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진로개발 활성화를 위한 학교 특성화 방안
A Plan for School Advancement to Promote Youth Career Development
- 저자
- 임정희 강경종 강지원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8-5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8.12.31
- 등록일
- 2008.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청소년진로개발특성화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4 1. 청소년 관련 진로환경 변화 분석 4 2. 청소년 진로개발 현황 분석 4 3. 특성화 학교 교육 현황 분석 4 4. 청소년 진로개발 활성화를 위한 학교 특성화 방안 5 제3절 연구의 방법 5 1. 문헌연구 5 2. 통계자료 분석 6 3. 전문가 협의회 6 4. 세미나 개최 6 제2장 청소년 관련 진로환경 변화 분석 제1절 인구구조의 변화 9 1. 출산율 저하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 9 2. 고령화 현황 12 제2절 산업 및 직업구조의 변화 15 1. 산업구조의 변화 15 2. 직업별 인력수요 전망 22 제3절 청소년 직업 활동 및 의식 변화 25 1. 청소년 직업 활동의 변화 25 2. 청소년의 직업의식 변화 28 제4절 청소년의 노동시장 이행의 변화 29 1. 대학진학률의 증대 29 2. 고용시장의 양극화 30 3. 노동시장의 비정규직화 31 4. 청년실업의 증가 31 제3장 청소년 진로개발 현황 분석 제1절 청소년 진로개발의 개념과 특징 37 1. 진로 및 진로개발의 개념 및 특징 37 2. 청소년기의 진로발달 특징 39 제2절 국내의 청소년 진로개발 현황 분석 48 1. 청소년 진로개발 지원 관련 법령 및 행정체계 48 2. 학교교육에서의 진로개발 현황 53 3. 기타 진로개발 지원 기관 및 프로그램 67 제3절 국외의 청소년 진로개발 현황 분석 71 1. 미국의 진로개발 71 2. 영국의 진로개발 74 3. 일본의 진로개발 78 4. 프랑스의 진로개발 80 제4절 뇌의 발달과 청소년 적기적성 교육 85 제4장 특성화 학교 교육 현황 분석 제1절 특성화 학교 현황 87 1. 특수목적학교 87 2. 특성화고 89 3. 자율학교 91 제2절 특성화 학교 운영 체제 91 제3절 정보의 특성화 관련 정책 94 1. 마이스터고 육성 정책 94 2. 정부부처, 지자체 및 산업체 지원 특성화고 육성 사업 96 제4절 특성화 학교 운영 성과 및 문제점 98 1. 특성화 학교 운영 성과 98 2. 특성화 학교 운영 문제점 102 제5절 국외 특성화 학교 사례 108 1. 미국의 Career Magnet School 사례 108 2. 영국의 Specialist School 사례 117 제5장 청소년 진로개발 활성화를 위한 학교 특성화 방안 제1절 학교 특성화의 기본 방향 및 체제 119 1. 학교 특성화 기본 방향 119 2. 학교 특성화 운영 체제 121 제2절 학교 특성화 장 단기 방안 123 1. 단기 방안 123 2. 장기 방안 124 제3절 학교 특성화 세부 추진 방안 126 1. 특성화 학교 운영의 자율성 확보 및 체제 개선 126 2. 특성화 분야 교육과정 개발 128 3. 특성화 교육에 적합한 교원 및 학생 확보 131 4. 특성화 교육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133 제6장 향후 학교 특성화 추진을 위한 제언 SUMMARY 139 참고문헌 145
청소년 시기는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대한 탐색 및 계발이 필요한 때로서,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의 변화와 더불어 적성과 소질을 반영한 진로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우리나라의 교육 시스템은 청소년의 소질과 적성에 따른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고등학교 단계는 일반계고과 전문계고로 획일적 구분이 되어 있어 청소년들의 진로 선택의 폭이 좁은 편이다. 최근 전문계고를 중심으로 특성화고가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입시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일반계고 학생들의 경우에는 학교 교육을 통해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개발 활성화를 위한 학교 특성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 심리, 진로 관련 전문가 등 다양한 전문가 집단이 참여한 세미나 및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고등학교 특성화 방안을 마련하였으며, 향후 특성화 추진을 위한 제언도 첨부하였다. ○ 주요내용 - 청소년 관련 진로환경 변화 분석 - 청소년 진로개발 현황 분석 - 특성화 학교 교육 현황 분석 - 청소년 진로개발 활성화를 위한 학교 특성화 방안 - 향후 학교 특성화 추진을 위한 제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lan of introducing specialized secondary schools for activating career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Korea. Basic direction, operational system, short-term and long-term plan, and strategy for the specialization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tatistical data analysis, expert panel interview, and seminar workshop. ...
<표 Ⅱ-1> 청소년 인구 및 구성비 변화 예상․12 <표 Ⅱ-2> 국가별 고령화 사회 속도 변화 추이․14 <표 Ⅱ-3> 노동력 상태 이동 추이․15 <표 Ⅱ-4> 학력별․연도별 월평균 임금수준 비교․16 <표 Ⅱ-5> 주요국의 상대 빈곤률 비교․16 <표 Ⅱ-6> 산업별 부족인원 및 부족률․17 <표 Ⅱ-7> 직업대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23 <표 Ⅱ-8> 직업대분류별 취업자 비중 전망․24 <표 Ⅱ-9> 최근 3년간 청소년의 직업별 취업 추이․27 <표 Ⅱ-10> 직업별․성별 청소년 취업 현황(2007년 기준)․28 <표 Ⅱ-11> 청소년의 직업선택요인 변화 추이․29 <표 Ⅱ-12> 성별 청년 고용률(%) 추이․33 <표 Ⅱ-13>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종사상 지위별 고용 증감 비교․33 <표 Ⅱ-14> 청년 취업 애로층 추이․34 <표 Ⅱ-15> 대졸비경활인구중 취업준비자 비중 추이․34 <표 Ⅱ-16> 청년 취업 애로층의 학력별 구분(2008년 2/4분기)․35 <표 Ⅲ-1> 청소년기의 진로발달 특징․40 <표 Ⅲ-2>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영역 및 주요 내용․42 <표 Ⅲ-3> 중학생의 진로발달영역 및 주요 내용․43 <표 Ⅲ-4> 고등학생의 진로발달영역 및 주요 내용․45 <표 Ⅲ-5> 학교급별 진로발달 종합․46 <표 Ⅲ-6> 정부 부처의 진로교육 관련 업무 분장 내역․51 <표 Ⅲ-7> 16개 시․도교육청의 진로교육 지원 활동․53 <표 Ⅲ-8> 7차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별 교육목표에서의진로교육․55 <표 Ⅲ-9> 교육과정에서 진로교육을 운영한 방법에 따른 장점과 단점․57 <표 Ⅲ-10> 초중등학교에서 재량 및 특별활동을 통한 진로교육․58 <표 Ⅲ-11> 전문상담교사 과정 이수 교사․63 <표 Ⅲ-12> 학교급별 전문상담교사 현황․63 <표 Ⅲ-13> 지역별 진로정보센터 운영 내용․68 <표 Ⅲ-14>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69 <표 Ⅲ-15>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개발한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70 <표 Ⅲ-16> 영국 교육법 제 43조․76 <표 Ⅳ-1> 특수목적고 현황(2007년 3월 기준)․88 <표 Ⅳ-2> 특수목적중 현황(2008년 기준)․89 <표 Ⅳ-3> 특성화고 현황(2008년 4월 기준)․90 <표 Ⅳ-4> 특성화 학교의 자율성 정도 비교․92 <표 Ⅳ-5> 고등학교 유형별 성격 비교․93 <표 Ⅳ-6> 마이스터고 확대 계획․96 <표 Ⅳ-7>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육성 사업 선정 현황․97 <표 Ⅳ-8> 송달용 외(2008)의 특성화고 성과분석 영역 및 항목․99 <표 Ⅳ-9> 외국어고 졸업생 진학 현황(2002-2004년)․103 <표 Ⅳ-10> 시카고농업과학고등학교의 교과과정․112 <표 Ⅳ-11> 윌리엄터너기술고등학교의 진로전공․115 [그림 Ⅱ-1] 우리나라 출산율 변동 추이(1970-2005)․10 [그림 Ⅱ-2] 출산율 저하 현상의 국제 비교․11 [그림 Ⅱ-3]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13 [그림 Ⅱ-4] 우리나라 노령화 지수 현황․14 [그림 Ⅱ-5] 우리나라 산업구조 변화 추이(1981-2006)․19 [그림 Ⅱ-6] 우리나라 서비스 산업구조 변화 추이(1981-2006)․20 [그림 Ⅱ-7] 청소년의 경제활동참가율 및 실업률 변화 추이․25 [그림 Ⅱ-8] 상급학교 진학률․30 [그림 Ⅱ-9] 고용률 변동 추이․32 [그림 Ⅱ-10] 청년층 생산가능인구 및 취업자 증가 추이․32 [그림 Ⅲ-1] 초․중등학교에서 운영하는 진로교육 유형․54 [그림 Ⅲ-2] 7차 교육과정의 편제와 진로교육 운영 방안․56 [그림 Ⅲ-3] 각 시도별 창의지도 시간내 진로교육 운영 비율(2007)․59 [그림 Ⅲ-4] 학교 내 진로교육 전담 전문상담교사의 보유 비율․64 [그림 Ⅲ-5] 진로교육 직무연수 참가 인원 및 과정 수․66 [그림 Ⅲ-6] School-to-Work Opportunity Act의 교육요소 구성․71 [그림 Ⅲ-7] 프랑스의 진로개발 업무 체계․83 [그림 Ⅲ-8] 인간 뇌의 구조․86 [그림 Ⅳ-1] 마이스터고 Career Path․95 [그림 Ⅳ-2] 특수목적고 희망학생 및 일반학생의 사교육비 지출 비율 차이․104 [그림 Ⅳ-3] 과학고 입학 경쟁률 변화 추이(1999-2007년)․106 [그림 Ⅳ-4] 외국어고 입학 경쟁률 변화 추이(1998-2007년)․106 [그림 Ⅴ-1] 청소년 진로개발 활성화를 위한 학교 특성화의 기본 방향․120 [그림 Ⅴ-2] 학교 특성화 운영 체제․122 [그림 Ⅴ-3] 학교 특성화 단기 방안․123 [그림 Ⅴ-4] 학교 특성화 장기 방안․125 [그림 Ⅴ-5] 특성화 학교의 자율성 확보 방안․127 [그림 Ⅴ-6] 특성화 분야 교육과정 개발 방안․128 [그림 Ⅴ-7] 특성화 교육에 적합한 교원 및 학생 확보 방안․131 [그림 Ⅴ-8] 학교 특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134 [그림 Ⅵ-1] 청소년 진로개발을 위한 학교 특성화 추진 절차․13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위탁수시)청소년의 진로 개발 활성화를 위한 학교 특성화 방안 | 2008.07.07~2008.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