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Development on Examination Tool for Basic Vocational Skills
- 저자
- 박동열 최동선 이용순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8-2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8.11.30
- 등록일
- 2008.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방법 4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국가자격체계에서 제시된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무수행 수준 및 주요 활동 9 1. 국가자격체계에 따른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무 수행 수준 9 2. 전문계 고등학생 직업기초능력 영역별 주요활동 19 제2절 행동기술척도의 활용 사례 54 1. 행동적 관점에서 제작된 평가척도 54 2. 행동기술척도(BARS)의 이론적 배경 56 3. 행동기술척도(BARS)의 개발절차 및 활용 62 4. 행동기술척도(BARS)로 개발된 진단도구 사례 75 5.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의 규준화 95 제3장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제1절 직업기초능력 영역 확인과 정의 105 1. 직업기초능력 개념 및 정의 105 2. 직업기초능력 영역 108 3. 직업기초능력 수준 119 4. 직업기초능력 영역의 도출 149 제2절 직업기초능력 행동사례 재역과 척도화 159 1. 전문계고 교사가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 문항의 적절성 분석 결과 159 2. 기업 인사담당자가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 문항의 적절성 분석 결과 183 제3절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 결과 및 규준화 188 1.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결과 188 2.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규준화 221 제4절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활용방안 224 1.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활용방법 224 2.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평가결과 적용 226 SUMMARY 229 <부록 1> 1차 설문지 235 <부록 2> 2차 설문지 259 <부록 3> 3차 설문지 281 <부록 3-1> 3차 설문지-교사용 평가 조사표 299 <부록 4> 리더십 역량 모델 사례 301 <부록 5> 전문계 고교생용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305 <부록 6> 전문계 고교생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결과 보고서 321 참고문헌 343
최근 발표된 「전문계 고등학교 육성 대책」에서는 전문계 고등학교를 '고졸 수준 이상의 기능인력 양성과 중견 및 전문기술자 양성을 위한 직업기초교육을 동시에 추구하는 중등단계의 직업교육기관'으로 육성하는 것을 제시하여, 중등 직업교육에서의 직업기초능력 강화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기업에서도 근로자의 직업기초능력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측정 및 진단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을 간편하게 진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할 수 있는 진단도구의 개발이 필요하지만, 현재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 측정 및 진단 관련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업 선발 목적보다는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준 진단과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행동기술척도를 활용한 행동 체크리스트형 진단도구를 개발함과 동시에 이를 규준화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주요내용 - 국가자격체계에 따른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 행동기술척도의 활용사례 -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 결과 및 규준화 -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활용 방안
Industrial organizations are increasingly getting more and more enormous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duties that individual should perform are diversified. For effectively coping with these environmental changes, the core competencies, which were required basically in most occupations, were more emphasized than specialized knowledge. In this contex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establish the concept and dimensions of core competenci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 derive main activities based on BARS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to develop reasonable test for diagnosing core competencies, and to suggest several countermeasures for effective uses. ...
<표 Ⅰ-1>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의 규준화를 위한 모집단 현황․6 <표 Ⅰ-2> 연구 수행 절차 및 단계별 설문조사․7 <표 Ⅱ-1> KQF 구조(안)․10 <표 Ⅱ-2> 각 직무수준에 대한 정의․11 <표 Ⅱ-3> 업무능력에 기초한 등급별 수준정의․13 <표 Ⅱ-4> 일의 책임감에 기초한 등급별 수준정의․15 <표 Ⅱ-5> 일의 복잡도에 기초한 등급별 수준정의․17 <표 Ⅱ-6> 국가자격체계에 따른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무수행 수준․18 <표 Ⅱ-7> 전문계 고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 사례․19 <표 Ⅱ-8>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기관리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20 <표 Ⅱ-9> 전문계 고등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21 <표 Ⅱ-10> 전문계 고등학생의 정보관리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22 <표 Ⅱ-11>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원활용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24 <표 Ⅱ-12> 전문계 고등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26 <표 Ⅱ-13> 전문계 고등학생의 기술활용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28 <표 Ⅱ-14> 전문계 고등학생의 조직이해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29 <표 Ⅱ-15> 전문계 고등학생의 영역별 주요 활동․30 <표 Ⅱ-16> 문제해결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34 <표 Ⅱ-17> 의사소통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36 <표 Ⅱ-18> 자원활용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39 <표 Ⅱ-19> 정보활용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41 <표 Ⅱ-20> 기술활용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42 <표 Ⅱ-21> 수리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43 <표 Ⅱ-22> 문화이해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44 <표 Ⅱ-23> 조직이해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45 <표 Ⅱ-24> 대인관계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47 <표 Ⅱ-25> 자기관리개발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49 <표 Ⅱ-26> 변화관리능력 영역에서의 주요 활동․51 <표 Ⅱ-27> 이종범에 따른 전문계 고등학생의 영역별 주요활동․52 <표 Ⅱ-28> 행동적 관점에서 제작된 평가척도들 간 비교․55 <표 Ⅱ-29> 행동기술척도(BARS)의 일반적 특징․56 <표 Ⅱ-30> 심리학적 특성에 따른 행동기술척도(BARS)와 다른 척도 간비교연구․60 <표 Ⅱ-31> BARS 개발절차․63 <표 Ⅱ-32> MBA 학생들의 사례분석에 행동기술척도(BARS)가 적용된 과정․65 <표 Ⅱ-33> 세일즈맨의 성과분석을 위한 행동기술척도(BARS) 개발과정․67 <표 Ⅱ-34> BARS개발절차에 기초한 컴퓨터프로그래머 수행평가 개발절차․69 <표 Ⅱ-35> BARS개발절차에 기초한 대학생의 직업 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절차․70 <표 Ⅱ-36> 초․중등학교 관리자 및 평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BARS요소와 세부항목․72 <표 Ⅱ-37> 단일 기업을 대상으로 한 행동기술척도(BARS)에 의한 고과요소구성․74 <표 Ⅱ-38> 문제해결 및 발표능력 영역의 BARS 진단도구․89 <표 Ⅱ-39> 기술활용능력 영역의 BARS 진단도구․90 <표 Ⅱ-40> 자원활용능력 영역의 BARS 진단도구․91 <표 Ⅱ-41> 수리능력 영역의 BARS 진단도구․92 <표 Ⅱ-42> 조직이해능력 영역의 BARS 진단도구․93 <표 Ⅱ-43> 대인관계능력 영역의 BARS 진단도구․94 <표 Ⅱ-44> 자기관리능력 영역의 BARS 진단 도구․95 <표 Ⅱ-45> 규준점수의 종류․97 <표 Ⅱ-46> NAEP의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수준․100 <표 Ⅱ-47> 검사 점수 보고 사례․101 <표 Ⅱ-48> 실업계 2학년 계열별 평균 차이․104 <표 Ⅲ-1> 선행연구로 살펴본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및 정의․107 <표 Ⅲ-2> ASTD의 직업기초능력․109 <표 Ⅲ-3> SCANS의 직업기초능력․110 <표 Ⅲ-4> Mayer 위원회에서 제시한 직업기초능력 영역설정 원리․112 <표 Ⅲ-5> 각 국가별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118 <표 Ⅲ-6> 이무근(1997)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등급 분류․119 <표 Ⅲ-7> 직위에 따른 내․외부 고객서비스(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 Service)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121 <표 Ⅲ-8> 직위에 따른 변화관리(Change Management)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122 <표 Ⅲ-9> 직위에 따른 대인관계능력(Interpersonal Skills)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122 <표 Ⅲ-10> 직위에 따른 지속적인 개선(Continuous Improvement)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123 <표 Ⅲ-11> 직위에 따른 계획 및 체계화(Planning and Organization)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124 <표 Ⅲ-12> 직위에 따른 사업이해(Business Knowledge)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125 <표 Ⅲ-13> 직위에 따른 팀워크(Teamwork)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126 <표 Ⅲ-14> 직위에 따른 쓰기의사소통(Written Communication)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 ․127 <표 Ⅲ-15> 직위에 따른 말하기의사소통(Verbal Communication)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128 <표 Ⅲ-16> 직위에 따른 리더십(Leadership)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129 <표 Ⅲ-17> 직위에 따른 문제해결(Problem Solving)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130 <표 Ⅲ-18> 직위에 따른 의사결정(Decision Making)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131 <표 Ⅲ-19> 직위에 따른 조직자극(Organizational Astuteness) 차원의 직업기초능력수준․132 <표 Ⅲ-20> 영향력(Influence) 차원의 직위별 직업기초능력수준․133 <표 Ⅲ-21> 주도력(Initiative) 차원의 직위별 직업기초능력수준․134 <표 Ⅲ-22> 비전(Vision) 차원의 직위별 직업기초능력수준․135 <표 Ⅲ-23> 고객 오리엔테이션(Customer Orientation) 차원의 직위별 직업기초능력수준․136 <표 Ⅲ-24> 팀워크/협동(Teamwork/Collaboration) 차원의 직위별 직업기초능력수준․137 <표 Ⅲ-25> 사업이해(Business Understanding) 차원의 직위별 직업기초능력수준․138 <표 Ⅲ-26> 높은 기준설정(High Standard) 차원의 직위별 직업기초능력수준․139 <표 Ⅲ-27>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Effective Communication) 차원의 직위별 직업기초능력수준․140 <표 Ⅲ-28> 위기대처(Risk Taking) 차원의 직위별 직업기초능력수준․141 <표 Ⅲ-29> 과정 개선(Process Improvement) 차원의 직위별 직업기초능력수준․142 <표 Ⅲ-30> 자아 및 타인계발(Developing Self and Others) 차원의 직위별 직업기초능력수준․143 <표 Ⅲ-31> 결과 오리엔테이션(Result Orientation) 차원의 직위별 직업기초능력수준․144 <표 Ⅲ-32> 리더십능력 모델에서 직위별로 요구되는 하위차원 행동수준․145 <표 Ⅲ-33> 직업기초능력 검사도구의 전체 설명 변량․151 <표 Ⅲ-34> 요인 분석 결과․152 <표 Ⅲ-35> 직업기초능력 영역(안)․156 <표 Ⅲ-36>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해결능력 문항의 적절성과 행동 수준․160 <표 Ⅲ-37> 교사가 인식하는 의사소통능력 문항의 적절성과 행동 수준․162 <표 Ⅲ-38> 교사가 인식하는 정보활용능력 문항의 적절성과 행동 수준․163 <표 Ⅲ-39> 교사가 인식하는 도구활용능력 문항의 적절성과 행동 수준․164 <표 Ⅲ-40> 교사가 인식하는 수리능력 문항의 적절성과 행동 수준․168 <표 Ⅲ-41> 교사가 인식하는 국제문화이해능력 문항의 적절성과 행동 수준․171 <표 Ⅲ-42>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조직체계 이해능력 문항의 적절성과 행동 수준․172 <표 Ⅲ-43> 교사가 인식하는 리더십 문항의 적절성과 행동 수준․174 <표 Ⅲ-44> 교사가 인식하는 팀워크능력 문항의 적절성과 행동 수준․175 <표 Ⅲ-45> 교사가 인식하는 갈등관리능력 문항의 적절성과 행동 수준․178 <표 Ⅲ-46> 교사가 인식하는 경력개발능력 문항의 적절성과 행동 수준․180 <표 Ⅲ-47> 교사가 인식하는 책임감 및 자신감 문항의 적절성과 행동 수준․181 <표 Ⅲ-48> 응답자의 일반적 현황․189 <표 Ⅲ-49> 계열별 문제해결능력 진단결과․190 <표 Ⅲ-50>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진단결과․191 <표 Ⅲ-51> 계열별 의사소통능력 진단결과․191 <표 Ⅲ-52>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진단결과․192 <표 Ⅲ-53> 계열별 자원활용능력 진단결과․193 <표 Ⅲ-54>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자원활용능력 진단결과․193 <표 Ⅲ-55> 계열별 정보활용능력 진단결과․194 <표 Ⅲ-56>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진단결과․194 <표 Ⅲ-57> 계열별 도구활용능력 진단결과․195 <표 Ⅲ-58>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도구활용능력 진단결과․196 <표 Ⅲ-59> 계열별 수리능력 진단결과․196 <표 Ⅲ-60>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수리능력 진단결과․197 <표 Ⅲ-61> 계열별 조직이해능력 진단결과․198 <표 Ⅲ-62>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조직이해능력 진단결과․198 <표 Ⅲ-63> 계열별 국제문화이해능력 진단결과․199 <표 Ⅲ-64>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국제문화이해능력 진단결과․199 <표 Ⅲ-65> 계열별 (학교)조직체계이해능력 진단결과․200 <표 Ⅲ-66>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학교)조직체계이해능력 진단결과․201 <표 Ⅲ-67> 계열별 대인관계능력 진단결과․201 <표 Ⅲ-68>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대인관계능력 진단결과․202 <표 Ⅲ-69> 계열별 리더십 진단결과․203 <표 Ⅲ-70>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리더십 진단결과․203 <표 Ⅲ-71> 계열별 팀워크능력 진단결과․204 <표 Ⅲ-72>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팀워크능력 진단결과․204 <표 Ⅲ-73> 계열별 갈등관리능력 진단결과․205 <표 Ⅲ-74>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갈등관리능력 진단결과․205 <표 Ⅲ-75> 계열별 자기관리능력 진단결과․206 <표 Ⅲ-76>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자기관리능력 진단결과․207 <표 Ⅲ-77> 계열별 경력개발능력 진단결과․207 <표 Ⅲ-78>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경력개발능력 진단결과․208 <표 Ⅲ-79> 계열별 책임감 및 자신감 진단결과․209 <표 Ⅲ-80>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책임감 및 자신감 진단결과․209 <표 Ⅲ-81> 영역별 규준표․222 [그림 Ⅱ-1] 직업기초능력 수준분류(안)․32 [그림 Ⅱ-2] 직업기초능력 수준분류 설정 준거(지식 및 기술)․33 [그림 Ⅱ-3] 직업기초능력 수준분류 설정 준거(업무수행과정 및 업무환경)․33 [그림 Ⅱ-4] 컴퓨터 관련지식 측정 척도․76 [그림 Ⅱ-5] 외국어 능력 측정 척도․77 [그림 Ⅱ-6] 언어 능력 측정 척도․78 [그림 Ⅱ-7] 수리력 측정 척도․79 [그림 Ⅱ-8] 판단 및 분석력 측정 척도․80 [그림 Ⅱ-9] 디자인 구현 능력 측정 척도․81 [그림 Ⅱ-10] 창의력 측정 척도․82 [그림 Ⅱ-11] 인간(대인)관계능력 측정 척도․83 [그림 Ⅱ-12] 스트레스(위기)대처능력 측정 척도․84 [그림 Ⅱ-13] 성실성 측정 척도․85 [그림 Ⅱ-14] 성취지향성 측정 척도․86 [그림 Ⅱ-15] 신기술 적용능력 측정 척도․87 [그림 Ⅱ-16] 고객지향성 측정 척도․88 [그림 Ⅱ-17]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프로파일(단위 T점수)․104 [그림 Ⅲ-1] 직업기초능력 행동기술척도 개발 1단계․149 [그림 Ⅲ-2] 전문계고 교사가 평가한 직업기초능력수준․210 [그림 Ⅲ-3] 전문계 고교생이 평가한 직업기초능력수준․211 [그림 Ⅲ-4] 농업계열 전문계고 교사가 평가한 직업기초능력수준․212 [그림 Ⅲ-5] 농업계열 전문계 고교생이 평가한 직업기초능력수준․213 [그림 Ⅲ-6] 공업계열 전문계고 교사가 평가한 직업기초능력수준․214 [그림 Ⅲ-7] 공업계열 전문계 고교생이 평가한 직업기초능력수준․215 [그림 Ⅲ-8] 상업계열 전문계고 교사가 평가한 직업기초능력수준․216 [그림 Ⅲ-9] 상업계열 전문계 고교생이 평가한 직업기초능력수준․217 [그림 Ⅲ-10] 가사계열 전문계고 교사가 평가한 직업기초능력수준․218 [그림 Ⅲ-11] 가사계열 전문계 고교생이 평가한 직업기초능력수준․219 [그림 Ⅲ-12] 전문계고 교사가 평가한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직업기초능력수준․220 [그림 Ⅲ-13] 전문계 고교생이 평가한 현장경험 유무에 따른 직업기초능력수준․221 [그림 Ⅲ-14]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검사 보고서 예․223 [그림 Ⅲ-15]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절차․224 [그림 Ⅲ-16]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활용 예․225 [그림 Ⅲ-17]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평가결과 해석․22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 2008.01.01~2008.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