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근로소득 불평등 심화의 분석 및 완화 방안 : 인적자본기업패널 분석

An Analysis of Growing Wage Inequality and the Relief Measures : Analysis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
저자
최강식 김안국
분류정보
기본연구(2008-4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8.12.31
등록일
2008.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근로소득 불평등
제1장  서론
제2장  근로소득 불평등에 관한 기존 문헌 연구
 1. 외국 문헌의 검토 5
 2. 국내 문헌의 검토 13
제3장  이론적 모형
 1. 노동시장의 수요ㆍ공급 모형 19
 2. 노동수요 변화의 효과 22
 3. 기술진보의 효과 32
제4장  실증분석
 1. 사용자료 35
 2. 임금함수 기본 모형 39
 3. 숙련편향 기술진보 모형 51
 4. 성별 모형 68
 5. 산업 및 직종별 모형 86
제5장  요약 및 정책대안
SUMMARY 101
<부록> 109
참고문헌 189
  21세기 세계화 시대를 맞아 지식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동시장에서의 불평등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근로소득의 불평등 증가는 물론 고용의 양과 질에서의 불평등도 커지고 있다. 이는 여러 가지 제도적 요인 때문이기도 하지만 주로 노동공급과 노동수요의 영향 때문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동시장 불평등 현상의 원인을 노동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찾아보았고, 특히 노동수요 측면의 요인으로 기술진보의 효과를 주로 분석하였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구축하고 있는 인적자본기업패널(HCCP)를 활용하였으며, 이는 본고의 분석에서 가장 적합한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의 기술진보와 근로자들의 노동시장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기술진보의 요인이 노동시장 불평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기술진보의 효과는 모든 근로자들에게 일률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근로자마다 축적된 인적자본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진보의 성격 및 그 충격의 종류에 따라서 근로자의 상대적 생산성(임금)은 달라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향후 인적자본정책 역시 세분화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기술은 더욱 진보할 것이고 기업의 외부환경 변화는 갈수록 불확실해질 것이다. 따라서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 역시 단순히 고학력화를 목표로 할 것이 아니라 주어진 여건에 따라 필요한 교육과 훈련이 실시되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향후 기술진보와 외부환경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 훈련의 내용에 관련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 주요내용
  - 근로소득 불평등에 관한 기존 문헌 연구
  - 노동시장의 수요·공급 모형
  - 노동수요 변화 및 기술진보의 효과
  - 실증분석
  - 요약 및 정책대안
  With the advent of the knowledge-based economy, earnings inequality became worse in Korea like other advanced econom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re ar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earnings inequality: shifts in labor supply, shifts in labor demand and institutional changes in the labor market. The main cause of the widening inequality among others is changes in labor demand, especially changes in technology.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technological changes on earnings inequality in Korea. Using HCCP data set, this study tests the skill biased technological change among various workers. 
...
<표 Ⅲ-1> 최초의 산업구조 및 고용 비중․24
<표 Ⅲ-2> 세계화 진전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와 숙련수요의 (산업 간) 변화․25
<표 Ⅲ-3> 숙련편향적 기술진보 이후의 숙련수요의 (산업 내) 변화․26
<표 Ⅳ-1> 주요변수 기초통계: 1차년도 (2005년) 자료․40
<표 Ⅳ-2> 주요변수 기초통계: 2차년도 (2007년) 자료․42
<표 Ⅳ-3> 1차년도 임금함수 기본 모형 추정 (Ⅰ)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46
<표 Ⅳ-4> 1차년도 임금함수 기본 모형 추정 (Ⅱ)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47
<표 Ⅳ-5> 2차년도 임금함수 기본 모형 추정 (Ⅰ)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49
<표 Ⅳ-6> 2차년도 임금함수 기본 모형 추정 (Ⅱ)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50
<표 Ⅳ-7> 1차년도 SBTC 모형 추정(기술진보 변화)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53
<표 Ⅳ-8> 1차년도 SBTC 모형 추정: 경영 및 기술환경 변화 (Ⅰ)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56
<표 Ⅳ-9> 1차년도 SBTC 모형 추정: 경영 및 기술환경 변화 (Ⅱ)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57
<표 Ⅳ-10> 1차년도 SBTC 모형 추정: 정보시스템 활용 및 효과 (Ⅰ)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58
<표 Ⅳ-11> 1차년도 SBTC 모형: 정보시스템 활용 및 효과(Ⅱ)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59
<표 Ⅳ-12> 1차년도 SBTC 모형 추정: 특허 효과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61
<표 Ⅳ-13> 2차년도 SBTC 모형 추정(기술진보 변화)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63
<표 Ⅳ-14> 2차년도 SBTC 모형추정: 경영 및 기술환경 변화 (Ⅰ)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65
<표 Ⅳ-15> 2차년도 SBTC 모형추정: 경영 및 기술환경 변화 (Ⅱ)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66
<표 Ⅳ-16> 2차년도 SBTC 모형 추정: 특허 효과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67
<표 Ⅳ-17> 1차년도 남성 임금함수 기본 모형 추정 (Ⅰ)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69
<표 Ⅳ-18> 1차년도 남성 임금함수 기본 모형 추정 (Ⅱ)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70
<표 Ⅳ-19> 1차년도 남성 SBTC 모형추정(기술진보 변화)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72
<표 Ⅳ-20> 2차년도 남성 임금함수 기본 모형 추정 (Ⅰ)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74
<표 Ⅳ-21> 2차년도 남성 임금함수 기본 모형 추정 (Ⅱ)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75
<표 Ⅳ-22> 2차년도 남성 SBTC 모형 추정(기술진보 변화)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76
<표 Ⅳ-23> 1차년도 여성 임금함수 기본 모형 추정 (Ⅰ)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79
<표 Ⅳ-24> 1차년도 여성 임금함수 기본 모형 추정 (Ⅱ)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80
<표 Ⅳ-25> 1차년도 여성 SBTC 모형추정(기술진보 변화)-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81
<표 Ⅳ-26> 2차년도 여성 임금함수 기본 모형 추정 (Ⅰ)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83
<표 Ⅳ-27> 2차년도 여성 임금함수 기본 모형 추정 (Ⅱ)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84
<표 Ⅳ-28> 2차년도 여성 SBTC 모형 추정(기술진보 변화) -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85
<표 Ⅳ-29> SBTC 모형 추정: 제조업 (1차년도,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88
<표 Ⅳ-30> SBTC 모형 추정: 금융업 (1차년도,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89
<표 Ⅳ-31> SBTC 모형 추정: 비금융 서비스업 (1차년도,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90
<표 Ⅳ-32> SBTC 모형 추정: 핵심전문직 (1차년도,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93
<표 Ⅳ-33> SBTC 모형 추정: 연구직 (1차년도,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94
<표 Ⅳ-34> SBTC 모형 추정: 관리직 (1차년도,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95
<표 Ⅳ-35> SBTC 모형 추정: 팀장 (1차년도, 종속변수=시간당 임금대수치)․96
<표 Ⅴ-1> SBTC 모형 추정 종합표․100
[그림 Ⅲ-1] Stolper-Samuelson 효과 및 부문편향적 힉스 중립적 기술진보․28
[그림 Ⅲ-2] 숙련편향적 기술진보의 효과․3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위탁수시)근로소득 불평등 심화의 분석 및 완화 방안: 인적자본기업패널 분석 2008.06.04~200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