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대기업과의 협력체제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a Cooperative Network with Large Businesses for HRD in SMEs
저자
김미숙 이의규 김진모
분류정보
기본연구(2008-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8.10.31
등록일
2008.10.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중소기업기업 인적자원개발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5
제2장  중소기업 경영 환경과 대 중소기업 협력의 중요성
 제1절  중소기업의 범위와 환경변화 9
 제2절  대 중소기업 협력 유형과 인적자원개발 16
제3장  협력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현황
 제1절  협력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현황 분석 37
 제2절  협력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참여 현황 43
 제3절  소결 56
제4장  대ㆍ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협력 실태 
 제1절  대ㆍ중소 협력과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설문 조사 59
 제2절  조사결과 63
 제3절  소결 99
제5장  국내 대ㆍ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협력 사례 분석
 제1절  사례 조사분석 틀 103
 제2절  정부지원사업을 통한 대ㆍ중소기업 협력사례 108
 제3절  상생경영을 위한 대ㆍ중소기업 협력 사례 118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26
제6장  일본 대ㆍ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협력 사례 분석
 제1절  일본의 인적자원개발정책 135
 제2절  일본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137
 제3절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협력사례 분석 148
제7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161
 제2절  정책제언 163
SUMMARY 171
<부록 1> 설문지 A형-위탁모기업용 175
<부록 2> 설문지 B형-협력중소기업용 185
<부록 3> 설문지 C형-미협력중소기업용 192 
참고문헌 197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을 촉진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대기업과 어떤 내용을 어떻게 협력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세부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이 필요한 이유와 그동안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어떤 형태의 협력을 하여왔는지, 그리고 협력을 유형화하며,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에서 어떤 협력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위해 고려할 요인이 무엇인지를 조사한다.
  둘째,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중소기업으로서 협력 업체와 미협력 업체의 인적자원개발 현황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모기업인 대기업이 협력을 하고자 하는 이유와 수탁기업인 중소기업이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협력을 하고자 하는 이유, 그리고 이들이 참여하고 있는 인적자원개발 내용과 향후 참여 의지 등에 대해 확인한다.
  셋째,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대기업의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 위탁기업인 대기업과 수탁기업인 중소기업의 각각의 역할과 이들의 공동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가를 제안하고, 향후 이들의 협력강화를 위해 정부가 어떤 정책적 지원을 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제안을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mote and encourage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 objectives are identifying the cooperation between larger companies and small and medium companies and finding the ways to do it. The results are following as: First, the subcontract smes are more bigger and more secure than non subcontract-smes. Second, the corporate  parent company didn't have the supporting system of HRD for subcontract firms. Third, the parent company need to support the subcontract firms in long-term perspectives. forth and last, the parent company has to have mutual cooperation with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표 Ⅰ-1> 주요 설문조사 내용 ․ 6
<표 Ⅱ-1> 중소기업의 구분기준 ․ 9
<표 Ⅱ-2> 중소기업의 업종별 상시근로자․자본금 또는 매출액의 규모기준 ․ 11
<표 Ⅱ-3> 규모별 중소기업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2005년 기준) ․ 12
<표 Ⅱ-4>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연대별 경제발전 기여율 ․ 13
<표 Ⅱ-5> 협력관계 만족도에 대한 영향변수와 그 효과 ․ 25
<표 Ⅱ-6> 대 ․ 중소기업 협력 욕구 ․ 26
<표 Ⅱ-7>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협력을 필요로 하는 분야 ․ 27
<표 Ⅱ-8> 재원에 따른 대기업-중소기업 협력 유형 ․ 31
<표 Ⅱ-9> 정책현황 ․ 32
<표 Ⅲ-1> HCCP 조사대상 기업규모별 협력업체 여부 ․ 38
<표 Ⅲ-2> 정규직의 성별 구조 ․ 38
<표 Ⅲ-3> 협력업체와 미협력업체의 인력 구조 특성 ․ 39
<표 Ⅲ-4> 인적자원관리실태 비율 ․ 40
<표 Ⅲ-5> 직무분석 활용분야 ․ 41
<표 Ⅲ-6> 인적자원개발 현황 ․ 42
<표 Ⅲ-7> 노사관계 인식 ․ 42
<표 Ⅲ-8> 교육훈련 실시 현황 ․ 45
<표 Ⅲ-9> 효과에 대한 우수성 인식 비율 ․ 46
<표 Ⅲ-10> 교육훈련이외의 인적자원개발 제도에 대한 직무효과 인식 ․ 49
<표 Ⅲ-11> 전사적 인적자원관리 유형별 직무효과 ․ 51
<표 Ⅲ-12> 중소기업 인적자원 개발 투자 현황 ․ 52
<표 Ⅲ-13>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추진 애로 사항 ․ 54
<표 Ⅲ-14> 노동부 직업능력개발사업 지원제도의 활용 ․ 55
<표 Ⅳ-1> 조사 대상 분포 ․ 60
<표 Ⅳ-2> 평균 근로자 수 ․ 61
<표 Ⅳ-3> 매출액 ․ 62
<표 Ⅳ-4> 거래 협력업체 ․ 63
<표 Ⅳ-5> 협력업체 지원 빈도 ․ 65
<표 Ⅳ-6> 산업 기술적 특성에 따른 노동과정의 성격 ․ 65
<표 Ⅳ-7> 협력업체 중소기업과의 협력 수준 ․ 67
<표 Ⅳ-8> 미협력업체에 대한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협력 필요성 ․ 69
<표 Ⅳ-9> 미협력업체에 대한 중소기업과의 인적자원개발 공유 ․ 지원 의향 ․ 70
<표 Ⅳ-10> 협력업체 형태 ․ 71
<표 Ⅳ-11> 모기업과의 협력 형태 ․ 73
<표 Ⅳ-12> 모기업에 대한 매출 의존도 ․ 75
<표 Ⅳ-13> 주거래 모기업과의 협력 수준 ․ 77
<표 Ⅳ-14> 주거래 모기업과의 관계 ․ 78
<표 Ⅳ-15> 인적자원개발 관련 교육서비스 질적 수준 ․ 78
<표 Ⅳ-16> 인적자원개발 활용 정도 ․ 80
<표 Ⅳ-17> 인적자원개발 활용 효과 ․ 81
<표 Ⅳ-18> 인적자원개발 협력 활용 정도 ․ 82
<표 Ⅳ-19> 인적자원개발 협력 활용 효과 ․ 83
<표 Ⅳ-20> 교육 프로그램 협력 유형 - 위탁 모기업 ․ 85
<표 Ⅳ-21> 교육 프로그램 협력 유형 - 협력 중소기업 ․ 87
<표 Ⅳ-22> 교육훈련 프로그램 대상자 ․ 88
<표 Ⅳ-23>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 ․ 89
<표 Ⅳ-24>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시설 활용 ․ 90
<표 Ⅳ-25> 교육훈련 협력 평가 ․ 91
<표 Ⅳ-26> 협력중소기업 규모별 교육훈련 협력 평가 ․ 91
<표 Ⅳ-27> 위탁모기업이 교육훈련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이유 ․ 92
<표 Ⅳ-28> 협력중소기업이 교육훈련에 협력하는 이유 ․ 94
<표 Ⅳ-29> 인적자원개발 협력 필요성 ․ 95
<표 Ⅳ-30> 향후 인적자원개발 참여 여부 ․ 97
<표 Ⅳ-31> 인적자원개발 협력 가능 부문 ․ 98
<표 Ⅴ-1> 사례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 ․ 105
<표 Ⅴ-2> 한국기술교육대학교-삼성전자 첨단기술교육센터의 운영 실적 ․ 110
<표 Ⅴ-3> 상생협력 관점에서 본 대기업-중소기업의 협력 방안 ․ 119
<표 Ⅴ-4> 삼성전기의 상생협력 프로그램과 추진실적 ․ 121
<표 Ⅵ-1>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관련 지원제도 ․ 138
<표 Ⅵ-2> 전문적인 직업훈련 ․ 140
<표 Ⅵ-3> 단시간 근로자의 직업훈련지원제도 ․ 141
<표 Ⅵ-4> 인정실습병용직업훈련지원제도 ․ 142
<표 Ⅵ-5> 유기실습형훈련지원제도 ․ 142
<표 Ⅵ-6> 근로자의 자발적 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 ․ 143
<표 Ⅵ-7> 지원대상 훈련형태 ․ 144
<표 Ⅵ-8> 일본의 기업규모별 평균출향자 비율 ․ 146
<표 Ⅵ-9> 중소기업의 인정직업훈련 지원 ․ 148
<표 Ⅵ-10> 일본전설공업(주)의 교육훈련실적 ․ 151
<표 Ⅵ-11> 계층별 프로그램중 협력회사 직원을 위한 교육훈련과정 ․ 155
<표 Ⅵ-12> 관서페인트의 교육훈련실적(2007) ․ 156
<표 Ⅵ-13> 관서페인트의 연수과정 개요 ․ 159
<표 Ⅶ-1> 대 ․ 중소기업 협력관련 정책 현황 ․ 164
<표 Ⅶ-2> 제품개발 협력과정에서의 핵심성공요인 ․ 165
<표 Ⅶ-3> 협력을 위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역할 ․ 167
<표 Ⅶ-4> 대 ․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협력을 위한 정부의 역할 ․ 168
[그림 Ⅱ-1] 중소기업의 생산과 고용 비중 ․ 12
[그림 Ⅱ-2] 기업의 경영환경 변화 ․ 15
[그림 Ⅲ-1] 교육훈련 실시 참여 기업 비율 ․ 44
[그림 Ⅲ-2] 교육훈련 효과 비교 ․ 47
[그림 Ⅲ-3] 교육훈련이외의 인적자원개발제도 활용 ․ 48
[그림 Ⅲ-4] 중소기업의 전사적 인적자원관리유형별 활용 정도 ․ 50
[그림 Ⅲ-5] 협력업체의 인적자원개발 활동 효과 인식 ․ 53
[그림 Ⅲ-6] 노동부 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의 개선 필요성 ․ 56
[그림 Ⅳ-1] 매출액 ․ 62
[그림 Ⅳ-2] 협력업체 지원 내용 ․ 64
[그림 Ⅳ-3] 협력업체 중소기업과의 협력 수준 ․ 66
[그림 Ⅳ-4] 지원 정책 ․ 67
[그림 Ⅳ-5] 지원 프로세스 ․ 68
[그림 Ⅳ-6] 모기업과의 협력 형태 ․ 72
[그림 Ⅳ-7] 모기업에 대한 매출 의존도(%) ․ 74
[그림 Ⅳ-8] 주거래 모기업과의 협력 수준 ․ 75
[그림 Ⅳ-9] 교육 프로그램 협력 유형 - 위탁 모기업 ․ 84
[그림 Ⅳ-10] 교육 프로그램 협력 유형 - 협력 중소기업 ․ 86
[그림 Ⅳ-11] 교육훈련 프로그램 적극적 참여 이유(%) - 위탁 모기업 ․ 92
[그림 Ⅳ-12] 교육훈련 프로그램 적극적 참여 이유 - 협력 중소기업 ․ 93
[그림 Ⅳ-13] 인적자원개발 협력 필요성 ․ 95
[그림 Ⅳ-14] 인적자원개발 적극적 참여 여부 ․ 96
[그림 Ⅳ-15] 향후 인적자원개발 협력 가능한 부문 ․ 97
[그림 Ⅴ-1] 협력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적 구조 ․ 105
[그림 Ⅴ-2] SK 상생아카데미의 교육체계 ․ 117
[그림 Ⅴ-3] 포스코의 성과공유제 추진 프로세스 ․ 124
[그림 Ⅵ-1] 중앙학원의 교육훈련체계 ․ 150
[그림 Ⅵ-2] 건설공기술학원 고육체계 ․ 150
[그림 Ⅵ-3] 기술자, 기능자 교육훈련과정 ․ 151
[그림 Ⅵ-4] 관서페인트의 인재육성 플랜 ․ 153
[그림 Ⅵ-5] 관서페인트의 신인사제도 교육체계 ․ 157
[그림 Ⅶ-1] 대 ․ 중소기업 상생협력정책의 기조 ․ 16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대기업과의 협력체제 구축 방안 연구 2008.01.01~2008.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