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직업시장전망
Occupation Market Projection for 2009
- 저자
- 황규희 오호영 김민경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8-2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8.12.31
- 등록일
- 2008.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시장 전망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2장 관련 조사 검토 제1절 도입 3 제2절 국내외 전망사례 5 제3절 소결: 직업시장 전망에 주는 시사점 14 제3장 주요기관 2009년 경제전망 제1절 2009년 세계경제 전망 17 제2절 2009년 국내경제 전망 20 제4장 직업시장 전망 조사 및 결과 제1절 조사 방법 29 제2절 주요 결과 33 제5장 결론: 요약 및 정책 시사 53 SUMMARY 57 <부록 1> 2009년 직업시장전망 조사 설문지 61 <부록 2> 2009년 직업시장전망 조사 상세결과 69 참고문헌 91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동향정보의 일환으로 각 년도 직업시장전망을 제시하였다. 본 ‘직업시장 전망’은 직업시장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직업전망과 이에 대응한 자기개발 계획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정부의 노동시장 대책 마련에 참고자료를 제공하고, 관련한 직업능력개발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survey shows people’s outlook of the job market in 2009 and how they are willing to respond to their prospect. Based on the survey,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are brought out. First, in increasing the public expenditure for the current economic recession, the vocational training policy mus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ex and age as well as the economic activity status (employment, unemployment and unproductive labor). Secondly, in expanding the employment opportunity, the previously less-attractive jobs must be reconsidered and overseas working opportunity should be constructively provided. Thirdly, even though it is an urgent issue to provide jobs for the workforce, policies in long term perspective need to focus more on providing prosperous jobs which could allow them to build their career into a higher level.
<표 Ⅲ-1> 세계경제전망․17 <표 Ⅲ-2> 신흥국 및 개도국 경제성장률 전망․19 <표 Ⅲ-3> 경제성장 전망․21 <표 Ⅳ-1> 직업전망지표 세부항목․30 <표 Ⅳ-2> 표본추출방법․31 <표 Ⅳ-3> 조사 프로세스․32 <표 Ⅳ-4> 2008년 경제활동유형별 비중․33 <부표-1> 2009년 일자리/고용 예상․69 <부표-2> 2009년 임금/근로조건 예상․70 <부표-3> 2009년 가계소득 예상․71 <부표-4> 가계소득 감소에 따른 최우선 대응방안․72 <부표-5> 괜찮은 일자리의 최소월수입․73 <부표-6> 취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74 <부표-7> 취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2순위 합)․75 <부표-8> 2009년 교육훈련 계획․76 <부표-9> 2009년에 받고 싶은 교육훈련․77 <부표-10> 자녀의 직업선택 시 부모의 기준․78 <부표-11> 본인의 직업선택 시 중요한 기준․79 <부표-12> 직업(하고 있는 일)․80 <부표-13> 현 직장 근무형태․81 <부표-14> 현재 일에 대한 만족도․82 <부표-15> 1년 이내 직장이나 직업 이직 의향․83 <부표-16> 취업을 위한 적극적 구직의사․84 <부표-17> 결혼여부․85 <부표-18> 학력여부․86 <부표-19> 비정규직 포함 직장 경력․87 <부표-20> 월 평균 가구 소득․88 <부표-21> 본인의 기대임금(월평균)․89 [그림 Ⅲ-1] 주요 선진국의 경제성장률 추이․18 [그림 Ⅲ-2] 주요 연구기관의 2009년 경제성장률 전망․20 [그림 Ⅲ-3] 취업유발계수 추이․25 [그림 Ⅲ-4] 신규취업자수 증가전망․26 [그림 Ⅲ-5] 주요 연구기관의 2009년 실업률 전망․27 [그림 Ⅳ-1] 일자리/고용 전망․34 [그림 Ⅳ-2] 연령별 일자리/고용 전망․35 [그림 Ⅳ-3] 임금/근로조건 전망․36 [그림 Ⅳ-4] 연령별 임금/근로조건 전망․37 [그림 Ⅳ-5] 가계소득 감소에 대한 대응․38 [그림 Ⅳ-6] 취업여부별 가계소득에 감소에 대한 대응․38 [그림 Ⅳ-7] 괜찮은 일자리의 최소 월수입․39 [그림 Ⅳ-8] 취업형태별 교육훈련 계획․40 [그림 Ⅳ-9] 연령별 교육훈련 계획․41 [그림 Ⅳ-10] 교육훈련 내용․42 [그림 Ⅳ-11] 자녀의 직업 권고기준․43 [그림 Ⅳ-12] 연령별 자녀의 직업 권고기준․44 [그림 Ⅳ-13] 학력별 자녀의 직업 권고기준․44 [그림 Ⅳ-14] 본인의 직업 선택기준․45 [그림 Ⅳ-15] 20대 본인의 직업 선택기준․46 [그림 Ⅳ-16] 취업여부별 본인의 직업 선택기준․47 [그림 Ⅳ-17] 취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48 [그림 Ⅳ-18] 취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20~30대)․49 [그림 Ⅳ-19] 취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미취업자:실업자+비경제활동인구)․4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2009 직업시장전망 | 2008.01.01~2008.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