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평생직업교육부문 국정과제와 추진 전략
The New Government
- 저자
- 장명희 정태화 정지선 이병욱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8-2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8.06.30
- 등록일
- 2008.06.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평생학습평생학습계좌제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관련 정책 자료 분석 2 1. 핵심과제 5-평생학습계좌제 도입 2 2. 일반과제 7-고등교육기관의 평생교육 기능 강화 4 제3절 연구 내용 6 1. 사내대학 활성화 방안 6 2. 고등교육기관의 평생교육 기능 강화 7 3. 평생학습계좌제 도입과 자격과의 연계 방향 7 제4절 연구의 방법 7 1. 문헌 및 자료 수집 분석 7 2. 면담 및 사례 분석 7 3. 전문가 그룹을 활용한 협의회 8 제5절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8 제2장 사내대학 활성화 방안 제1절 추진 배경 11 제2절 현황 13 제3절 사내대학 활성화 저해요인 19 제4절 사내대학 활성화 방안 21 제5절 기대효과 23 제3장 고등교육기관의 평생학습 기능 강화 방안 제1절 추진 개요 25 제2절 고등교육기관의 평생학습 현황과 주요 문제점 27 1. 환경적 요인 27 2. 고등교육기관의 평생학습체제 현황 30 3. 기업체의 평생학습 지원체제 34 제3절 고등교육기관 평생학습 기능정립의 효과성 및 필요성 논의 36 제4절 주요 추진과제 및 강화 방안 41 1. 지식기반사회의 산업발전 방향과 일치하는 학습 41 2.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적합성 강화 42 3. 대학프로그램의 다양화 43 4. 성인학습자 접근 방안 46 5. 프로그램 운영 방식의 적정화 47 6. 대학평생교육원 운영의 체계화 49 7. Blended Learning 확대 51 8. 대학의 평생학습 강화를 위한 인센티브 체제 구축 52 9. 고등교육기관의 평생학습 기능 분담 53 10. 정부부처의 평생학습 지원사업의 효율적 운영 54 제4장 평생학습계좌제 도입과 자격과의 연계 방향 제1절 평생학습계좌제의 추진 배경 57 제2절 평생학습계좌제 개념과 운영 현황 59 1. 평생학습계좌제의 근거와 개념 59 2. 학습계좌제의 운영 현황 66 제3절 평생학습계좌제와 자격과의 연계 방향 82 1. 자격제도의 개선 방향 82 2. 평생학습계좌제와 자격과의 연계 방향 87 참고문헌 92
평생학습계좌제 도임에 따른 자격과의 연계 방향 수립에서는 추진 배경과 관련 정책의 추진 현황을 분석하고, 평생학습계좌제와 자격과의 연계를 위한 전제, 연계 방식, 기대 효과 등을 제시하였다. ○ 주요내용 - 새 정부의 평생직업교육 관련 정책 개요 - 사내대학 현황과 활성화 방안 - 고등교육기관의 평생학습 현황과 기능 강화 방안 - 평생학습계좌제 도입과 자격과의 연계 방안
<표 Ⅱ-1> 사내대학 및 기술대학 운영 개요․15 <표 Ⅱ-2> 유사 대학간 비교․16 <표 Ⅲ-1> OECD 회원국 GDP 대비 공교육비 비중(2004년)․29 <표 Ⅲ-2> 교육훈련 받은 기관과 향후 희망 기관 비율(2005)․30 [그림 Ⅲ-1] 주요 국가의 교육예산 대비 평생교육예산 비중․29 [그림 Ⅲ-2] 평생학습에서 직무훈련학습의 비중 국제 비교․31 [그림 Ⅲ-3] 직업기초능력의 괴리 정도 국제비교․33 [그림 Ⅲ-4] 연령별 주당 학습시간과 노동시간․38 [그림 Ⅳ-1]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자격제도 변화․84 [그림 Ⅳ-2] 지식정보시대의 자격제도 목표와 전략․8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새 정부의 평생직업교육부문 국정과제와 추진 전략 | 2008.03.01~2008.06.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