연구와의 비교 5
제2장  전문직의 전문 직업성과 직업윤리
 제1절  전문직의 전문 직업성(professionalism)에 대한 논의 9
 제2절  전문직의 직업윤리에 대한 논의 15
제3장  산업 직업구조의 변화와 전문직
 제1절  산업 및 직업구조의 변화 21
   1. 산업구조의 변화 21
   2. 직업구조의 변화 23
 제2절  주요 전문직의 형성과정과 전문직화(professionalization) 27
   1. 주요 전문직의 형성과정과 현황 27
   2. 우리나라 전문직화 42
제4장  주요 전문직 대상 설문조사
 제1절  조사 설계 45
   1. 표본 설계 45
   2. 조사 내용 47
 제2절  응답 결과 51
   1. 의사 대상 조사 결과 51
   2. 변호사 대상 조사 결과 54
   3. 교수 대상 조사 결과 55
   4. 기자 대상 조사 결과 56
 제3절  주요 전문직의 근로실태와 특성 58
   1. 의사의 근로실태 및 특성 58
   2. 변호사의 근로실태 및 특성 63
   3. 교수의 근로실태 및 특성 68
   4. 기자의 근로실태 및 특성 73
   5. 주요 전문직별 근로 실태 비교 78
제5장  주요 전문직의 전문 직업성
 제1절  의사의 전문 직업성 83
   1. 의사의 전문 직업성 83
   2. 의사의 전문 직업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93
 제2절  변호사의 전문 직업성 94
   1. 변호사의 전문 직업성 94
   2. 변호사의 전문 직업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103
 제3절  교수의 전문 직업성 105
   1. 교수의 전문 직업성 105
   2. 교수의 전문 직업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115
 제4절  기자의 전문 직업성 117
   1. 기자의 전문 직업성 117
   2. 기자의 전문 직업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123
 제5절  전문 직업성의 직업별 차이 분석 125
   1. 주요 전문직별 전문 직업성 수준 비교 125
   2. 주요 전문직별 전문 직업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비교 131
제6장  주요 전문직의 직업윤리
 제1절  의사의 직업윤리 133
   1. 의사의 직업윤리 덕목 133
   2. 윤리적 갈등에 대한 경험 141
   3. 윤리적 문제에 대한 견해 144
 제2절  변호사의 직업윤리 151
   1. 변호사의 직업윤리 덕목 151
   2. 윤리적 갈등에 대한 경험 155
   3. 윤리적 문제에 대한 견해 157
 제3절  교수의 직업윤리 163
   1. 교수의 직업윤리 덕목 163
   2. 윤리적 갈등에 대한 경험 166
   3. 윤리적 문제에 대한 견해 168
 제4절  기자의 직업윤리 180
   1. 기자의 직업윤리 덕목 180
   2. 윤리적 갈등에 대한 경험 184
   3. 윤리적 문제에 대한 견해 185
 제5절  직업윤리의 직업별 차이 분석 195
   1. 주요 전문직의 직업윤리 덕목에 대한 비교 195
   2. 전문직에 대한 일반인의 평가에 대한 신뢰도 비교 196
   3. 윤리적 갈등에 대한 경험 비교 197
제7장  요약 및 결론
 제1절  요약 199
   1. 주요 전문직의 일반적 현황 및 근로 실태 199
   2. 주요 전문직의 전문 직업성 201
   3. 주요 전문직의 직업윤리 203
 제2절  정책적 함의 208
SUMMARY 211
<부록 1> 윤리강령 215
<부록 2> 설문지 233
참고문헌 267
  글로벌 지식경제 시대에 한국인의 직업의식이 어떤 위치에 있고 어떤 특징을 갖는지 파악하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정책적으로 중요하다. 이 연구는 한국, 일본, 미국, 독일 4개국 국제비교조사를 통해 현 시기 한국인의 직업윤리를 국제적 맥락에서 비교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미국, 독일의 18~64세 성인 취업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각국별로 1,200명씩 총 4,80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집 및 조사는 인터넷 액세스 패널 서베이(Access Panel Survey)방식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직업가치관과 직업위세 등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전반을 조사하였다.
  한국인의 일과 삶의 만족도, 조직 및 직무몰입은 미국이나 독일에 비해 낮지만 일본보다는 다소 높았다. 삶에서 일이 차지하는 중요도는 매우 높았지만, 일에 대한 자부심은 낮아 후진적 양상을 보였다. 일본인들의 조직 및 직무몰입이 높다는 통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직업위세 평가에서 한국은 상대적으로 민간부문의 가치 창출형 직업들에 대한 평가가 낮았으며, 직업위세 격차가 두드러지게 컸다.
  ○ 주요내용
   - 삶과 일 만족도의 국제비교
   - 지식정보사회 직업가치관의 국제비교
   - 조직몰입, 직업몰입 및 직장에서의 신뢰
   - 직업위세에 대한 인식
   -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 
   - 직업자격과 직업의식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arries out surveys on work values and work ethics of Koreans periodically. 2008 surveys were conducted for employers and workers of firms and professional group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amine work ethics and professionalism of professional groups including lawyer, medical doctor, professor, and reporter. A survey of 800 professionals(200 professionals from each group) was conducted from 9 June to 31 July, 2008. 
  The professionalism was measured in five dimensions drawn from Hall‘s framework. The five dimensions include the Use of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Major Reference, Belief in Public Service, Belief in Self-regulation, Sense of the Field, and Autonomy.  
  The levels of professionalism in five scale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Use of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Major Reference was highest among medical doctor(3.90 point), followed by professor(3.78 point), lawyer(3.27 point), and reporter(2.88 point).
  Second, the level of Belief in Public Service was highest among medical doctor(3.70 point), followed by professor(3.24 point), lawyer(3.14 point), and reporter(3.11 point).  
  Third, the level of Belief in Self-regulation was highest among medical doctor(3.36 point), followed by professor(3.19 point), lawyer(3.10 point), and reporter(3.02 point). 
  Fourth, the level of Sense of the Field was highest among medical doctor(3.90 point), followed by professor(3.86 point), lawyer(3.70 point), and reporter(3.57 point). 
  Fifth, the level of Autonomy was highest among medical doctor(3.69 point), followed by professor(3.61 point), lawyer (3.56 point), and reporter(3.03 point). 
  In addition, the levels of work ethics of professionals were examined. The level of work ethics is highest among lawyer(3. 46 point), followed by medical doctor(3.33 point), professor (3.19 point), and reporter(2.92 point).
<표 Ⅰ-1> 연도별 연구 계획-3개년․6
<표 Ⅲ-1> 산업별 취업자 수 변화 추이(1980/2007)․22
<표 Ⅲ-2> 직업별 취업자 수 변화 추이(1980/2007)․24
<표 Ⅲ-3> 주요 국가의 직업대분류별 취업자 구성비(2004)․25
<표 Ⅲ-4> 주요 국가의 직업대분류별 여성 취업자 구성비(2005)․26
<표 Ⅲ-5> 한국의 면허의사 수 추이․27
<표 Ⅲ-6> 연도별 국가고시 합격 현황․28
<표 Ⅲ-7> 연도별 변호사 수 추이(1960/2007)․31
<표 Ⅲ-8> 역대 사법시험 합격자 수․합격률(1963/1979)․32
<표 Ⅲ-9> 역대 사법시험 합격자 수․합격률(1980/2007)․33
<표 Ⅲ-10> 연도별, 설립별, 성별 대학 교원 수(1970/2007)․35
<표 Ⅲ-11> 박사인력 공급의 추이(1980/2007)․36
<표 Ⅲ-12> 연도별, 학문분야별 해외박사학위자 수 신고 현황(2000/2007)․37
<표 Ⅲ-13> 취득국가별 해외박사학위자 수 신고 현황(2000/2007)․38
<표 Ⅲ-14> 연도별 기자 수 추이(1986/2007)․41
<표 Ⅲ-15> 우리나라 전문직의 전문직화 과정․42
<표 Ⅲ-16> 미국의 전문직화 과정․42
<표 Ⅳ-1> 주요 전문직 대상 설문조사 표본 설계․46
<표 Ⅳ-2> 전문직의 전문 직업성과 직업윤리 설문조사지 조사항목, 조사내용․47
<표 Ⅳ-3> 주요 전문직 대상 설문조사의 직업윤리 관련 문항․50
<표 Ⅳ-4> 의사의 지위별 응답결과․52
<표 Ⅳ-5> 의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53
<표 Ⅳ-6> 변호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54
<표 Ⅳ-7> 교수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56
<표 Ⅳ-8> 기자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57
<표 Ⅳ-9> 의사의 일자리 특성․59
<표 Ⅳ-10> 의사의 근무특성․60
<표 Ⅳ-11> 의사 직무만족에 대한 신뢰도분석 결과․62
<표 Ⅳ-12> 변호사 응답자의 일자리 특성․64
<표 Ⅳ-13> 변호사의 근무 특성․66
<표 Ⅳ-14> 변호사 직무만족에 대한 신뢰도분석 결과․67
<표 Ⅳ-15> 교수 응답자의 일자리 특성․69
<표 Ⅳ-16> 교수의 근무 특성․70
<표 Ⅳ-17> 교수의 직무만족도와 신뢰도․72
<표 Ⅳ-18> 기자 응답자의 일자리 특성․74
<표 Ⅳ-19> 기자의 근무 특성․75
<표 Ⅳ-20> 기자 직무만족에 대한 신뢰도분석 결과․77
<표 Ⅴ-1> 의사의 전문 직업성(전문의)․85
<표 Ⅴ-2> 의사의 전문 직업성(전공․일반의)․86
<표 Ⅴ-3> 의사 전문 직업성 중 전문조직에의 준거성․88
<표 Ⅴ-4> 의사 전문 직업성 중 공적봉사심․89
<표 Ⅴ-5> 의사 전문 직업성 중 자기통제에 관한 믿음․90
<표 Ⅴ-6> 의사 전문 직업성 중 소명의식․91
<표 Ⅴ-7> 의사 전문 직업성 중 자율성․92
<표 Ⅴ-8> 직무만족 모형 분석 결과․93
<표 Ⅴ-9> 변호사의 전문 직업성․96
<표 Ⅴ-10> 변호사 전문 직업성 중 전문조직에의 준거성․98
<표 Ⅴ-11> 변호사 전문 직업성 중 공적봉사심․99
<표 Ⅴ-12> 변호사 전문 직업성 중 자기통제에 관한 믿음․100
<표 Ⅴ-13> 변호사 전문 직업성 중 소명의식․101
<표 Ⅴ-14> 변호사 전문 직업성 중 자율성․102
<표 Ⅴ-15> 직무만족 모형 분석 결과․104
<표 Ⅴ-16> 교수 전문 직업성․107
<표 Ⅴ-17> 교수 전문 직업성 중 전문조직에의 준거성․109
<표 Ⅴ-18> 교수 전문 직업성 중 공적봉사심․111
<표 Ⅴ-19> 교수 전문 직업성 중 자기통제에 관한 믿음․112
<표 Ⅴ-20> 교수 전문 직업성 중 소명의식․113
<표 Ⅴ-21> 교수 전문 직업성 중 자율성․114
<표 Ⅴ-22> 직무만족 모형 분석 결과․116
<표 Ⅴ-23> 기자 전문 직업성․118
<표 Ⅴ-24> 기자 전문 직업성에 대한 신뢰도분석 결과․120
<표 Ⅴ-25> 기자 전문 직업성 중 전문조직에의 준거성․122
<표 Ⅴ-26> 기자 전문 직업성 중 자기통제에 관한 믿음․123
<표 Ⅴ-27> 직무만족 모형 분석 결과․124
<표 Ⅴ-28> 주요 전문직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전문 직업성의 영향 비교․132
<표 Ⅵ-1> 의사의 직업윤리 덕목의 중요성․135
<표 Ⅵ-2> 의사의 직업윤리 수준(전문의)․136
<표 Ⅵ-3> 의사의 직업윤리 수준(전공․일반의)․137
<표 Ⅵ-4> 전문직에 대한 일반인 평가에 대한 신뢰도(전문의)․139
<표 Ⅵ-5> 전문직에 대한 일반인 평가에 대한 신뢰도(전공․일반의)․140
<표 Ⅵ-6> 윤리적 갈등 경험 여부․143
<표 Ⅵ-7> 연명환자 치료 중단에 대한 견해(전문의)․148
<표 Ⅵ-8> 연명환자 치료 중단에 대한 견해(전공․일반의)․149
<표 Ⅵ-9> 변호사의 직업윤리 덕목의 중요성․152
<표 Ⅵ-10> 변호사의 직업윤리 수준․153
<표 Ⅵ-11> 전문직에 대한 일반인 평가에 대한 신뢰도․154
<표 Ⅵ-12> 윤리적 갈등 경험 여부․155
<표 Ⅵ-13> 전관예우에 대한 견해․159
<표 Ⅵ-14> 의뢰인 이익충돌 타사건 수임에 대한 견해․160
<표 Ⅵ-15> 사내변호사 내부고발 문제에 대한 견해․161
<표 Ⅵ-16> 사회적 비난사건 수임거절에 대한 견해․162
<표 Ⅵ-17> 교수의 직업윤리 수준․164
<표 Ⅵ-18> 윤리적 갈등 경험 여부․167
<표 Ⅵ-19> 윤리적 문제에 대한 견해․176
<표 Ⅵ-20> 정치참여 시 교수직에 대한 견해․179
<표 Ⅵ-21> 기자의 직업윤리 수준․181
<표 Ⅵ-22> 전문직에 대한 일반인 평가에 대한 신뢰도․183
<표 Ⅵ-23> 윤리적 갈등 경험 여부․184
<표 Ⅵ-24> 취재원으로부터 금품/향응 수수금지에 대한 견해․186
<표 Ⅵ-25> 소속회사 출판물 강매/광고 강요 금지에 대한 견해․187
<표 Ⅵ-26> 언론사 입장에 따른 보도여부에 대한 견해․188
<표 Ⅵ-27> 여러 가지 취재 방법에 관한 기자들의 견해․189
<표 Ⅵ-28> 정치적 중립성 필요에 대한 견해․190
<표 Ⅵ-29> 퇴직 후 정치권 진입에 대한 견해․192
<표 Ⅵ-30> 우리나라 기자의 공정보도 여부에 대한 견해․193
<표 Ⅵ-31> 언론 실수의 신속한 정정에 대한 견해․194
<표 Ⅵ-32> 중요한 직업윤리 덕목 4순위 비교․195
[그림 Ⅳ-1] 성․연령별 교수의 직무만족도 비교․72
[그림 Ⅳ-2] 소속기관별 소득수준별 기자의 직무만족도 비교․78
[그림 Ⅳ-3] 주요 전문직별 여성종사자 비율 비교․79
[그림 Ⅳ-4] 주요 전문직별 주당근로시간 비교․80
[그림 Ⅳ-5] 주요 전문직별 월평균 소득 비교․81
[그림 Ⅳ-6] 주요 전문직별 직무만족도 비교․82
[그림 Ⅴ-1] 의사의 전문 직업성 각 차원별 평균 비교․84
[그림 Ⅴ-2] 변호사의 전문 직업성 평균 비교․97
[그림 Ⅴ-3] 교수의 전문 직업성 평균 비교․105
[그림 Ⅴ-4] 기자의 전문 직업성 평균 비교․121
[그림 Ⅴ-5] 주요 전문직별 전문 직업성 비교: 전문조직에의 준거성․126
[그림 Ⅴ-6] 주요 전문직별 전문 직업성 비교: 공적봉사심․127
[그림 Ⅴ-7] 주요 전문직별 전문 직업성 비교: 자기통제에 관한 믿음․128
[그림 Ⅴ-8] 주요 전문직별 전문 직업성 비교: 소명의식․129
[그림 Ⅴ-9] 주요 전문직별 전문 직업성 비교: 자율성․130
[그림 Ⅵ-1]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 덕목의 중요도(5점 척도)-의사․134
[그림 Ⅵ-2] 전문직에 대한 일반인들의 신뢰도(2006)․138
[그림 Ⅵ-3] 전문직에 대한 일반인들의 평가에 대한 신뢰도․138
[그림 Ⅵ-4] 의사가 경험한 윤리적 갈등의 내용-전문의․141
[그림 Ⅵ-5] 의사가 경험한 윤리적 갈등의 내용-전공․일반의․142
[그림 Ⅵ-6] 환자진료 거부 정당성 의견-환자의 진료방해․144
[그림 Ⅵ-7] 환자진료 거부 정당성 의견-과잉진료요구․145
[그림 Ⅵ-8] 환자진료 거부 정당성 의견-진료가 필요 없다고 생각될 때․145
[그림 Ⅵ-9] 연명환자 치료 중단에 대한 견해․147
[그림 Ⅵ-10] 임신중절수술에 대한 견해․150
[그림 Ⅵ-11] 제약회사, 의료기 상사의 사례비 관행에 대한 견해․150
[그림 Ⅵ-12]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 덕목의 중요도(5점 척도)-변호사․151
[그림 Ⅵ-13] 변호사가 경험한 윤리적 갈등의 내용․156
[그림 Ⅵ-14]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 덕목의 중요도(5점 척도)-교수․163
[그림 Ⅵ-15] 교수의 직업윤리 수준 비교․165
[그림 Ⅵ-16] 전문직에 대한 일반인들의 신뢰도(2006)․165
[그림 Ⅵ-17] 교수에 대한 일반인 평가에 대한 신뢰도․166
[그림 Ⅵ-18] 교수들의 윤리적 갈등 내용․168
[그림 Ⅵ-19] 강의 평가 결과공개에 대한 의견․170
[그림 Ⅵ-20] 불가피한 휴강 보강에 대한 견해․171
[그림 Ⅵ-21] 해외논문 중복게재에 대한 견해․173
[그림 Ⅵ-22] 공동저자 투고행위에 대한 견해․174
[그림 Ⅵ-23] 교수의 정치참여에 대한 견해․176
[그림 Ⅵ-24] 정치참여 시 교수직에 대한 견해․178
[그림 Ⅵ-25]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 덕목의 중요도(5점 척도)-기자․180
[그림 Ⅵ-26] 일반인의 언론인 평가에 대한 기자들의 의견․182
[그림 Ⅵ-27] 기자가 경험한 윤리적 갈등의 내용․185
[그림 Ⅵ-28] 주요 전문직별 일반인 평가가 적절하다는 응답비율 비교․196
[그림 Ⅵ-29] 주요 전문직별 윤리적 갈등 경험 비율 비교․19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2008) 2008.01.01~2008.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