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숙련수요전망 연구

Projection of Future Skills Demand
저자
오호영 김미란 황규희 김진영
분류정보
기본연구(2008-1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8.11.30
등록일
2008.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숙련수요전망
요  약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내용 4
 제3절  연구방법 7
   1. 문헌연구 7
   2. 전문가회의 8
   3. 고용주대상 파일럿 조사 실시 8
 제4절  용어의 정의 10
   1. 핵심역량(core competency)   10
   2. 질적 인력수급전망   11
제2장  숙련수요의 전망 방법 15
 제1절  숙련불균형 연구동향과 쟁점 16
 제2절  숙련수요의 이론과 주요개념 37
   1. 숙련수요와 전망의 주요 개념 37
   2. 숙련수요의 측정과 숙련수요 전망방법 48
 제3절  숙련수요 전망 연구사례: 방법론을 중심으로 62
   1. 미국의 직업과 숙련 전망 방법: BLS 사례 62
   2. 유럽 주요국의 최근 전망 연구 현황 66
   3. 한국의 전문인력 수급전망 연구사례 70
제3장  핵심역량 측정방법 75
 제1절  핵심역량의 중요성 75
   1. 개념검토-지식, 역량, 핵심역량 75
   2. 지식에서 핵심역량으로 80
   3. 핵심역량의 구성항목 81
 제2절  핵심역량 국내외 사례분석 83
   1. 호주 84
   2. 미국 94
   3. 영국 99
   4. 캐나다 101
   5. 유럽 102
   6. OECD의 DeSeCo 프로젝트 105
   7. 한국 106
   8. 국가 비교와 시사점 108
 제3절  설문지 설계 111
   1. 설계의 기본틀 111
   2. 주요 항목별 설문문항 개발 112
 제4절  조사설계 및 실시 121
   1. 설문대상 121
   2. 조사대상 122
   3. 조사실시 123
제4장  직업기초능력 불균형 실태 125
 제1절  조사개요 125
   1. 개요 125
   2. 숙련불균형 128
 제2절  신입사원 훈련 144
   1. 교육훈련비용 144
   2. 교육훈련 내용 146
   3. 대학교육에 대한 요구 148
 제3절  주요결과 149
제5장  양적전망과 질적전망 결합 방법론 155
 제1절  선행연구 검토 155
 제2절  양적전망과 질적전망 결합방법론 157
   1. 숙련지수와 고용구조의 결합 157
   2. 숙련변화의 분해 160
 제3절  숙련지수의 도출과 분해 162
   1. 산업별 숙련지수 도출 162
   2. 숙련지수의 분해 167
 제4절  소결: 향후 활용 방안 168
제6장  요약 및 정책과제 169
 제1절  요약 169
   1. 숙련불균형의 측정 170
   2. 양적전망과 질적전망의 결합 174
 제2절  향후과제 175
   1. 숙련전망의 활용 175
   2. 향후 연구의 방향 182
SUMMARY 185
<부록> 189
참고문헌 203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숙련수요 변화를 조기에 포착하여 전망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함으로써 모든 국민이 교육훈련을 통해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숙련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용가능성을 높여 평생고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금년도에는 고용주숙련조사 설계, 질적 인력수급전망 방법론 개발 및 시범적 결과도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향후 고용주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조사에 대비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the Korean economy has experienced rapid transition into knowledge-based economy, more severe competition from open-door policy than before, and intense technological innovation. These changes are leading to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structure and, as a result, the uncertainty and instability surrounding the world of occupations are higher than ever before, especially in required skills from employers. For households, business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government to response actively and effectively against the rapidly changing skills requirements, it is important and urgent to forecast the trends of future skills requirement.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orecasting method for future skills requirement in both each occupations and economy as a whole. For this purpose, we have developed some experimental measurement method for skills imbalance which is decompos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skills shortage, skills mismatch, and skills gap. Skills shortage captures quantitative mismatch, where labor demand for specific skills exceeds labor supply with those. 
  Skills mismatch is defined as there coexists over-supply and over-demand for manpower with specific skills at the same time. Higher youth unemployment with labor shortage in the small & medium enterprise is the typical example of skills mismatch, where youth doesn't like to work under unfavorable working conditions. Skills gap exists when there are lots of job seekers with skills, but their acquired skills do not match with skills requirements from employers. Former two imbalance is mainly concerned with quantitative aspect of labor market imbalance, but last one is distinguished as it is resulted from qualitative aspect. 
  Based on these conceptual framework, we have developed 'Employer Skills Survey' and conducted pilot survey for 163 companies with hiring experiences for newly graduated from 4 year universities in 2007. According to the results, skills imbalance explains about 8.9% of total newly hired 4 year university graduates in 2007 and in case of professionals occupation, especially, reached 19.5% of same figures. This means that lots of job vacancies are resulted from insufficient skills formation from educational sectors and youth unemployment among 4 year university graduates is able to be significantly lowered with appropriate education in universities. To overcome mismatch in skills developed at educational institution with requirement from employer, identifying and forecasting actual & required skills for each job is most important. Based on these education-labor market linkage information, curricula and teaching method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aligned.
<표 Ⅱ-1> 숙련 불일치에 관한 주요 쟁점․36
<표 Ⅱ-2> 숙련부족, 불일치 및 격차․40
<표 Ⅱ-3> 전망 방법론 비교: 총량 전망 대 질적 전망․47
<표 Ⅱ-4> 『한국직업사전』의 직무특성 정보 내용․49
<표 Ⅱ-5> 지식-숙련-경쟁력(KSC)의 개념과 분류․53
<표 Ⅱ-6> 영국의 숙련부족에 대한 사업주 조사․54
<표 Ⅱ-7> 영국의 숙련부족에 대한 사업주 조사: 2005년도 주요 결과․56
<표 Ⅱ-8> 숙련수요전망 방법들․57
<표 Ⅱ-9> 독일 FhlAO의 숙련요건 분석과 전망 절차: 유통업 사례․58
<표 Ⅱ-10> 직업연구: IT 유통관리자의 직무분석 사례․59
<표 Ⅱ-11> 숙련 요건의 식별: 숙련유형별(Skill bundle), 유통업 사례․61
<표 Ⅱ-12> 숙련요건 변화 전망 결과: 유통업 사례․62
<표 Ⅱ-13> BLS의 전망과정 6단계․63
<표 Ⅱ-14> 직업별 숙련과 특성 측정을 위한 학력․훈련 분류․64
<표 Ⅱ-15> O*NET의 정보내용: 6개 영역․65
<표 Ⅱ-16> O*NET의 직업 정보(job information) 사례: 경제학자(economist)․66
<표 Ⅱ-17>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71
<표 Ⅱ-18> 인력 수요동향조사․72
<표 Ⅱ-19> 정보통신 인력 전망 예측 절차․73
<표 Ⅲ-1> 역량(competency)에 대한 개념정의․77
<표 Ⅲ-2> 역량개념 관련 주요연구 비교․82
<표 Ⅲ-3> Mayer 보고서의 핵심 역량․88
<표 Ⅲ-4> 유럽 졸업자들의 기술 불일치․103
<표 Ⅲ-5> 한국의 핵심역량 구성․107
<표 Ⅲ-6> 국가별 핵심 역량의 비교․109
<표 Ⅲ-7> 직업기초능력 측정범주․110
<표 Ⅲ-8> 숙련부족, 불일치, 격차의 개념적 차이․113
<표 Ⅲ-9> 직업기초능력 조사항목․116
<표 Ⅲ-10> 기업규모별 숙련부족에 대한 대응․119
<표 Ⅳ-1> 응답업체 현황․126
<표 Ⅳ-2> 전공별ㆍ직업별 4년제 대졸 신규채용 현황․127
<표 Ⅳ-3> 산업별ㆍ규모별 4년제 대졸 신규채용 현황․128
<표 Ⅳ-4> 신규채용인력의 업무역량에 대한 만족도․129
<표 Ⅳ-5> 직종별 신규채용인력 중 업무역량 미흡 비중․129
<표 Ⅳ-6> 기업규모별ㆍ산업별 신규채용인력 중 업무역량 미흡인원 비중․130
<표 Ⅳ-7> 직무능력 발휘시까지 평균소요기간․131
<표 Ⅳ-8> 5년전과 비교한 신입직원 역량․132
<표 Ⅳ-9> 직종별 인력부족 업체수․133
<표 Ⅳ-10> 직종별 인력부족 현황․133
<표 Ⅳ-11> 산업별ㆍ기업규모별 인력부족 현황․134
<표 Ⅳ-12> 직업별 충원이 어려운 정도․135
<표 Ⅳ-13> 기업규모별ㆍ산업별 충원이 어려운 정도․135
<표 Ⅳ-14> 직종별 숙련부족, 숙련불일치, 숙련격차 규모․136
<표 Ⅳ-15> 기업규모별ㆍ산업별 숙련부족, 숙련불일치, 숙련격차 규모․137
<표 Ⅳ-16> 중요도, 만족도, 중요도의 변화에 대한 신뢰도 분석․138
<표 Ⅳ-17> 기업규모별ㆍ산업별 신입직원 연봉과 훈련비용․145
<표 Ⅳ-18> 신입직원 교육훈련 내용․147
<표 Ⅳ-19> 대학에서 더 적극적으로 가르쳐야 할 분야․149
<표 Ⅴ-1> 산업별 고용비중 추이․163
<표 Ⅴ-2> 숙련수준의 변화 추이․167
<부표 1> 인력요건법의 단계별 전망․200
<부표 2> 주요국별 수요전망 방법 비교․201
[그림 Ⅰ-1] 연구추진 절차․10
[그림 Ⅱ-1] 숙련격차의 분류․51
[그림 Ⅱ-2] 숙련유형(전문가)의 경험적 분류: 유통업 사례․60
[그림 Ⅳ-1] 직업기초능력의 현재 중요도․140
[그림 Ⅳ-2] 전공지식의 현재중요도․140
[그림 Ⅳ-3] 직업기초능력 만족도․142
[그림 Ⅳ-4] 전공지식 만족도․142
[그림 Ⅳ-5] 직업기초능력의 격차(중요도-만족도)․143
[그림 Ⅳ-6] 전공지식의 격차(중요도-만족도)․144
[그림 Ⅴ-1] 2006년 산업별 숙련 지수․164
[그림 Ⅴ-2] 2003년 산업별 숙련 지수․165
[그림 Ⅴ-3] 2006-2003년 숙련변화․166
[그림 Ⅵ-1] 수요자주도형 핵심역량 구축 및 활용방안․176
[그림 Ⅵ-2] 직업세계와 교육기관의 연계성 강화 시스템․17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숙련수요전망 연구 2008.01.01~2008.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