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Surveyon Teachers’ Perception Towards Career Education
저자
맹영임 임경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8-07-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발행일
2008.10.31
등록일
2008.10.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진로교육교과통합 진로교육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1. 연구의 내용 3
   2. 연구의 방법 5
제2장  진로교육 현황
 제1절  진로교육 지원체제 9
   1. 초 중등학교 진로교육 지원체제 9
   2. 초 중등학교 진로교육 지원 현황 15
   3. 새 정부의 진로교육 추진방향 22
 제2절  진로교육 현황 24
   1.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24
   2.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 운영현황 27
   3. 교과외 활동을 통한 진로교육 현황 44
제3장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태 분석
 제1절  조사개요 57
   1. 조사목적 57
   2. 조사대상 57
   3. 조사내용 60
   4. 자료처리 61
 제2절  진로교육 일반에 관한 인식 62
   1. 진로 및 직업에 관한 인식 62
   2. 청소년들의 진로에 관한 인식 67
   3. 진로교육 필요성에 관한 인식 70
 제3절  진로교육 운영 실태 75
   1. 진로교육 운영전반에 관한 인식 75
   2. 진로교육 담당인력 실태 80
   3. 진로교육 지원 실태 84
   4. 진로교육 프로그램 지원 실태 90
 제4절  진로교육의 장애요인과 개선방안 100
   1. 진로교육 실시 시 애로사항 100
   2. 진로교육의 효과적 담당자 102
   3. 진로교육 시작의 적기 103
   4.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 확립되어야 할 사항 104
 제5절  진로개발 역량 하위요소에 대한 인식 106
   1. 자신에 대한 이해 영역 106
   2.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영역 109
   3. 진로관련 교육성취 영역 111
   4. 진로계획 및 관리 영역 113
 제6절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필요성 및 가능성 116
   1.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필요성 및 교과 연계 방안 116
   2.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가능성 121
   3.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효율성 제고 방안 127
 제7절  논의 132
   1. 진로교육 일반에 관한 인식 132
   2. 진로교육 운영 실태 133
   3. 진로교육의 장애요인과 개선방안 135
   4. 진로개발 역량 하위요소에 대한 인식 136
   5.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의 필요성 및 가능성 137
제4장  교과통합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제1절  역량중심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탐색 141
   1.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필요성 141
   2. 진로개발 역량의 개념 및 하위 요소 143
   3. 역량중심 교과통합 진로교육 모형 탐색 148
   4. 교과통합 진로개발 역량 제고를 위한 과제 153
 제2절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155
   1.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영 여건 155
   2.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영 방안 158
   3.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영을 위한 제언 160
 제3절  중학교에서의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161
   1.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영 여건 161
   2.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영 방안 162
   3.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영을 위한 제언 165
 제4절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활성화 방안 166
   1.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영 여건 166
   2.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영 방안 168
   3.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영을 위한 제언 169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171
 제2절  제언 178
SUMMARY 181
<부록 1> 교사용 설문지 183
<부록 2> 설문조사 결과 기초분석표 199
참고문헌 313
  본 연구는 진로교육 전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수준 및 기대·요구수준 을 파악함으로써 교사들의 요구가 반영된 진로교육 자료 및 모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진로교육 운영현황에 대해 분석해봄으로써 새로운 진로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도 목적을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advisable and tangible material for building a career education in curriculum model by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perception on career education of teachers. For the purpose, 1,000 teachers of 200 schools were surveyed for identifying and explanation the reality of career education 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The result of survey on career education with 1000 teachers are as the followings.
  ● 55.3% of teachers are evaluating current career education positively. However, only 18.2% of teachers had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on career education. 70% of teacher responded that there is not enough time for career education.
  ● 69.1% of teachers agreed that teachers affects the student's career decision maiking.
  ● Most of teachers (89.5%) agreed that career education need to be provided in the integrative way with other subject matters.
  ● The way to integrate career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should be either permeating career education elements into the contents of other subject(40.2%), or a chapter targeting career education can be inserted in other subjects' texts(39.7%). Providing additional recourse books for career education was perceived as inefficient.
  ● 60% of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and 50% of moral and ethicswere considered a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Mathematics, English, and Korean were considered as not to share much elements with career education.
  ● In order to improve career education in schools, 35% of teachers answered that on-the-job training for caree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more teachers. 20.3% of teachers answered that text  for career education should be revised in a way to motivate students better.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oints out the major problems in     career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and suggests the strategies to activate the career education.
<표 Ⅰ-1> 설문조사 E-mail 자문진․5
<표 Ⅰ-2> 전문가 워크숍 참가자․6
<표 Ⅱ-1> 정부부처의 진로교육 관련 업무 분장내역․11
<표 Ⅱ-2> 진로 취업지도 상담실 설치 여부 및 활용도․16
<표 Ⅱ-3> 전문상담교사 양성과목 및 자격기준․19
<표 Ⅱ-4> 진로교육 전담교사의 배치여부 및 관련 자격 소지여부․21
<표 Ⅱ-5> 진로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 비치여부 및 활용도․22
<표 Ⅱ-6> 새 정부 진로교육의 비전․23
<표 Ⅱ-7> 제7차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별 교육목표와 관계․25
<표 Ⅱ-8> 제7차 교육과정의 편제와 진로교육 운영․27
<표 Ⅱ-9>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28
<표 Ⅱ-10>「진로와 직업」교과의 영역 및 내용요소․29
<표 Ⅱ-11>「진로와 직업」교과의 선택 여부․30
<표 Ⅱ-12>「진로와 직업」교과 적용학년․31
<표 Ⅱ-13>「진로와 직업」교과에 대한 만족도․31
<표 Ⅱ-14>「진로와 직업」교과의 담당 교사 수․32
<표 Ⅱ-15>「진로와 직업」교과 담당 교사 전공․33
<표 Ⅱ-16> 사회과 진로교육 체계 및 내용․42
<표 Ⅱ-17> 도덕과 진로교육 체계 및 내용․43
<표 Ⅱ-18> 재량활동의 구성 및 시간배당․45
<표 Ⅱ-19> 특별활동의 주당 수업시수 및 하위영역․46
<표 Ⅱ-20> 진로와 관련된 재량활동, 특별활동, 기타활동 여부․47
<표 Ⅱ-21> 진로와 관련된 재량활동, 특별활동, 기타활동 도움정도․47
<표 Ⅱ-22> 교과외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 여부․48
<표 Ⅱ-23> 교육과정에서 진로교육을 운영하는 방법에 따른 장점과 단점․49
<표 Ⅱ-24> 학교 밖의 일 체험 프로그램 주요내용․50
<표 Ⅲ-1> 조사대상 학교 및 교사수․58
<표 Ⅲ-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59
<표 Ⅲ-3> 조사영역별 세부항목․61
<표 Ⅲ-4> 자료처리 방법․61
<표 Ⅲ-5> 진로교육이 필요한 이유(복수응답)․72
<표 Ⅲ-6> 진로교육이 필요한 이유(학교급별)․72
<표 Ⅲ-7> 진로교육 운영 방법(복수응답)․77
<표 Ⅲ-8> 진로교육 실시 시간(복수응답)․78
<표 Ⅲ-9> 진로교육 담당자(복수응답-초등)․82
<표 Ⅲ-10> 진로교육 담당자(복수응답-중등)․82
<표 Ⅲ-11> ‘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운영 대상 학년(복수응답-초등)․90
<표 Ⅲ-12> ‘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운영 대상 학년(복수응답- 중등)․90
<표 Ⅲ-13> 진로교육 연계․운영 기관(복수응답)․99
<표 Ⅲ-14> 진로교육 연계․운영하는 기관(학교급별-복수응답)․99
<표 Ⅲ-15> 진로교육 연계․운영하는 기관(소재지별-복수응답)․100
<표 Ⅲ-16> 진로교육 실시의 애로사항(종합)․101
<표 Ⅲ-17> 진로교육 실시의 애로사항(1순위)․101
<표 Ⅲ-18> 진로교육 실시의 애로사항(2순위)․101
<표 Ⅲ-19> 학교 진로교육의 효과적 담당자(복수응답)․102
<표 Ⅲ-20>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 확립되어야 할 사항(종합)․104
<표 Ⅲ-21>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 확립되어야 할 사항(1순위)․105
<표 Ⅲ-22>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 확립되어야 할 사항(2순위)․105
<표 Ⅲ-23> 담당교과시간 진로교육 연계방안․122
<표 Ⅲ-24> 담당교과시간 진로교육 연계방안(교과목별)․123
<표 Ⅲ-25> 담당교과시간 진로교육 방법(복수응답)․124
<표 Ⅲ-26> 담당교과시간 내 진로교육 실시 시기․124
<표 Ⅲ-27> 진로교육 내용의 포함 정도(교과목별)․126
<표 Ⅲ-28> 교과목별 진로교육 내용 포함 희망 비율․127
<표 Ⅲ-29>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의 필요조건(종합)․128
<표 Ⅲ-30>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의 필요조건(1순위)․128
<표 Ⅲ-31>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의 필요조건(2순위)․129
<표 Ⅳ-1> 슬기로운생활 1학년 교육과정 분석 사례․159
<표 Ⅳ-2> 1학년 연간 진로교육 계획 사례․160
<표 Ⅳ-3>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제․164
<표 Ⅳ-4> 일반계 고등학교 진학․진로 주간의 행사 예시․167
[그림 Ⅰ-1] 연구흐름도․7
[그림 Ⅱ-1] 교과통합형 진로지도 모형․39
[그림 Ⅲ-1] 인생의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의 능력이다․62
[그림 Ⅲ-2] 직장생활에서는 누구를 알고 있느냐보다 누구를 알고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64
[그림 Ⅲ-3] 사람들이 직업을 갖는 목적은 보람된 삶을 살기 위해서이다․65
[그림 Ⅲ-4] 직업의 귀천․66
[그림 Ⅲ-5] 진로의 수정․67
[그림 Ⅲ-6] 청소년기 진로결정의 기준․68
[그림 Ⅲ-7] 청소년들의 진로결정에 교사가 영향을 미친다․69
[그림 Ⅲ-8] 진로교육의 유용성․70
[그림 Ⅲ-9] 진로교육의 필요성․71
[그림 Ⅲ-10] 학부모들의 진로교육 필요성 인식 정도․73
[그림 Ⅲ-11] 학생의 진로교육 필요성 인식 정도․73
[그림 Ⅲ-12] 부모에 대한 진로교육의 필요성․74
[그림 Ⅲ-13] 진로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인식․75
[그림 Ⅲ-14] 진로교육 시간의 양․77
[그림 Ⅲ-15] 진로교육 관련 정보 수집 방법․79
[그림 Ⅲ-16] 진로교육 전담 전문상담교사․81
[그림 Ⅲ-17] 진로교육 연수 경험․83
[그림 Ⅲ-18] 진로교육 연간계획 수립 운영․84
[그림 Ⅲ-19] 진로교육 연간계획 평가 반영․85
[그림 Ⅲ-20] 진로교육 예산․86
[그림 Ⅲ-21] 진로교육 공간․87
[그림 Ⅲ-22] 진로정보 관련 자료 비치․89
[그림 Ⅲ-23] 진로관련 심리검사 실시․91
[그림 Ⅲ-24] 사이버 진로교육 및 상담 실시․92
[그림 Ⅲ-25] 진로교육포트폴리오(기록부) 작성․활용․93
[그림 Ⅲ-26] 진로관련 행사 및 활동․94
[그림 Ⅲ-27] 진로교육 관련 현장 체험학습․95
[그림 Ⅲ-28] 교사대상 진로교육 연수프로그램․96
[그림 Ⅲ-29]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97
[그림 Ⅲ-30] 진로교육 연계 운영 기관 유무․98
[그림 Ⅲ-31] 진로교육 시작의 적기․103
[그림 Ⅲ-32] 자기이해 및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107
[그림 Ⅲ-33] 타인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107
[그림 Ⅲ-34] 다양한 역할의 균형의 중요성 인식․109
[그림 Ⅲ-35] 다양한 직업세계의 이해․109
[그림 Ⅲ-36] 정확하고 공정한 진로 정보 활용․110
[그림 Ⅲ-37] 교육적인 성취와 수행 수준 획득․111
[그림 Ⅲ-38] 지속적 학습 참여․112
[그림 Ⅲ-39] 자신의 진로목표에 맞는 진로개발 계획 수립․관리․113
[그림 Ⅲ-40] 자신의 진로목표에 맞는 진로개발 계획 수립․관리․114
[그림 Ⅲ-41] 현실적인 조건을 진로계획에 통합․115
[그림 Ⅲ-42]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의 필요성․116
[그림 Ⅲ-43] 독립 교과로 운영․117
[그림 Ⅲ-44] 일부 교과의 단원으로 편성․운영․118
[그림 Ⅲ-45] 학생 진로발달에의 효율성(학교급별)․118
[그림 Ⅲ-46] 모든 교과에 통합․운영․119
[그림 Ⅲ-47] 교과외 활동으로 운영․120
[그림 Ⅲ-48] 진로교육 내용과 교과의 가장 효율적인 통합 유형․121
[그림 Ⅲ-49] 진로교육 관련 수업자료 사용 의향․125
[그림 Ⅳ-1] 진로개발 역량 개념의 확대․144
[그림 Ⅳ-2] 단원으로 포함하는 통합 유형․151
[그림 Ⅳ-3] 내용 전반에 포함하는 통합 유형․152
[그림 Ⅳ-4] 복수 교과와의 통합 유형․153
[그림 Ⅳ-5] 역량 중심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과제․154
[그림 Ⅳ-6] 3원 교육과정 재구성 모형․16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