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과 학벌에 대한 일반 국민과 기업 인사담당자의 인식경향
Trend in Perception of the General Public and Corporate HR Officers about Competencies and Academic Clique
- 저자
- 윤양배 김미숙 옥준필 정연앙 양정호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8-4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8.09.30
- 등록일
- 2008.09.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기업 인사담당자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제2절 연구의 방법 2 1.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2 2. 전문가회의 2 3. 설문조사 3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능력과 학벌의 개념 정의 11 제2절 능력과 학벌의 관계 13 제3절 능력과 학벌에 대한 인식 실태 16 제4절 능력과 학벌 관련 기존 정책 25 제3장 능력과 학벌에 대한 일반 국민 인식 제1절 일반 국민의 능력과 학벌 인식 경향 31 1. 현재의 능력과 학벌에 대한 인식 경향 31 2. 미래의 능력과 학벌에 대한 인식 경향 32 3. 능력과 학벌에 대한 차이 비교: DPI 지수 37 4. 능력, 학벌, 학력 관계 40 제2절 능력과 학벌의 특성 및 관계 분석 40 1. 일반 국민의 능력과 학벌의 구성요소 인식 40 2. 일반 국민의 명문학교 인식 42 3. 동창회, 동문, 동기모임 참여비율 43 4. 능력과 학벌 경험 46 5. 능력과 학벌의 정책변화 48 제3절 소결 50 제4장 능력과 학벌에 대한 기업 인사담당자의 인식 제1절 기업 인사담당자의 능력과 학벌의 인식 경향 53 1. 현재의 능력과 학벌에 대한 인식 경향 53 2. 미래의 능력과 학벌에 대한 인식 경향 54 제2절 능력과 학벌의 특성 및 관계분석 55 1. 능력, 학벌, 학력의 관계 55 2. 기업 인사담당자의 능력과 학벌의 구성요소 인식 59 3. 기업 인사담당자의 명문고, 명문대 인식 61 4. 동문에 대한 친밀감과 인맥형성 65 5. 능력과 학벌의 경험 인식 66 제3절 기업 인사관리에서의 능력과 학벌 경험 72 1. 채용과 승진에서의 중요도 72 2. 사내 파벌 75 3. 능력, 학벌이 회사에 미치는 효과 76 제4절 능력사회 정책평가 및 요소별 중요도 77 제5절 소결 79 제5장 일반 국민과 기업 인사담당자의 능력과 학벌에 대한 인식 차이 제1절 능력과 학벌에 대한 중요성과 구성요소 81 1. 사회적 성공에 대한 능력과 학벌 영향력 비교 81 2. 능력, 학벌, 학력의 관계 비교 90 3. 능력과 학벌의 구성요소 비교 분석 98 제2절 학벌과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인식 105 1. 고등학교에 의한 능력과 학벌 인식 비교 105 2. 대학교에 의한 능력과 학벌 인식 비교 118 3. 동창회에 의한 능력과 학벌 조성 관계 125 제3절 우리 사회의 능력주의와 학벌주의 정도 126 1. 능력과 학벌의 경험 인식에 의한 능력지수, 학벌지수 비교 126 2. 학벌에 의한 이익과 손해에 대한 경험 인식 비교 133 3. 학벌지수, 능력지수와 주관경험, 객관경험의 관계 138 제4절 주요 정책에 대한 비교 139 제5절 소결 141 제6장 요약 및 결론 제1절 요약 145 제2절 능력중심사회를 향한 제언 148 SUMMARY 151 <부록 1> 설문지 155 <부록 2> 설문조사에 대한 기초 결과 보고서 173 참고문헌 215
능력과 학벌에 대한 일반 국민과 기업의 인식 경향 분석은 일반 국민이 인식하고 있는 능력과 학벌에 대한 중요성 및 사회적 경험이 실제 기업 현장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활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노동부의 직업능력개발 촉진을 위해 일반 국민과 기업에서 능력의 중요성 진작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주요내용 - 일반 국민의 능력과 학벌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경험 - 기업 인사담당자의 인식과 인사관리에서의 영향 - 일반 국민과 기업 인사담당자의 능력과 학벌에 대한 인식 차이 - 능력중심사회로 가기 위한 정책의 중요성과 효과
In the globalized society, the high-value and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s is decided to the priorities of nation's power. In this situation, common people's and the staff's recognition to the credentialism and meritocracy are very important to the social environment. This survey is starting point to find the degree presenting sound society. Our main issues are common people have different recognition of competency and diploma components from personnel staff in companies. The trends about the credentialism and meritocracy is an index of the society. We know the diploma diseases and suggested several times to solve the problems. Until now many scholars get tried to find the solution. But that is very difficult if the common people and personnel staff's mind are not changed. As result, in the future same thinking to meritocracy between common people and personnel staff is more important than now. And The personnel staff in companies recognized the diploma was stronger than the competency in the recruit, but the competency was more powerful than diploma in the promotion. And there are a factionalism in the companies, especially that is based on the school and university. By the generation, the thinking of credentialism is very different. The young and old generation think the diploma is more important than competencies. But in the middle age, they recognize the competencies is more important to success in the society. The other result is about the certification. Many common people said strongly the certificate is one of the components of competencies, even though the personnel staffs said certificate is a component but the rate is low. Generally, we thought the certificate will be a signal of ability instead of schooling. But in this survey, the certificate get mythologized by mass. So we need to change and develop the certification's meaning. Particularly, the personnel staffs use it for the recruit, promotion, and reward in the firms.
<표 Ⅱ-1> 사회경제 패러다임의 변화․14 <표 Ⅱ-2> 호주, 영국, 미국, 뉴질랜드 핵심역량 비교․17 <표 Ⅱ-3> 주요 성관 문과급제자 인원 분포․19 <표 Ⅱ-4> 개인의 능력이 동일하다면 사회에서의 성공과 출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22 <표 Ⅱ-5> 대졸신입사원 채용시 가장 중시하는 요소․24 <표 Ⅱ-6> 대졸신입사원 채용시 주요 고려 요인․25 <표 Ⅲ-1> 현재 사회적 성공과 출세에서 능력과 학벌의 중요성(지역별)․36 <표 Ⅲ-2> 미래 사회적 성공과 출세에서 능력과 학벌의 중요성(지역별)․37 <표 Ⅲ-3> 능력 대 학벌: DPI지수․39 <표 Ⅳ-1> 능력-학벌 관계 : 능력과 학벌은 일치한다․57 <표 Ⅳ-2> 능력-학력 관계 : 능력과 학력은 일치한다․58 <표 Ⅳ-3> 학력-학벌 관계 : 학력과 학벌은 일치한다․59 <표 Ⅳ-4> 출신고등학교별 비평준화지역 우수고 판단 정도․63 <표 Ⅳ-5> 출신대학별 명문대 판단정도․65 <표 Ⅳ-6> 직급별 성공과 학벌의 중요성 인식 정도․67 <표 Ⅳ-7> 직급별 출신학교 차별존재 인식 정도․68 <표 Ⅳ-8> 직급별 출신학교와 능력차이 인식 정도․69 <표 Ⅳ-9> 직급별 학벌차이 수긍여부 정도․70 <표 Ⅳ-10> 능력, 학벌과 요소별 관련성․76 <표 Ⅴ-1> 능력과 학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비교․82 <표 Ⅴ-2> 능력과 학벌의 중요성에 대한 연령별 분석․86 <표 Ⅴ-3> 능력과 학벌에 대한 교육수준별 인식 비교․88 <표 Ⅴ-4> 능력, 학벌, 학력의 관계 비교․92 <표 Ⅴ-5> 연령별 능력, 학벌, 학력의 관계 비교․93 <표 Ⅴ-6> 교육수준별 능력, 학벌, 학력 관계 비교․96 <표 Ⅴ-7> 능력과 학벌요소 비교․99 <표 Ⅴ-8> 능력요소 t-검증․103 <표 Ⅴ-9> 학벌요소 t-검증․104 <표 Ⅴ-10> 명문고 판단 정도․106 <표 Ⅴ-11> 성별에 따른 출신고교와 고교성적 인식 비교․111 <표 Ⅴ-12> 연령별 출신고교와 고교성적 인식 비교․113 <표 Ⅴ-13> 출신고교별 출신고교와 고교성적 중요성 인식 비교․115 <표 Ⅴ-14> 성별/연령별/지역별/출신고교별 고교성적과 사회적 성공 인식․118 <표 Ⅴ-15> 연령별/출신대학별 명문대 인식 비교․119 <표 Ⅴ-16> 명문대 졸업의 사회적 인정․123 <표 Ⅴ-17> 동창회 연락에 따른 참석가능 횟수 비교․126 <표 Ⅴ-18> 성별/연령별/4년제 대학별 학벌지수 vs 능력지수․128 <표 Ⅴ-19> 성별에 따른 이익경험 vs 손해경험․134 <표 Ⅴ-20> 연령에 따른 이익경험 vs 손해경험․135 <표 Ⅴ-21> 출신대학별 경험 인식․137 <표 Ⅴ-22> 학벌과 능력에 따른 이익과 손해․138 <표 Ⅴ-23> 학벌주의 타파를 위한 정책 필요성․140 <표 Ⅴ-24> 학벌주의 타파를 위한 정책의 중요도․141 [그림 Ⅱ-1] 시간과 사회에서의 중요도에 따른 학벌, 학력, 능력의 관계․15 [그림 Ⅱ-2] 엘리트 상위 10개 고교 비율․20 [그림 Ⅲ-1] 현재 사회적 성공과 출세에서 능력과 학벌의 중요성․32 [그림 Ⅲ-2] 미래 사회적 성공과 출세에서 능력과 학벌의 중요성․33 [그림 Ⅲ-3] 현재 사회적 성공과 출세에서 능력과 학벌의 중요성(연령별)․34 [그림 Ⅲ-4] 미래 사회적 성공과 출세에서 능력과 학벌의 중요성(연령별)․35 [그림 Ⅲ-5] 현재 능력 대 학벌: DPI지수․38 [그림 Ⅲ-6] 미래 능력 대 학벌: DPI지수․38 [그림 Ⅲ-7] 능력, 학벌, 학력의 관계․40 [그림 Ⅲ-8] 능력과 학벌의 구성 요소․41 [그림 Ⅲ-9] 명문고교에 대한 인식․42 [그림 Ⅲ-10] 명문대학에 대한 인식․43 [그림 Ⅲ-11] 고교 및 대학 동창 모임 참여 횟수․44 [그림 Ⅲ-12] 고교 동창 모임 연락 비율․44 [그림 Ⅲ-13] 고교 동창 모임 참여 비율․45 [그림 Ⅲ-14] 대학 동창 모임 연락 비율․45 [그림 Ⅲ-15] 대학 동창 모임 참여 비율․46 [그림 Ⅲ-16] 능력과 학벌에 대한 의견․47 [그림 Ⅲ-17] 능력과 학벌에 따른 이익 경험․48 [그림 Ⅲ-18] 능력과 학벌에 따른 손해 경험․48 [그림 Ⅲ-19] 정부 정책요소별 학벌주의 개선 평가․49 [그림 Ⅲ-20] 능력중심 사회를 향한 정부 정책요소별 중요성 평가․50 [그림 Ⅳ-1] 기업 인사담당자의 현재 능력 vs 학벌 인식 경향․54 [그림 Ⅳ-2] 기업 인사담당자의 미래 능력 vs 학벌 인식 경향․55 [그림 Ⅳ-3] 능력-학벌-학력과의 관계 인식․56 [그림 Ⅳ-4] 능력-학벌 관계 : 능력과 학벌은 일치한다․57 [그림 Ⅳ-5] 능력-학력 관계 : 능력과 학력은 일치한다․58 [그림 Ⅳ-6] 학력-학벌 관계 : 학력과 학벌은 일치한다․59 [그림 Ⅳ-7] 구성요소별 능력, 학벌과의 관계․61 [그림 Ⅳ-8] 명문고 판단정도․62 [그림 Ⅳ-9] 명문대 판단정도․64 [그림 Ⅳ-10] 직급별 성공과 학벌의 중요성 인식 정도․67 [그림 Ⅳ-11] 직급별 출신학교 차별존재 인식 정도․68 [그림 Ⅳ-12] 직급별 출신학교와 능력차이 인식 정도․70 [그림 Ⅳ-13] 직급별 학벌차이 수긍여부 정도․71 [그림 Ⅳ-14] 구성요소별 채용/승진 시 중요도․74 [그림 Ⅳ-15] 능력사회 향한 정책평가 및 향후 중요도․78 [그림 Ⅴ-1] 현재와 미래의 능력 중요도․83 [그림 Ⅴ-2] 현재와 미래의 학벌 중요도․84 [그림 Ⅴ-3] 연령별 능력중요 수준․86 [그림 Ⅴ-4] 연령별 학벌 중요 수준․87 [그림 Ⅴ-5] 학력별 능력 중요수준․89 [그림 Ⅴ-6] 학력별 학벌 중요수준․90 [그림 Ⅴ-7] 연령별 능력과 학벌 일치도․94 [그림 Ⅴ-8] 연령별 능력과 학력 일치도․94 [그림 Ⅴ-9] 연령별 학력과 학벌 일치도․95 [그림 Ⅴ-10] 교육수준별 능력과 학벌 일치도․96 [그림 Ⅴ-11] 교육수준별 능력과 학력 일치도․97 [그림 Ⅴ-12] 교육수준별 학력과 학벌 일치도․97 [그림 Ⅴ-13] 능력 요소에 대한 일반 국민과 기업 인사담당자 인식 비교․100 [그림 Ⅴ-14] 학벌 요소에 대한 일반 국민과 기업 인사담당자 인식 비교․101 [그림 Ⅴ-15] 연령별 명문고 인식 수준 - 평준화 지역 유명고․107 [그림 Ⅴ-16] 연령별 명문고 인식 수준 - 비평준화 지역 우수고․108 [그림 Ⅴ-17] 연령별 명문고 인식 수준 - 서울강남지역학교․108 [그림 Ⅴ-18] 출신고교별 명문고 인식 수준 - 평준화 지역 유명고․109 [그림 Ⅴ-19] 출신고교별 명문고 인식 수준 - 비평준화 지역 우수고․110 [그림 Ⅴ-20] 출신고교별 명문고 인식 수준 - 서울 강남 지역 유명고․110 [그림 Ⅴ-21] 성별에 따른 출신고교 인식 비교․112 [그림 Ⅴ-22] 성별에 따른 고교성적 인식 비교․112 [그림 Ⅴ-23] 연령별 출신고교 인식 비교․114 [그림 Ⅴ-24] 연령별 고교성적 인식 비교․114 [그림 Ⅴ-25] 출신고교별 능력에 중요한 출신고교 인식 비교․116 [그림 Ⅴ-26] 출신고교별 능력에 중요한 고교성적 인식 비교․116 [그림 Ⅴ-27] 연령별 서울대 인식 비교․120 [그림 Ⅴ-28] 연령별 연세․고려대 인식 비교․120 [그림 Ⅴ-29] 출신대학별 서울대 인식 비교․121 [그림 Ⅴ-30] 출신대학별 연세․고려대 인식 비교․122 [그림 Ⅴ-31] 성별에 따른 명문대 졸업의 사회적 인정․124 [그림 Ⅴ-32] 연령별 명문대 졸업의 사회적 인정․124 [그림 Ⅴ-33] 성별에 따른 학벌지수․129 [그림 Ⅴ-34] 성별에 따른 능력지수․130 [그림 Ⅴ-35] 연령별 학벌지수․131 [그림 Ⅴ-36] 연령별 능력지수․131 [그림 Ⅴ-37] 출신대학별 학벌지수․132 [그림 Ⅴ-38] 출신대학별 능력지수․13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능력과 학벌에 대한 일반국민과 기업 인사담당자의 인식경향 | 2008.02.01~2008.09.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