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산업의 직업연구
A Study on Occupations in Biotechnology Industry
- 저자
- 최동선 정윤경 김나라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8-2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8.10.31
- 등록일
- 2008.10.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생명공학산업인력양성직업연구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제2절 연구ㆍ사업의 내용 및 방법 5 1. 연구ㆍ사업의 내용 5 2. 연구ㆍ사업의 방법 7 제2장 산업동향 및 직업분류 제1절 생명공학산업의 개념 및 동향 13 1. 생명공학산업의 개념 및 유형 13 2. 생명공학산업의 현황 및 동향 35 제2절 생명공학산업의 직업분류 50 1. 생명공학산업 분야의 직업에 관한 선행연구 50 2. 생명공학산업 분야 직업의 개념 59 3. 생명공학산업 분야 직업의 분류 및 선정 62 제3장 주요 직업별 특성 제1절 연구ㆍ개발 직종 67 1. 생명공학연구원 67 2. 생물정보분석학자 및 생물정보엔지니어 77 3. 비임상연구원 83 4. 임상연구요원 94 5. 인허가 및 관련 규제업무 관리자 109 제2절 공정개발 및 제조 직종 120 1. 생물공정개발엔지니어 120 2. 바이오제품제조엔지니어 130 3. 연구 및 제조ㆍ생산ㆍ계측장비관리자 139 제3절 품질관리 및 품질보증 직종 156 1. 품질관리기술자 156 2. 품질보증검증기술자 171 제4절 사업 및 마케팅 직종 181 1. 신규사업 개발기획 전문가 181 2. 지적재산권전문가 188 제4장 인력양성 및 교육훈련 제1절 생명공학산업과 직무수행능력 203 제2절 인력양성 및 교육훈련 요구도 216 1. 인력의 수요 및 공급 216 2. 생명공학산업 분야의 인력양성을 위한 정책 및 사례 222 제3절 현직 교육훈련 및 요구도 228 1. 재직 중 현직교육 참여 현황 229 2. 현직교육과 관련한 최근의 동향 및 사례 236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239 제2절 제언 242 1. 연구 중심과 생산 중심의 차별화된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243 2. 산업현장의 요구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생명공학산업 분야 KSS(Korean Skill Standard) 개발 243 3. KSS를 토대로 생명공학분야로의 진출을 위한 단기 교육과정 개설 운영 245 4. 산업체와 연계한 ‘생명공학전문교육원(가칭)’ 설립 246 5. 생명공학산업 분야에서의 산학연 연계 강화 247 6. 현장 기반의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보급 249 7. 생명공학산업 종사자를 위한 재직교육 강화 249 8. 생명공학 연구ㆍ사업 개발 기획관련 Bio-HRD 강사 전문인력 확보 및 지역거점 교육체계 구축 250 9. 생명공학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인력 양성을 위한 신규자격 신설 252 10. 생명공학산업 분야의 통계 시스템 개선 255 11. 생명공학인력의 국가 기여지수 및 산업 내 개별 기여지수 개발 255 SUMMARY 257 <부록 1> 생명공학산업의 핵심직업 발굴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지 267 <부록 2> 생명공학산업 직업의 분류 및 직업개요 275 <부록 3> 생명공학산업 분야 직업연구를 위한 심층인터뷰지(생명공학연구원) 285 <부록 4> 생명공학산업 분야 주요 직업의 현황 및 교육훈련 요구조사 설문지 291 <부록 5> 현직자 대상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표 299 참고문헌 303
이 연구는 차세대 성장동력의 하나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되는 생명공학산업에 대한 직업연구를 통하여 생명공학산업에서의 직업세계에 관한 심층적인 직업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생명공학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관련 자격체제를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공학산업의 산업분류 및 직업분류를 분석하고 생명공학산업을 구성하는 직업구조를 밝힌다. 둘째, 생명공학산업의 주요 직업에 대한 직무분석 및 직무분석 결과를 활용한 요구분석을 통하여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및 자격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셋째, 생명공학산업의 산업별 직업연구를 통하여 생명공학산업을 구성하는 직종의 특성 및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다. 넷째, 생명공학산업에 대한 직업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훈련, 자격, 관련 제도적 개선 등의 정책 대안을 도출한다.
Biotechnology industry (or Bio-industry) is defined as the technology-intensive, highly value-added industry to provide useful goods or services for human beings with applying biotechnology to DNA, protein, cell body, and so on. Biotechnology industry, together with ICT industry, has been regarded as one of core sectors for contributing to national competitiveness. Although much efforts should be made for the growth in biotechnology industry, more important is the cultivation and management of highly professional manpower. Although many research agreed that the size of manpower cultivated through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is not insufficient, some qualitative problems, especially problems of the gaps between school and industry, have been pointed out. In other words, the manpower that are cultivated through universities or colleges failed to meet the needs of industries in qualitative perspectives.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qualitative problems in biotechnology industry with the occupational perspectives. Specifically, our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not only to generate detailed occupational informations in biotechnology industry, but also to produce several countermeasures for developing human resources and improving qualification systems in biotechnology sector.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research made use of following methodologies: (a)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 (b) interviewing and surveying scores of SME's with contents of occupational status and change, deman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occupational outlooks, and so on, and (c) discussing our results and countermeasures with some professionals. ...
<표 Ⅰ-1>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 참여 인원 ․ 8 <표 Ⅰ-2>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위한 조사내용 및 항목 ․ 9 <표 Ⅱ-1> 생명공학산업 관련 개념의 정의 ․ 17 <표 Ⅱ-2> 생명공학산업의 분류체계 ․ 20 <표 Ⅱ-3> OECD 및 주요 국가의 생명공학 분야 분류체계 ․ 22 <표 Ⅱ-4> San Diego Workforce Partnership의 생명공학산업과 북미표준산업분류체계와의 연계표 ․ 23 <표 Ⅱ-5> 한국표준산업분류와 생명공학산업의 연계 ․ 25 <표 Ⅱ-6> OECD의 생명공학기술 분류체계 ․ 27 <표 Ⅱ-7> 바이오산업 분류코드에서의 생명공학기술 분류체계 ․ 29 <표 Ⅱ-8> 한국표준산업분류 특수분류에서의 생명공학기술 분류체계 ․ 32 <표 Ⅱ-9>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에서의 생명과학분야 분류체계 ․ 33 <표 Ⅱ-10> 전통적인 생명공학기술과 현대 생명공학기술의 비교 ․ 35 <표 Ⅱ-11> 생명공학산업 분야 사업체의 산업활동 유형(2006년) ․ 37 <표 Ⅱ-12> 생명공학산업 분야별 생명공학기술의 활용도 ․ 41 <표 Ⅱ-13> 국내 생명공학산업 현황 및 전망(2000~2020) ․ 45 <표 Ⅱ-14> 생명공학산업 종사자의 직종별․학력별 규모 ․ 46 <표 Ⅱ-15> 분야별 생명공학산업 종사자의 국가별 비교 ․ 49 <표 Ⅱ-16> 생명공학산업 종사자의 직종별․학력별 규모 ․ 50 <표 Ⅱ-17> MassBio의 생명공학 분야의 경력기회 ․ 54 <표 Ⅱ-18> 캘리포니아주 고용개발국(2004)의 생명공학분야 직업 목록 ․ 57 <표 Ⅱ-19> 생명공학산업 분야 직업의 분류 틀 ․ 64 <표 Ⅱ-20> 생명공학산업의 직업분류 및 관련 직업 ․ 65 <표 Ⅲ-1> CRA의 업무 영역 ․ 96 <표 Ⅲ-2> 국가임상시험사업단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 교육내용 ․ 105 <표 Ⅳ-1> 직무수행능력(competencies)의 구조 및 내용 ․ 207 <표 Ⅳ-2> 생명공학산업 주요 직업에서 요구하는 학력 수준 ․ 217 <표 Ⅳ-3> 국내 생명공학분야의 학위별 졸업자 현황 ․ 218 <표 Ⅳ-4> 생명공학인력의 수요-공급 전망 ․ 219 <표 Ⅳ-5> 필요한 인력을 제때에 확보하지 못하는 이유 ․ 221 <표 Ⅳ-6> 정부 부처별 생명공학 분야 인력양성 사업 현황 ․ 223 <표 Ⅳ-7> 고려대학교 생물법제학 석 ․ 박사과정 교과목 체계 ․ 226 <표 Ⅳ-8> 연세대학교 생물소재공학 석박사과정 교과목 체계 ․ 227 <표 Ⅳ-9> 생명공학산업 주요 직업에서 요구하는 경력 수준 ․ 229 <표 Ⅳ-10> 지난 1년간 참여한 직무 관련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주체 ․ 231 <표 Ⅳ-11> 지난 1년간 참여한 직무 관련 교육훈련 비용 부담 주체 ․ 232 <표 Ⅳ-12> 직무 관련 교육훈련에 참여하기 어려운 주된 이유 ․ 234 <표 Ⅳ-13> 교육훈련 유형별 업무 수행에의 기여도에 대한 기대 ․ 235 <표 Ⅳ-14> 교육기관별 바이오인력양성 단기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 237 [그림 Ⅰ-1]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1 [그림 Ⅱ-1] 생명공학산업의 응용 범위 ․ 18 [그림 Ⅱ-2] 생명공학산업 사업체 규모의 변화 추이 ․ 36 [그림 Ⅱ-3] 생명공학 사업체 수의 국가별 비교 ․ 38 [그림 Ⅱ-4] 생명공학산업 분야 사업체의 주요 활용 생명공학기술(2006년) ․ 40 [그림 Ⅱ-5] 국내 생명공학산업 시장규모의 변화 추이 ․ 43 [그림 Ⅱ-6] 분야별 국내 생명공학산업의 시장규모 비율(2006년) ․ 43 [그림 Ⅱ-7] 분야별 국내 생명공학산업 시장규모 변화 추이 ․ 44 [그림 Ⅱ-8] 생명공학산업 종사자의 국가별 비교 ․ 47 [그림 Ⅱ-9] 분야별 생명공학산업 종사자 규모 ․ 48 [그림 Ⅱ-10] San Diego Workforce Partnership에서 제공하는 생명공학분야 직업 정보 예시 ․ 53 [그림 Ⅱ-11] 생명공학산업 종사자와 생명공학분야 직업종사자의 개념적인 관계도 ․ 61 [그림 Ⅱ-12] 생명공학산업의 기본 구조 ․ 63 [그림 Ⅲ-1] 생명공학연구원의 직업경로 ․ 72 [그림 Ⅲ-2] 생명공학연구원의 직업 전망 ․ 75 [그림 Ⅲ-3] 생물정보학자 및 생물정보엔지니어의 직업경로 ․ 80 [그림 Ⅲ-4] 생물정보학자 및 생물정보엔지니어의 직업 전망 ․ 83 [그림 Ⅲ-5] 비임상연구원의 직업경로 ․ 90 [그림 Ⅲ-6] 비임상연구원의 직업 전망 ․ 94 [그림 Ⅲ-7] 국내 임상시험 승인현황 ․ 98 [그림 Ⅲ-8] 임상시험요원(CRA)의 직업경로 ․ 102 [그림 Ⅲ-9] 임상연구요원의 직업 전망 ․ 107 [그림 Ⅲ-10] 인허가 및 관련 규제업무담당자의 직업경로 ․ 114 [그림 Ⅲ-11] 인허가 및 관련 규제업무담당자의 직업 전망 ․ 119 [그림 Ⅲ-12] 생물공정개발엔지니어의 직업경로 ․ 126 [그림 Ⅲ-13] 생물공정개발엔지니어의 직업 전망 ․ 129 [그림 Ⅲ-14] 바이오제품제조엔지니어의 직업경로 ․ 135 [그림 Ⅲ-15] 바이오제품제조엔지니어의 직업 전망 ․ 139 [그림 Ⅲ-16] 연구지원 및 제조 ․ 생산 ․ 계측장비관리자의 직업경로 ․ 149 [그림 Ⅲ-17] 연구 및 생산 ․ 제조 ․ 계측관리자의 직업 전망 ․ 155 [그림 Ⅲ-18] 품질관리기술자의 직업경로 ․ 164 [그림 Ⅲ-19] 품질관리기술자의 직업 전망 ․ 170 [그림 Ⅲ-20] 품질검증보증기술자의 직업경로 ․ 175 [그림 Ⅲ-21] 품질보증검증기술자의 직업 전망 ․ 180 [그림 Ⅲ-22] 신규사업개발기획전문가의 직업경로 ․ 184 [그림 Ⅲ-23] 신규사업개발기획전문가의 직업 전망 ․ 188 [그림 Ⅲ-24] 지적재산권 담당 사무원의 직업경로 ․ 197 [그림 Ⅲ-25] 지적재산권전문가의 직업 전망 ․ 201 [그림 Ⅳ-1] 직업생활 영위를 위하여 요구되는 역량 요소들 ․ 205 [그림 Ⅳ-2] 교육훈련 요구의 개념도 ․ 206 [그림 Ⅳ-3] 생명공학산업의 주요 직종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 ․ 209 [그림 Ⅳ-4] 생명공학산업 주요 직종의 직무수행능력 요구도와 대학교육 기여도 사이의 차이 ․ 212 [그림 Ⅳ-5] 생명공학산업 주요 직업에서의 양적 ․ 질적 수요-공급 관계 ․ 220 [그림 Ⅳ-6] 향후 5년 후의 생명공학산업 주요 직업에서의 양적 ․ 질적 수요-공급 관계 ․ 222 [그림 Ⅳ-7] 서울대학교 단백질생산공학전공 교과목 체계 ․ 225 [그림 Ⅳ-8] 지난 1년간 직무관련 교육훈련 참여경험 및 참여기간 ․ 230 [그림 Ⅳ-9] 재직 중 직무 관련 교육훈련 프로그램 참여의 어려움 정도 ․ 233 [그림 Ⅳ-10] 생물산업기술인력 단기양성 프로그램 체계 ․ 236 [그림 Ⅴ-1] 직무능력표준(KSS) 개발 체계 ․ 24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생명공학산업의 직업연구 | 2008.01.01~2008.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