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KRIVET 직업전망 지표개발(2008)

Development of KRIVET Occupation Prospect Index(2008)
저자
정윤경 한상근 오호영 장혜정 김나라
분류정보
기본연구(2008-2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8.11.30
등록일
2008.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전망지표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3
   1. 연구내용  3
   2. 연구방법 4
 제3절  연구범위 6
 제4절  용어의 정의 9
   1. 직업전망 지표 9
   2. 직업전문가 10
제2장  직업전망 지표 개발 연구방법론
 제1절  선행연구 분석 13
 제2절  직업전망 지표의 구성 15
   1. 직업전망 지표의 범주와 세부 항목 15
   2. 지표 생성을 위한 가중치 21
 제3절  직업전망 조사의 설계 23
   1. 조사직업 선정 23
   2. 직업전문가 DB 구축 27
   3. 설문지 재조정 35
   4. 조사 실시 체계의 구축 39
제3장  우리나라 산업의 특징과 직업세계
 제1절  산업개관 41
   1. 산업구조 41
   2. 산업동향 47
 제2절  우리나라 직업세계의 변화추이 51
   1. 취업구조 51
   2. 산업별 취업구조 52
   3. 직업별 취업구조 54
   4. 고용형태별 취업구조 55
 제3절  직종별 직업의 특징 57
   1. 보상 영역: 임금현황 57
   2. 고용안정 영역: 고용형태 62
   3. 발전 가능성 영역: 교육훈련 이수 72
   4. 근무여건 영역: 근무시간 74
   5. 직업전문성 영역: 면허 및 자격 보유비율 75
제4장  직업전망 지표의 주요 결과
 제1절  조사 개요 77
 제2절  현재의 직업전망 지표 82
   1. 종합 직업전망 지표 82
   2. 영역별 직업전망 지표 88
   3. 주요 영역 간 교차 비교 100
 제3절  10년 후의 직업전망 지표 110
   1. 종합 직업전망 지표 110
   2. 영역별 직업전망 지표 116
   3. 주요 영역 간 교차 비교 128
 제4절  직업세계 변화추이 136
   1. 종합 지표의 변화추이 137
   2. 영역별 지표의 변화추이 149
   3. 세부 영역별 지표의 변화추이 161
제5장  서비스직 직업전망 지표의 주요 결과
 제1절  현재의 직업전망 지표 179
   1. 종합 직업전망 지표 179
   2. 영역별 직업전망 지표 183
   3. 주요 영역 간 교차 비교 190
 제2절  10년 후의 직업전망 지표 197
   1. 종합 직업전망 지표 197
   2. 영역별 직업전망 지표 201
   3. 주요 영역 간 교차 비교 208
 제3절  시사점 215
제6장  이슈분석 및 조사결과 타당성 검토
 제1절  여성 유망직종 223
   1. 현재 시점의 양성평등 224
   2. 10년 후 시점의 양성평등  227
   3. 양성평등 영역과 종합 지표의 교차 비교 228
   4. 여성 유망직업 발굴 232
 제2절  고령자 유망직종 239
   1. 현재 시점의 고령자 친화성 239
   2. 10년 후 시점의 고령자 친화성 241
   3. 고령자 친화성 영역과 종합 지표의 교차 비교 242
   4. 고령자 유망직업 발굴 246
 제3절  조사결과 타당성 검토 251
제7장  요약 및 정책과제
 제1절  요약 255
   1. 현재의 직업전망 지표 256
   2. 10년 후의 직업전망 지표 257
   3. 현재와 10년 후 간의 직업전망 변화 260
   4. 서비스직의 직업전망 지표 264
   5. 여성 및 고령자 유망직종 266
 제2절  정책과제 270
   1. 기술ㆍ기능계 직업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진로교육의 강화 270
   2. 금융ㆍ관리ㆍ사회서비스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인력양성 강화 271
   3. 유연한 직업관 형성을 위한 진로교육 강화 273
   4. 유휴인력 활용을 위한 일자리 확충 274
   5. 고령화 전망에 따른 교육전문직의 수급대안 마련 276
 제3절  향후과제 278
   1. 직업전망 지표 및 가중치 보완 연구 278
   2. 비임금근로자의 조사항목 개발 279
   3. 직업전망 지표와 실제 통계자료 분석 279
   4. 구축된 직업전문가 관리 및 활용방안 마련 280
   5. 주기적 조사 시스템 구축 281
   6. 직업전망 정보 제공 온라인 시스템 구축 281
   7. 직업전망 정보 홍보 및 보급방안 282
   8. 직업전망과 교육전망 연계 연구 실시 282
SUMMARY 283
<부록 1> 웹 기반 설문조사 시스템 289
<부록 2> 설문조사지(통합형 및 임금근로자용) 295
<부록 3> 직업전망 지표 항목별 상ㆍ하위 50개 직업 297
<부록 4> 직업전망 지표 세부 항목별 상ㆍ하위 50개 직업 311
<부록 5> 지표영역별 현재와 미래 직업전망 목록 357
<부록 6> 종합 직업전망 지표 직업 세분류 분석결과 365
참고문헌 369
  직업의 현황과 미래 전망에 관한 심층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직업전망정보는 국민들이 급변하는 직업세계의 변화 동향을 이해하고 미래 진로를 주도적으로 설계하는 데 기초가 되는 중요한 정보이다.
  이 연구는 2007년 제조업종에 속하는 152개 직업에 이어, 2008년 나머지 업종에 속하는 165개 직업을 대상으로 직업전망을 조사하고, 전체 업종 총 317개 직업에 대하여 보상, 고용현황, 발전가능성 등의 다양한 가치를 반영한 종합적인 직업전망 지표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산출된 현재과 10년 후의 직업전망을 비교한 직업세계 변동에 관한 정보는 진로를 선택하고 준비하는 학생, 구직 또는 전직을 준비하는 청년·대학생 및 재직자, 그리고 인적자원정책 담당자 등에게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주요내용
  - 현재의 직업전망 지표
  - 10년 후의 직업전망 지표
  - 서비스직 직업전망 지표
  - 여성 유망직종
  - 고령자 유망직종
  This study succeeds the 2007 project on "Development of KRIVET Occupation Prospect Index". The main objective of the 2007 study was to complete development the Occupation Prospect Index about 152 jobs from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In addition to last year's survey, we have carried out a survey about 165 jobs from management occupations, buisiness and financial operations occupations, social service occupations, sales, personal care and service occupations, farming, fishing, and forestry occupations in this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fford a credible Occupation Prospect Index of 317 jobs in the whole occupations synthetically and make it public so a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individuals about the world of occupations and thereby support rational career planning. Also, it aim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school and work, and support the government's HRD policy.
  KRIVET Occupation Prospect Index consists of seven evaluation areas and 23 detailed items as follows: ① compensation - earnings and benefits ②employment conditions - job creation, job growth, and job competition ③employment stability - full-time employment and job retention ④career growth prospects - self-development, promotion, and possibility of job change ⑤working conditions - working hours, physical environment, stress ⑥professionalism - expert knowledge, autonomy, authority, social reputation, community service, and spirit of calling ⑦employment equality - gender equality, elder-friendliness. 
  First of all, we have constructed a database of 17,517 occupation experts using various ways and developed an on-line survey system. Survey period was from 9 May to 20 June, 2008 and, finally, we received 4,950 responses from 1,082 occupation experts for 165 occupations surveyed this year. They responded to these items for maximum of 10 jobs among 165 jobs which were from management occupations, buisiness and financial operations occupations, social service occupations, sales, personal care and service occupations, farming, fishing, and forestry occupations. They have evaluated 23 detailed items for each job of their choice for present and 10 years later from now. 
...
<표 Ⅰ-1> 설문조사지의 세부 항목과 설명․5
<표 Ⅰ-2> 연도별 직업전망 지표 조사대상 직업․7
<표 Ⅱ-1> 직업전망 지표의 범주와 세부 항목 설명․18
<표 Ⅱ-2> 비임금근로자 다수 직업을 고려한 직업전망 지표의 범주와 세부 항목 설명․20
<표 Ⅱ-3> KRIVET 직업전망 지표의 세부 항목에 대한 복합 가중치․22
<표 Ⅱ-4> 조사대상 직업․24
<표 Ⅱ-5> 직업전문가 자료수집 방법․28
<표 Ⅱ-6> 직업전문가 DB에 포함된 변수․32
<표 Ⅱ-7> 직업 중분류별ㆍDB 출처별 직업전문가 구축현황․33
<표 Ⅱ-8> 직업 중분류별 조사 가능성 검토․34
<표 Ⅱ-9> 설문조사지의 세부 항목과 설명․37
<표 Ⅲ-1> 산업구조의 변동추이(명목, 총부가가치 기준)․42
<표 Ⅲ-2> 경제활동별 성장률(전기 대비)․43
<표 Ⅲ-3> 주요 업종별 생산․내수․수출실적․48
<표 Ⅲ-4>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및 실업자 동향․52
<표 Ⅲ-5> 산업별 취업자 구성비․54
<표 Ⅲ-6> 직업별 취업자 구성비․55
<표 Ⅲ-7> 고용형태별 취업자 구성비․56
<표 Ⅲ-8> 직종별 월평균 소득: 성별․58
<표 Ⅲ-9> 직종별 월평균 소득: 근속년수․59
<표 Ⅲ-10> 최고 월평균 소득의 근속년수․60
<표 Ⅲ-11> 직종별 상위 20% 근로소득․61
<표 Ⅲ-12> 고용형태별 취업분포(대분류 기준)․63
<표 Ⅲ-13> 고용형태별 취업분포 비중(대분류 기준)․65
<표 Ⅲ-14> 직업별 취업자 수(중분류 기준)․66
<표 Ⅲ-15> 직종별 고용형태: 임금/비임금․68
<표 Ⅲ-16> 직종별 고용형태: 남성․70
<표 Ⅲ-17> 직종별 고용형태: 여성․71
<표 Ⅲ-18> 직종별 교육훈련 이수비율․73
<표 Ⅲ-19> 직종별 주당 평균 근무시간․74
<표 Ⅲ-20> 직종별 면허 및 자격 보유비율․76
<표 Ⅳ-1> 응답자 현황․78
<표 Ⅳ-2> 직업 중분류별 응답자 현황․79
<표 Ⅳ-3> 본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81
<표 Ⅳ-4> 현재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대분류)․82
<표 Ⅳ-5> 현재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중분류)․85
<표 Ⅳ-6> 현재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 상․하위 20개 직업․86
<표 Ⅳ-7>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89
<표 Ⅳ-8>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91
<표 Ⅳ-9>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92
<표 Ⅳ-10> 발전 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94
<표 Ⅳ-11>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96
<표 Ⅳ-12>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98
<표 Ⅳ-13>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100
<표 Ⅳ-14> 현재의 보상 - 고용현황 교차 비교 직업목록․103
<표 Ⅳ-15> 현재의 보상 - 고용안정 교차 비교 직업목록․105
<표 Ⅳ-16> 현재의 보상 - 근무여건 교차 비교 직업목록․107
<표 Ⅳ-17> 현재의 고용현황 - 고용안정 교차 비교 직업목록․109
<표 Ⅳ-18> 10년 후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대분류)․110
<표 Ⅳ-19> 10년 후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중분류)․113
<표 Ⅳ-20> 10년 후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 상․하위 20개 직업․115
<표 Ⅳ-21>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117
<표 Ⅳ-22>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118
<표 Ⅳ-23>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120
<표 Ⅳ-24> 발전 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122
<표 Ⅳ-25>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124
<표 Ⅳ-26>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126
<표 Ⅳ-27>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127
<표 Ⅳ-28> 10년 후의 보상 - 고용현황 교차 비교 직업목록․130
<표 Ⅳ-29> 10년 후의 보상 - 고용안정 교차 비교 직업목록․132
<표 Ⅳ-30> 10년 후의 보상 - 근무여건 교차 비교 직업목록․134
<표 Ⅳ-31> 10년 후의 고용현황 - 고용안정 교차 비교 직업목록․136
<표 Ⅳ-32> 현재와 10년 후 직업전망 지표의 스피어만 상관계수․138
<표 Ⅳ-33> 종합 직업전망 지표 변화추이(10년 후-현재)․139
<표 Ⅳ-34> 종합 직업전망 지표 변화추이(10년 후-현재)․140
<표 Ⅳ-35> 현재와 미래 직업전망에 따른 직업분류표․142
<표 Ⅳ-36> 현재, 미래 모두 직업전망이 밝은 직업목록(Ⅰ분면)․143
<표 Ⅳ-37> 현재, 미래 모두 직업전망이 어두운 직업목록(Ⅲ분면)․145
<표 Ⅳ-38> 현재 직업전망은 보통이나 미래는 밝은 직업목록(Ⅵ분면)․146
<표 Ⅳ-39> 현재 직업전망은 어두우나 미래는 보통인 직업목록(Ⅶ분면)․147
<표 Ⅳ-40> 현재 직업전망은 밝으나 미래는 보통인 직업목록(Ⅴ분면)․148
<표 Ⅳ-41> 현재 직업전망은 보통이나 미래는 어두운 직업목록(Ⅷ분면)․148
<표 Ⅳ-42> 영역별 직업전망 지표 변화추이(10년 후-현재): 대분류 기준․150
<표 Ⅳ-43> 영역별 직업전망 지표 변화추이(10년 후-현재): 중분류 기준․152
<표 Ⅳ-44> 지표 영역별 현재와 미래 직업전망이 밝은 직업목록(Ⅰ분면)․158
<표 Ⅳ-45> 지표 영역별 현재와 미래 직업전망이 어두운 직업목록(Ⅲ분면)․160
<표 Ⅳ-46> 현재와 10년 후의 일자리 창출 영역 비교 직업목록․163
<표 Ⅳ-47> 현재와 10년 후의 일자리 성장 영역 비교 직업목록․166
<표 Ⅳ-48> 현재와 10년 후의 취업경쟁 영역 비교 직업목록․169
<표 Ⅳ-49> 현재와 10년 후의 자기개발 가능성 영역 비교 직업목록․172
<표 Ⅳ-50> 현재와 10년 후의 승진 가능성 영역 비교 직업목록․175
<표 Ⅳ-51> 현재와 10년 후의 직장이동 가능성 영역 비교 직업목록․178
<표 Ⅴ-1> 현재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중분류)․180
<표 Ⅴ-2> 현재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 상․하위 20개 직업․181
<표 Ⅴ-3>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183
<표 Ⅴ-4>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184
<표 Ⅴ-5>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185
<표 Ⅴ-6> 발전 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186
<표 Ⅴ-7>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187
<표 Ⅴ-8>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188
<표 Ⅴ-9>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현재․189
<표 Ⅴ-10> 현재의 보상 - 고용현황 교차 비교 직업목록․192
<표 Ⅴ-11> 현재의 보상 - 고용안정 교차 비교 직업목록․193
<표 Ⅴ-12> 현재의 보상 - 근무여건 교차 비교 직업목록․195
<표 Ⅴ-13> 현재의 고용현황 - 고용안정 교차 비교 직업목록․196
<표 Ⅴ-14> 10년 후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중분류)․198
<표 Ⅴ-15> 10년 후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 상․하위 20개 직업․200
<표 Ⅴ-16>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201
<표 Ⅴ-17>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202
<표 Ⅴ-18>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203
<표 Ⅴ-19> 발전 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204
<표 Ⅴ-20>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205
<표 Ⅴ-21>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206
<표 Ⅴ-22>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10년 후․207
<표 Ⅴ-23> 10년 후의 보상 - 고용현황 교차 비교 직업목록․209
<표 Ⅴ-24> 10년 후의 보상 - 고용안정 교차 비교 직업목록․211
<표 Ⅴ-25> 10년 후의 보상 - 근무여건 교차 비교 직업목록․213
<표 Ⅴ-26> 10년 후의 고용현황 - 고용안정 교차 비교 직업목록․215
<표 Ⅵ-1> 양성평등 항목의 상․하위 20개 직업 - 현재․226
<표 Ⅵ-2> 양성평등 항목의 상․하위 20개 직업 - 10년 후․227
<표 Ⅵ-3> 양성평등과 종합 지표 교차 비교 결과표(현재)․230
<표 Ⅵ-4> 양성평등과 종합 지표 교차 비교 결과표(10년 후)․232
<표 Ⅵ-5> 유망직종의 변화 정리표․233
<표 Ⅵ-6> ‘양성평등-일자리 창출’을 바탕으로 한 현재 및 미래의 여성 유망직업 목록(Ⅰ분면 포함 여부 기준)․236
<표 Ⅵ-7> ‘양성평등-임금수준’을 바탕으로 한 현재 및 미래의 여성 유망직업 목록(Ⅰ분면 포함 여부 기준)․238
<표 Ⅵ-8> 고령자 친화성 항목의 상․하위 20개 직업 - 현재․240
<표 Ⅵ-9> 고령자 친화성 항목의 상․하위 20개 직업 - 10년 후․242
<표 Ⅵ-10> 고령자 친화성과 종합 지표 교차 비교 결과표(현재)․244
<표 Ⅵ-11> 고령자 친화성과 종합 지표 교차 비교 결과표(10년 후)․246
<표 Ⅵ-12> ‘고령자 친화성-일자리 창출’을 기준으로 한 현재 및 미래의 고령자 유망직업 목록(Ⅰ분면 포함 여부 기준)․247
<표 Ⅵ-13> ‘고령자 친화성-임금수준’을 기준으로 한 현재 및 미래의 고령자 유망직업 목록(Ⅰ분면 포함 여부 기준)․248
<표 Ⅵ-14> 직업전망 지표의 타당성 검토결과․252
<표 Ⅶ-1> 현재 직업전망이 밝은 직업목록(상위 20개)․256
<표 Ⅶ-2> 10년 후 직업전망이 밝은 직업목록(상위 20개)․258
<표 Ⅶ-3> 현재, 미래 모두 전망이 밝은 직업목록․261
<표 Ⅶ-4> 미래 직업전망이 개선될 직업목록․262
<표 Ⅶ-5> 서비스직 유망직업 목록(상위 20개)․266
<표 Ⅶ-6> 여성 유망직업 목록(양성평등-일자리 창출 기준)․267
<표 Ⅶ-7> 여성 유망직업 목록(양성평등-임금수준 기준)․268
<표 Ⅶ-8> 고령자 유망직업 목록(고령자 친화성-일자리 창출 기준)․269
<표 Ⅶ-9> 고령자 유망직업 목록(고령자 친화성-임금수준 기준)․270
[그림 Ⅰ-1] 직업전망 지표의 생성 과정․8
[그림 Ⅲ-1] 산업구조의 변화․42
[그림 Ⅲ-2]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비중․44
[그림 Ⅲ-3] OECD 국가의 서비스 산업 비중 순위․46
[그림 Ⅲ-4] 경공업 및 중화학 공업 제품의 수출 증가율 추이․49
[그림 Ⅲ-5] IT 품목의 수출 증가율 및 비중 추이․50
[그림 Ⅳ-1] 현재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중분류)․84
[그림 Ⅳ-2] 현재 보상 - 고용현황 항목의 교차 비교․102
[그림 Ⅳ-3] 현재 보상 - 고용안정 항목의 교차 비교․104
[그림 Ⅳ-4] 현재 보상 - 근무여건 항목의 교차 비교․107
[그림 Ⅳ-5] 현재 고용현황 - 고용안정 항목의 교차 비교․109
[그림 Ⅳ-6] 10년 후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중분류)․112
[그림 Ⅳ-7] 10년 후 보상 - 고용현황 항목의 교차 비교․129
[그림 Ⅳ-8] 10년 후의 보상 - 고용안정 항목의 교차 비교․131
[그림 Ⅳ-9] 10년 후 보상 - 근무여건 항목의 교차 비교․133
[그림 Ⅳ-10] 10년 후 고용현황 - 고용안정 항목의 교차 비교․135
[그림 Ⅳ-11] 현재와 10년 후의 종합 지표 직업별 변동․142
[그림 Ⅳ-12] 현재와 10년 후의 보상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55
[그림 Ⅳ-13] 현재와 10년 후의 고용현황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55
[그림 Ⅳ-14] 현재와 10년 후의 고용안정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56
[그림 Ⅳ-15] 현재와 10년 후의 발전 가능성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56
[그림 Ⅳ-16] 현재와 10년 후의 근무여건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57
[그림 Ⅳ-17] 현재와 10년 후의 직업전문성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57
[그림 Ⅳ-18] 현재와 10년 후의 고용평등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58
[그림 Ⅳ-19] 현재와 10년 후의 일자리 창출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62
[그림 Ⅳ-20] 현재와 10년 후의 일자리 성장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65
[그림 Ⅳ-21] 현재와 10년 후의 취업경쟁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68
[그림 Ⅳ-22] 현재와 10년 후의 자기개발 가능성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71
[그림 Ⅳ-23] 현재와 10년 후의 승진 가능성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74
[그림 Ⅳ-24] 현재와 10년 후의 직장이동 가능성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77
[그림 Ⅴ-1] 현재의 보상 - 고용현황 항목의 교차 비교․191
[그림 Ⅴ-2] 현재의 보상 - 고용안정 항목의 교차 비교․193
[그림 Ⅴ-3] 현재의 보상 - 근무여건 항목의 교차 비교․194
[그림 Ⅴ-4] 현재의 고용현황 - 고용안정 항목의 교차 비교․196
[그림 Ⅴ-5] 10년 후의 보상 - 고용현황 항목의 교차 비교․208
[그림 Ⅴ-6] 10년 후의 보상 - 고용안정 항목의 교차 비교․210
[그림 Ⅴ-7] 10년 후의 보상 - 근무여건 항목의 교차 비교․212
[그림 Ⅴ-8] 10년 후의 고용현황 - 고용안정 항목의 교차 비교․214
[그림 Ⅵ-1] 양성평등과 종합 지표 교차 비교(현재)․229
[그림 Ⅵ-2] 양성평등과 종합 지표 교차 비교(10년 후)․231
[그림 Ⅵ-3] 양성평등과 일자리 창출(현재 시점)․234
[그림 Ⅵ-4] 양성평등과 일자리 창출(10년 후 시점)․234
[그림 Ⅵ-5] 양성평등과 임금수준(현재 시점)․235
[그림 Ⅵ-6] 양성평등과 임금수준(10년 후 시점)․235
[그림 Ⅵ-7] 고령자 친화성과 종합 지표 교차 비교(현재)․243
[그림 Ⅵ-8] 고령자 친화성과 종합 지표 교차 비교(10년 후)․245
[그림 Ⅵ-9] 고령자 친화성과 일자리 창출(현재 시점)․249
[그림 Ⅵ-10] 고령자 친화성과 일자리 창출(10년 후 시점)․249
[그림 Ⅵ-11] 고령자 친화성과 임금수준(현재 시점)․250
[그림 Ⅵ-12] 고령자 친화성과 임금수준(10년 후 시점)․25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KRIVET 직업전망 지표개발(2008) 2008.01.01~2008.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