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09)

개발도상국 직업교육훈련 전문가 연수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Experts from Developing Countries
저자
김미숙 이영현 최지희
분류정보
기본사업(2009-05-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2.31
등록일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교육훈련개발도상국URC 사업국제협력
1부. 연수 프로그램 개발
 I. 서론 1
 II. 유네스코지역센터 사업 내용 7
 III. 개발도상국 직업교육훈련분야 전문가 연수 사례 13
 IV.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43
 V. 개도국 직업교육훈련전문가에 대한 요구 조사 57
 VI. 연수프로그램 내용 71
 VII. 현장방문 대상기관 79
<부록>
참고문헌 91
2부. 연수 프로그램 내용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95
 직업교육훈련 요약 97
 I. 한국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직업교육훈련 103
 II. 직업교육훈련의 제도적 틀 123
 III. 노동시장 및 직업교육훈련 정보 시스템 147
 IV. 한국의 직업교육 163
 V. 양성훈련 187
 VI. 향상훈련 197
 VII. 한국의 직업자격제도 211
 VIII. 진로교육과 공공고용안정서비스 227
 IX. 직업교육훈련 교육과정 개발 251
 X.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학습방법 277
 XI. 한국의 직업훈련교사 제도 295
 XII. 직업교육ㆍ훈련의 평가 315
 XIII. 직업교육훈련 연구개발 331
참고문헌 355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도 UNESCO 직업기술교육훈련 지역센터 사업으로 2002년 아태지역 회원국인적자원개발 및 직업교육훈련분야 전문가/관계공무원 연수를 시작으로 지난 7년간 개도국의 직업교육훈련분야 공무원이나 전문가를 대상으로 TVET and HRD training program for expert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능원이나 UNEVOC 지역센터 사업의 일환으로 직업기술교육훈련(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VET) 협력을 위한 아태지역 직업교육훈련분야 연수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연수의 활성화를 도모한다.

  ○ 주요내용
   - 유네스코지역센터 사업 내용
   - 개발도상국 직업교육훈련분야 전문가 연수 사례
   -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on and Training
  In this chapter, we generally examine the socio-economical situation in Korea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based on knowledge economy. First of all,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situation are dealt and then explored the current population such as the population fluctuation, the aging etc. In addition, we investigate industrial and occupational  structures, IMF foreign exchange crises of Korea, and the subsequent unemployment with economy and labor market of the Korea. Finally, we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s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rough a level of the human resource,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school attendance and entrance to next schools, and the present educational situation of Korea...
1부. 연수 프로그램 개발
<표 III-1> 2004∼2008년까지 KRIVET UNEVOC 지역센터 연수 실적․14
<표 III-2> 국가별 2004∼2008년까지 KRIVET UNEVOC 지역센터 연수․15 
<표 III-3> KRIVET URC 연수 사업 참여자 현황 분석(2009.3.)․16
<표 III-4> 2004 PROGRAM  TIME TABLE․18
<표 III-5> 2005 PROGRAM  TIME TABLE․20
<표 III-6> 2006 PROGRAM TIMETABLE․22
<표 III-7> 2007 PROGRAM OVERVIEW․24
<표 III-8> 2008 PROGRAM OVERVIEW․26
<표 III-9> 연수생 초청사업 총괄표․28
<표 III-10> 지역별 실적․29
<표 III-11> KOICA 국내초청연수 형태 구분․30
<표 III-12> 직업훈련분야 연수 세부내역․30
<표 III-13> 2008년도 지역별 초청계획․34
<표 III-14> 연수실시 형태․34
<표 III-15> 연수분야별 초청계획․35
<표 III-16> 연수생 초청사업 총괄표․35
<표 III-17> 연도별 실적․35
<표 III-18> 지역별 실적․35
<표 III-19> 분야별 총괄표․36
<표 III-20> 사업유형별 총괄표․36
2부. 연수 프로그램 내용
<표 I-1> 연도별 경제성장률(GDP)․107
<표 I-2> 경제활동인구의 변화․108
<표 I-3> 산업별 취업자 구성변화․111
<표 I-4> 대분류 직업별 취업자 수와 구성비율(구직업분류): 1963∼1990․114
<표 I-5> 대분류 직업별 취업자 수와 구성비율(신직업분류): 1993∼2005․115
<표 I-6> 성․연령별 임금근로자 구성 비율(2007)․116
<표 I-7> 고등교육기관 재적학생 수: 1970-2007․121
<표 II-1>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차이․126
<표 III-1> 현행 노동관련 통계의 분류(예시)․159
<표 IV-1> 전문계고등학교 학교유형별 학교 수․169
<표 IV-2> 일반계고교 대 전문계고교 학생비율․169
<표 IV-3> 전문계고등학교 계열별 학생 수․170
<표 IV-4> 제7차 교육과정상의 전문계 고등학교 계열별 기준학과․171
<표 IV-5>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 현황(2008년)․172
<표 IV-6> 전문대학 학교 수․174
<표 IV-7> 전문대학 학생 수․174
<표 IV-8> 전문대학 졸업자의 진로 현황(2008년)․175
<표 IV-9> 산업대학 졸업자의 진로 현황(2008년)․176
<표 IV-10> 사설학원의 교습과정․178
<표 IV-11> 사설학원의 현황(2008년)․179
<표 IV-12> 대학(원)부설 사회(평생)교육원(2008년)․180
<표 VI-1> 노동시장 단계별․훈련대상별 실시현황(’09. 4월 기준)․200
<표 VI-2> 실업자 및 취약계층 대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203
<표 VI-3> 사업주 주로 훈련프로그램 현황․205
<표 VI-4> 중소기업 사업주 특화지원․206
<표 VI-5> 근로자주도 훈련프로그램 현황․208
<표 VII-1> 한국 자격제도 현황․214
<표 VII-2> 연도별 민간자격의 신설 현황․218
<표 VII-3> 국가기술자격제도 시기별 주요 정책․218
<표 VII-4> 개별법 국가자격의 소관부처별 현황 ․219 
<표 VII-5> 국가기술자격 종목 현황․221
<표 VII-6> 부처별 민간자격 국가공인현황(’08)․224
<표 VIII-1> 진로교육과 진로지도의 구분․229
<표 VIII-2> 진로교육내용요소․231
<표 VIII-3> 진로교육 편성 및 운영 현황․231
<표 VIII-4> 진로교육 관련 인력 현황․232
<표 VIII-5> 주요 공공 고용서비스기관 현황 및 대상․241
<표 VIII-6> 고용지원센터의 직업지도 관련 사업․241
<표 VIII-7> 취업 희망 프로그램 주요 내용․246
<표 IX-1> 교육과정 개발 단계․269
<표 X-1> 인지적 도제 학습 환경과 하위 영역․278
<표 X-2> 프로젝트 학습의 구성 요소와 절차․291
<표 XI-1>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기준의 변천(1967~2005)․298
<표 XI-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기준․302
<표 XI-3> 직업훈련교사 훈련과정별 훈련시설, 입학자격 및 훈련기간․306
<표 XI-4> 교직훈련과정 교과편성․307
<표 XI-5> 교직훈련과정 운영 실적․308
<표 XI-6> 직종별 직업훈련교사자격증 교부현황(’98~’07. 9월 말 현재)․ 309
<표 XI-7> 향상훈련과정 교과편성 내용․310
<표 XI-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능력개발교육원 교육훈련분야․312
<표 XI-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능력개발교육원의 연도별 연수실적․314
<표 XII-1> 집체훈련기관 평가체계․320
<표 XII-2> 원격훈련 기관평가 체계․321
<표 XII-3> ’08. 8~’09. 3 적합훈련과정 심사현황․324
<표 XII-4> 원격훈련 심사결과․326
<표 XII-5> 기관평가 사례․328
<표 XII-6> 외국의 훈련기관평가 주요특징․329
<표 XIII-1>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23개 연구기관 일반현황․332
<표 XIII-2> 국무총리실 산하 연구소 중 인재양성 관련 연구소․333
1부. 연수 프로그램 개발
[그림 III-1] 연수사업 계획 수립․32
[그림 III-2] 연수사업 선발 및 사전교육․33
[그림 III-3] 연수실시․34
[그림 III-4] 사후관리․34
2부. 연수 프로그램 내용
[그림 I-1] 남성과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추세․109
[그림 I-2] 산업별 노동력 구성률 변화 추세․112
[그림 I-3] 직업별 구성비 변화 추세․116
[그림 II-1] 한국의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관계(학습자/근로자의 transition을 중심으로)․131
[그림 III-1] 노동시장정보관련 주요개념 체계․149
[그림 III-2] 노동시장 정보체계의 구분․150
[그림 III-3] 주요 노동시장정보 인프라․156
[그림 IV-1] 한국의 학교제도․164
[그림 IV-2] 한국의 직업교육 체제․167
[그림 IV-3] 산학협력의 유형․182
[그림 VI-1] 직업능력개발 계좌제 절차도․209
[그림 VII-1] 한국의 자격제도 유형․213
[그림 VII-2] 국가기술자격 제도 운영체계․215
[그림 VII-3] 국가기술자격 등급 및 종목 체계․215
[그림 VII-4] 민간자격 국가공인 절차․216
[그림 VIII-1] 진로교육 지원체계․230
[그림 VIII-2] 커리어 넷 홈페이지(www.careernet.re.kr)․234
[그림 VIII-3] 2007 미래의 직업세계․237
[그림 VIII-4] 진로교육 지원체계․238
[그림 VIII-5] 진로 지도 프로그램 예시: 아로 주니어․239
[그림 VIII-6] PES 지원체계․240
[그림 VIII-7] 워크 넷 홈페이지(www.work.go.kr)․244
[그림 VIII-8] JOB MAP 프로그램 예시․245
[그림 VIII-9] 전 생애 공간에서의 진로교육 모형․250
[그림 IX-1] ISD 모형(ADDIE 모형)․259
[그림 IX-2] 타일러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260 
[그림 IX-3] Deter & Rosenberg(1992)의 수행공학 프로세스 모형․262
[그림 IX-4] Van Tiem, Mosely, Dessinger(2000)의 수행공학 프로세스모형․263
[그림 IX-5] 역량기반 훈련과 개발 절차․265
[그림 IX-6] DACUM 기법에 의한 교육과정 프로그램 및 기준 개발 절차․267
[그림 IX-7] SCID 프로세스․269
[그림 IX-8] 현장영화인력 직무특성 규명 프로세스․271
[그림 IX-9] Job Model 검증 프로세스․272
[그림 IX-10] 교육체계 수립 프로세스․272
[그림 IX-11] 현장영화인력을 위한 교육체계 레벨의 설정․274
[그림 IX-12] DACUM Chart 예시․275
[그림 IX-13] 역량진단 프로세스․276
[그림 X-1] 교수자 중심 집단 교수법․280  
[그림 X-2] 학습자 중심 소집단 교수법․28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09) ②개발도상국 직업교육훈련 전문가 연수 프로그램 개발 2009.01.01~200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