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 BT중심 융합기술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in Fusion Technology : With Emphasis on BT-related Fusion Technology
저자
이수영 하태정 성양경
분류정보
기본연구(2008-1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8.11.30
등록일
2008.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융합기술 전문인력전문인력 양성바이오 융합기술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
제2장  융합기술의 발전과 융합기술 전문 인력 양성
 제1절  융합기술의 개념과 동향 7
 제2절  융합기술 정책 및 연구 동향 13 
 제3절  융합기술과 인력양성 20
제3장  바이오산업 및 인력 현황
 제1절  세계 바이오산업의 인력 현황 및 전망 31
 제2절  국내 바이오산업의 인력 현황 및 전망 35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40
제4장  바이오 융합기술 산업동향
 제1절  BIT 융합기술 및 산업 분류 43
 제2절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47
 제3절  바이오칩(Biochip) 53
 제4절  생체인식기술 75
 제5절  소결 81
제5장  국내 바이오 융합학과 현황 및 사례
 제1절  국내 바이오 융합학과의 현황 및 사례 83
 제2절  국내 바이오 융합학과 사례 조사의 시사점 119
제6장  미국의 바이오 융합기술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 사례
 제1절  미국 대학별 바이오 융합학과 현황 및 사례 121
 제2절  학제적(interdisciplinary) 교육 및 연구지원 정책과 관련 프로그램 사례 145
 제3절  미국 바이오 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의 시사점 167
제7장  바이오 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방안에 대한 전문가 조사
 제1절  조사방법과 설문구성 171
 제2절  조사결과 178
 제3절  소결 203
제8장  요약 및 결론
 제1절  요약 207
 제2절  결론 및 제언 208
SUMMARY 217
<부록 1> 바이오 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전문가 설문조사지 221
참고문헌 235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다. 
  첫째, 융합기술 및 융합지식의 특성과 체계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실시한다. 
  둘째, BT 중심의 융합기술로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고 관련 분야 R&D 동향(추세 및 전망)을 분석한다. BT 융합기술 R&D 연구의 특성을 연구의 내용, 수준별 인력에 요구되는 역량, 조직, 인프라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셋째, 국내외 BT 중심 융합기술 학과의 교육체제를 분석한다. 국내외 융합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내용, 방법 및 구성), 시설, 교수진 및 지원인력 구성, 학위과정운영체제, 산학연 협력제체 등을 교육과정체제와 학사운영체제의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넷째, BT 중심 융합기술 교육 내용 및 방식과 R&D 현장에서의 요구되는 융합기술 관련 역량을 비교 분석한다. 융합기술의 산업체 현장 전문 인력과 R&D 고급 전문 인력의 업무 특성 비교 및 이에 따른 양성과정 상의 특성을 비교한다. 
  Converging technologies refers to the synergistic combination of different science and technology areas including nano-bio-info-congo. Converging technologies are the results of not just a physical combination  but a chemical combination of element technologies, which creat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elements. In spite of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converging technologies in enhancing nation's competitiveness, it is rare to find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emerging scientists, engineers and workforce in converging technologies.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provide strategies to develop scientists and engineers in converging technologies that will meet the demands of new R&D trends and industrial needs. 
  Through this report, we tri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unifying sciences and converging technologies? How will scientific knowledge and current technologies evolve and what emerging development are envisioned? What are the most pressing  education issues that require immediate attention? How can we develop a transforming national strategy to enhance individual capabilities and R&D competitiveness? 
  In order to meet the challenges of converging technologies, most of all, science education at all levels needs radical transformation from elementary school through post-doctoral training. Furthermore, new form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ill be necessary. The creative development of converging technologies requires people who understand multiple fields in depth and can intelligently work to integrate them.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that is based on separate scientific disciplines and fields of engineering can not provide adequate learning environments for the future scientists and engineers of converging technologies. 
...
<표 Ⅱ-1> 기술융합 정의 비교․9
<표 Ⅱ-2> 주요국의 융합기술 연구개발 활동 비교․16 
<표 Ⅲ-1> 세계 생명공학 시장 현황(2006년, 상장기업 기준)․32
<표 Ⅲ-2> 아시아/태평양 시장의 바이오산업 현황(2005~2006)․33
<표 Ⅲ-3> 세계 바이오산업 시장규모 전망․33
<표 Ⅲ-4> 2020 유망 바이오산업의 세계 및 한국시장의 전망․34
<표 Ⅲ-5> 국내 생명공학 산업분야 종사 인력 연도별 추이․36
<표 Ⅲ-6> 바이오산업부문 인력(2005년)․36
<표 Ⅲ-7> 바이오산업의 산업별 인력 구성․37
<표 Ⅲ-8> 국내 바이오산업 시장규모 전망․38
<표 Ⅲ-9> 2020 유망 바이오산업의 시장 전망․39
<표 Ⅳ-1> BIT 기술 분류․44
<표 Ⅳ-2> 생물정보학관련 IT 기술의 내용․50
<표 Ⅳ-3> BIT 연구기관협의회 운영위원단․51
<표 Ⅳ-4> 국내 생물정보학관련 교육실시 기관 목록․51
<표 Ⅳ-5> 분야별 생물정보학 활용 동향․53
<표 Ⅳ-6> 국내 바이오칩 기술개발 동향․60
<표 Ⅳ-7>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개발 수준․61
<표 Ⅳ-8> 마이크로어레이 바이오칩의 활용 가능영역․63
<표 Ⅳ-9> 세계 유수 전자 기업들의 Bio-MEMS 진출현황․70
<표 Ⅳ-10> 생체인식기술의 활용분야․78
<표 Ⅳ-11> 국내 생체인식 시장규모 전망․79
<표 Ⅳ-12> 생체인식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80
<표 Ⅴ-1> 유형별 학과사례․84
<표 Ⅴ-2> 숭실대학교 생명정보학과 교과목 구성․85
<표 Ⅴ-3> 고려대학교 생명정보공학과 교육과정․89
<표 Ⅴ-4> 부산대학교 바이오정보전자 전공 교육과정․92
<표 Ⅴ-5> 상명대학교 생명정보공학과 교육과정․96
<표 Ⅴ-6> 서강대학교 바이오 융합기술 협동과정 교과목 구성․99
<표 Ⅴ-7> 서울대학교 생물정보학 협동과정 교과목 구성․103
<표 Ⅴ-8>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과 교과목 구성․111
<표 Ⅴ-9>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대학원 교과목․116
<표 Ⅵ-1> IGERT 프로그램의 분야별 주요 성과․147
<표 Ⅵ-2> HILS 프로그램․151
<표 Ⅵ-3> BLSC 프로그램의 주요 개념 및 하위 요소․156
<표 Ⅵ-4> Sample “Options”: Michigan State University College of Engineering․160
<표 Ⅶ-1> 설문유형별 비율․173
<표 Ⅶ-2> 설문 유형별 응답자 직책/직급 분포․174
<표 Ⅶ-3> 융합기술 전문 인력 양성 방안 설문 조사 내용․174
<표 Ⅶ-4> BIT 융합기술 관련 산업 도식에 대한 응답․179
<표 Ⅶ-5> BIT 융합기술 관련 산업 도식의 부적절 이유․180
<표 Ⅶ-6> 바이오 융합기술 전공분야․181
<표 Ⅶ-7> 우리나라 바이오 융합기술 분야의 국제 경쟁력․182
<표 Ⅶ-8> 바이오 융합기술 발전 저해요인․184
<표 Ⅶ-9> 바이오 융합관련 전문성 습득 경로․186
<표 Ⅶ-10> 대학 및 대학원 교육의 적절성․187
<표 Ⅶ-11> 대학 교육에 있어서 바이오 융합기술 발전의 저해요인․188
<표 Ⅶ-12> 대학원 교육에 있어서 바이오 융합기술 발전의 저해요인․190
<표 Ⅶ-13> 대학과 대학원 배출 인력의 유용성․192
<표 Ⅶ-14> 대학과 대학원 교육과 관련 산업 현장의 직무의 차이․193
<표 Ⅶ-15> 융합기술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할 역량별 중요도․194
<표 Ⅶ-16> 바이오 융합기술 관련 교육 체계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196
<표 Ⅶ-17> 바이오 융합기술 전문 인력 양성 모형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198
<표 Ⅶ-18> 졸업 후 3년 내 정규직 취직 가능성․199
<표 Ⅶ-19> 향후 3년 이내 필요한 인력 수요․200
<표 Ⅶ-20> 융합학과(혹은 협동과정) 개설과 운영의 필요성(대학교수)․201
<표 Ⅶ-21> 바이오 융합분야 신입연구원의 실무적응능력․202
[그림 Ⅱ-1] NBIC 사면체(NBIC tetrahedron)․11
[그림 Ⅱ-2] 기술복합화와 기술융합화의 비교․12
[그림 Ⅱ-3] 복수학제 연구와 학제 간 연구의 비교․13
[그림 Ⅱ-4] 세계 NT, BT, IT 관련 SCI 논문 수 추세․18
[그림 Ⅱ-5] 융합연구 관련 SCI 논문 수 추세․19
[그림 Ⅱ-6] 한국의 NT, BT, IT 관련 SCI 논문 수 추세․20
[그림 Ⅲ-1] 바이오산업의 산업별 기업 수 변화 추이(2002~2005)․37
[그림 Ⅲ-2] 국내 바이오산업의 시장규모(1994~2005)․38
[그림 Ⅳ-1] BIT기술과 산업과의 연계․46
[그림 Ⅳ-2] 생물정보학의 개요․47
[그림 Ⅳ-3] 마이크로시스템 내의 조직(Tissue) 배양 및 분석․59
[그림 Ⅳ-4] 화학반응 수행에 이용되고 있는 실리콘에 부착된 칩․66
[그림 Ⅳ-5] 두뇌칩․73
[그림 Ⅳ-6] 미국 USC 그룹의 망막자극 시스템․74
[그림 Ⅳ-7] 생체인식기술의 사용자등록 및 인증, 인식 과정․77
[그림 VI-1] 올린 트라이앵글․163
[그림 VI-2] 올린 교육과정의 구성․165
[그림 Ⅶ-1] BIT 융합기술 관련 산업․179
[그림 Ⅶ-2] 기관 유형별 융합기술 발전 저해 요인․184
[그림 Ⅶ-3] 대학 교육에 있어서 융합기술 발전 저해 요인․189
[그림 Ⅶ-4] 대학원 교육에 있어서 융합기술 발전 저해 요인․191
[그림 Ⅶ-5] 융합기술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할 역량별 중요도․195 
[그림 Ⅶ-6] 바이오 융합기술 관련 교육 체계에 대한 의견․197
[그림 Ⅶ-7] 바이오 융합기술 전문 인력 양성 모형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19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BT중심 융합기술을 중심으로 2008.01.01~2008.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