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외 고급인력 유치 전략 연구 : 금융 및 물류부문 인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Strategies for Securing Highly Skilled Manpower from Overseas for Strenthening of Global Competitiveness Emphasizing Human Resources in Finance and Logistics Sectors
저자
이남철 전현중 이미영
분류정보
기본연구(2008-5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03.31
등록일
2009.03.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해외 고급인력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4
   1. 문헌 분석 4
   2. 전문가 활용 4
   3. 국내 면담 조사 5
   4. 국외 면담 조사 5
   5. 전문가 협의회 6
   6. 정책 간담회 6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 6
제2장  고급인력 국제이동의 이론적 분석
 제1절  고급인력의 정의 및 해외 인력 현황 7
   1. 해외 고급 인력의 정의 7
   2. 해외 인력의 현황 11
 제2절  두뇌 유출 개념, 원인 및 현황 17
   1. 두뇌 유출의 개념 17
   2. 두뇌유출의 원인 18
   3. 두뇌 유출 현황 20
 제3절  고급인력의 국제이동의 원인 및 영향 21
   1. 고급인력의 국제이동 원인 21
   2. 고급인력의 국제적 이동의 영향 24
제3장  한국 금융 및 물류 부문 노동시장 현황 분석
 제1절  한국의 경제 환경 변화 분석 29
   1. 국내외 환경 변화 29
   2. 글로벌 기업 동향 분석 및 산업 전망 30
 제2절  한국의 금융 및 물류 부문 노동시장 현황 40
   1. 한국의 노동시장 분석 40
   2. 한국의 금융 및 물류 부문 노동시장 현황 45
 제3절  한국의 금융 및 물류 부문 노동시장 문제점 분석 62
   1. 금융부문 노동시장의 문제점 62
   2. 물류부문 노동시장의 문제점 64
제4장  해외 고급인력 유치 및 양성에 대한 현황 분석
 제1절  국내 금융 및 물류 부문 고급인력 유치 및 양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현황 분석 67
   1. 금융중심지원센터 67
   2. 금융감독원 해외전문인력 채용 69
   3. 코트라 콘택트 코리아(KOTRA Contact Korea) 69
   4. 금융인력네트워크센터 72
   5. 물류부문 전문인력 양성 84
 제2절  국내 대학, 기업, 연구소 및 정부의 해외 고급인력 유치에 대한 현황 분석 87
   1. 대학의 해외 고급 인력 유치 87
   2. 기업의 해외 고급 인력 유치 92
   3. 정부출연연구소의 해외 고급 인력 유치 96
   4. 정부의 해외 고급 인력 유치 98
제5장  주요국의 해외 고급인력 유치 전략 분석
 제1절  주요국의 해외 고급인력 유치 전략 분석 101
   1. 주요국의 해외고급인력 유치전략 101
   2. 주요국 고급인력 유치 전략이 주는 시사점 124
 제2절  글로벌 기업들의 해외고급인력 유치 전략 126
   1. 보잉사(Boeing Co.) 126
   2.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 Co.) 131
   3. UPS 133
   4. 시사점 도출 135
제6장  해외 고급인력의 유치 및 확보 방안
 제1절  해외고급인력 유치 정책의 전제 조건 및 기본 방향 139
   1. 정책 마련을 위한 전제 조건 139
   2. 해외 고급인력 유치 프로그램 설계의 기본방향 140
 제2절  정부차원의 해외고급 인력 유치 및 확보방안 142
   1. 동북아 금융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추진 142
   2. 금융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공익적 재원 확보 143
   3. 금융 및 물류 부문 전문 인력의 고도화를 위한 평생교육 지원제도 마련 143
   4. 이민제도의 탄력적이고 효율적인 제도 운영 체제 구축 144
 제3절  기업차원의 해외고급 인력 유치 및 확보방안 145
   1. 철저한 계획을 통해 우수 해외인력을 유치 145
   2. 주요국의 현지에 활동 거점을 세우고 현지인을 채용,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 145
   3. 해외 고급인력 유치를 위한 금융투자회사의 역할 강화 146
 제4절  대학, 기업 및 정부 출연연구소의 해외고급 인력 유치 및 확보방안 147
   1. 해외 유학생의 적극적 유치 및 활용 147
   2. 해외 고급인력 단기유치 사업의 활성화 149
   3. 협동 박사과정 지원 사업 150
   4. 금융전문교육기관의 협력체계 구축 및 활용 151
제7장  결론
 제1절  연구결과 요약 153
 제2절  해외 고급인력 유치를 위한 정책 방안 155
   1. 해외 고급인력 유치 활용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 155
   2. 재외 금융 및 물류 분야 고급인력 활용 방안 157
   3. 해외 우수 인재에 대한 경제 및 사회적 보상 강화 158
   4. 해외 우수 인력과 네트워크 구축 및 확산 161
   5. 해외 한국인 고급인력 이동 실태에 대한 통계 인프라 확충 162
   6. 해외 유학생 복귀를 유인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 마련 162
   7. 국내 금융 및 물류부문 노동시장 경쟁력 강화 및 기존 인력 활용 163
SUMMARY 165
참고문헌 179
  글로벌 고급인력의 확보가 국가와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각됨에 따라 고급인력이 확보를 위한 국가 간 인력유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혁신주도형 경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고급인력을 적극 유치하여 총 생산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해외 단순노무인력의 도입에 역점을 두었고 글로벌 고급인력 유치를 위한 국가적 관심과 정책적 노력은 미흡한 수준이었다. 또한 해외 고급인력 유치 및 활용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과학기술 고급인력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정지표인 '활기찬 시장경제' 및 '인재대국'을 건설하기 위한 핵심과제로서 서비스산업 금융 및 물류 발전방안에서 가장 중요한 고급인력 유치를 위한 전략적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고급노동인력의 이주 및 고급인력의 구제적 쟁점 상황 분석, 국내기업.출현연구소. 대학 및 정부의 해외 고급인력 유치 전략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국가경쟁력 증진을 위한 해외 고급인력 유치 방안에 대한 전략적 정책 방안도 제시하였다.
 ○ 주요내용
  - 고급인력의 국제이동의 원인 및 영향
  - 한국 금융 및 물류 부문 노동시장 현황 분석
  - 해외 고급인력 유치 및 양성에 대한 현황분석
  - 주요국의 해외 고급인력 유치 전략 분석
  - 해외 고급인력 유치를 위한 정책 방안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strategic, politic proposals for attracting high skilled human resources, the most important one of the proposals to growth the service industry which are the core task to establish 'the economy of the active market' and 'the talented human resource powers', the politic directions which Lee Myung-bak's government dr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trategic policy for attracting high skilled human resources to enhance the global national competitiveness by analyzing the migration of highly skilled human resources and the state of its international issue and grasping the present state for attraction of highly skilled human resources in domestic and non-domestic global universities and industries, research institutes which the government contributes to and government's organs.
  For this study, researches are conduct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 utilization of experts and domestic and non-domestic interviews.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usage as the plan for the specific execution of the government's tasks by proposing the policies to attract non-domestic highly skilled human resources. Also, it suggests the specific plan to universities, industries,  government's organs and various demand organizations in the fields of the finance and the distribution which is keenly in need of the utilization of highly skilled human resources by proposing the strategic policy to attract non-domestic highly skilled human resources.
...
<표 Ⅱ-1> 대학과정 이상 학력소지 국외인적자원의 대상․8
<표 Ⅱ-2> 고급두뇌 유형별 특성․9
<표 Ⅱ-3> 이민자 고학력 인구 및 순 두뇌 유입 현황(1990, 2000)․11
<표 Ⅱ-4> 국내의 해외 고급인적자원의 유량과 저량의 변화 추이․12
<표 Ⅱ-5> 장단기 체류외국인 자격 및 국적․13
<표 Ⅱ-6> 거주 자격별 재외동포 현황․14
<표 Ⅱ-7> 지역별ㆍ과정별 유학생 수․16
<표 Ⅱ-8> 국내외 유학생 연도별 현황․16
<표 Ⅱ-9> 주요국의 두뇌유출지수 현황․20
<표 Ⅱ-10> 고급인력 국제 이동의 영향․28
<표 Ⅲ-1> 글로벌 기업(2007)․32
<표 Ⅲ-2> 글로벌 금융 기업(2008)․33
<표 Ⅲ-3> 글로벌 기업 및 금융회사 추이․34
<표 Ⅲ-4> 글로벌 기업 및 금융회사 추이․35
<표 Ⅲ-5> ’09년 금융업종別 성장전망․36
<표 Ⅲ-6> 2009년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최대 이슈․37
<표 Ⅲ-7> 자본시장통합법의 주요내용․38
<표 Ⅲ-8> 글로벌 물류 기업(2008)․40
<표 Ⅲ-9> 주요고용지표의 변화․42
<표 Ⅲ-10>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44
<표 Ⅲ-11> 2009년 금융산업별 성장성, 수익성, 건전성 전망․46
<표 Ⅲ-12> 산업별 취업자 수․47
<표 Ⅲ-13> 금융부문 관련 전공 학생 수 추이․48
<표 Ⅲ-14> 금융부문 관련전공 취업률․49
<표 Ⅲ-15> 금융산업의 종사자수․50
<표 Ⅲ-16> 금융산업 산업중분류별 취업자 및 종사상 지위별 비중추이․51
<표 Ⅲ-17> 금융산업의 취업자 전망․52
<표 Ⅲ-18> 전체 산업 대비 금융산업 취업자 수 및 비중․53
<표 Ⅲ-19> 금융산업의 학력별 취업자 전망․53
<표 Ⅲ-20> 물류부문 관련 전공 학생 수 추이․57
<표 Ⅲ-21> 물류부문 관련전공 취업률․58
<표 Ⅲ-22> 물류인력 수급현황․58
<표 Ⅲ-23> 물류인력 부족부문․59
<표 Ⅲ-24> 물류전문인력의 학력별 현황․60
<표 Ⅲ-25> 물류전문인력 추이․60
<표 Ⅲ-26> 물류산업의 취업자 전망․61
<표 Ⅲ-27> 물류산업의 학력별 취업자 전망․62
<표 Ⅳ-1> 금융연수기관의 연수 실적(2006년)․76
<표 Ⅳ-2> 한국형 MBA 현황․77
<표 Ⅳ-3> 국적별 근무 유형․95
<표 Ⅳ-4> 해외영업 담당 근무처 구분(총 68명)․96
<표 V-1> 영국의 HSMP 포인트제도․108
<표 V-2> 보잉 사원현황․131
<표 V-3> 직원 수와 수익 성장․132
<표 VI-1> 대학원 졸업자에게 부족한 것․149
[그림 Ⅱ-1] 글로벌 인재의 역량 요인․10
[그림 Ⅲ-1] 국내ㆍ외 환경변화․30
[그림 Ⅲ-2] 금융업종별 비중 추이(매출액 기준)․36
[그림 Ⅲ-3] 물류기능의 변화․54
[그림 Ⅲ-4] 물류산업의 고용규모 추이․56
[그림 Ⅳ-1] 해외금융인력 채용ㆍ취업 절차․69
[그림 Ⅳ-2] ‘고급인력 유치지원 센터’ 운영도․70
[그림 Ⅳ-3] 금융인력 네트워크 센터의 체제․73
[그림 Ⅳ-4] 온라인 비자추천‧심사시스템 운영도․100
[그림 V-1] 보잉 리더십 모델․13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외 고급인력 유치 전략 연구 -금융 및 물류부문 인력을 중심으로- 2008.09.01~2009.03.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