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육 고용 패널 조사(2009)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2009)
- 저자
- 채창균 유한구 민주홍 류지영 신동준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09-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2.31
- 등록일
- 2009.12.31
요 약 제1장 조사 개요 1. 사업 목적 1 2. 2008년까지의 사업 추진 실적 6 3. 2009년 주요 사업 추진 실적 9 제2장 4차년도 가중치 제1절 가중치 개요 13 1. 1단계: 불균등 추출 확률(unequal selection probability) 보정 13 2. 2단계: 무응답(non-response) 보정 14 3. 3단계: 사후층화(post-stratification) 보정 14 4. 가중치 계산 15 제2절 4차년도 가중치 15 1. 기존패널 15 2. 신규패널 21 3. 전체(기존+신규) 패널 26 제3장 5차(2008)년도 조사 결과 및 자료보급 제1절 5차(2008)년도 조사 결과 29 제2절 데이터 클리닝과 자료 공개 30 1. 데이터 클리닝 30 2. 코드화 및 추가 정보 31 3. 자료 배포 32 4. 자료 공개 32 제3절 제5회 학술대회 33 1. 학술대회 개요 33 2. 세션 및 연구주제별 구성 33 3. 전문가들의 자료에 대한 의견 34 제4장 6차(2009)년도 설문지 개발 제1절 설문 개발 및 조사 대상 35 1. 설문지 개발 35 2. 조사 대상 36 제2절 설문 구성 및 조사내용 38 1. 설문 구성 38 2. 조사내용 38 3. 2008년도 설문에서 변화된 조사내용 42 제3절 설문 문항별 조사지침 43 제5장 6차(2009)년도 본 조사 제1절 조사 준비 61 1. 면접원 선정 61 2. 면접원 교육 62 3. 패널 관리 64 제2절 6차년도 본 조사 현황 66 1. 본 조사 진행 과정 66 2. 조사 진행 상황 점검 66 3. 조사 진행 상황(10월 30일 기준) 67 4. 조사 관련 특이 사항 73 제6장 설문 시스템 변경 배경 및 내용 1. 조사방식의 변경 도입 배경 75 2. 조사방식 변경 내용: 6차년도 조사시스템의 특징 76 제7장 향후 계획 1. 5차(2008)년도 조사 자료의 발간 79 2. 6차(2009)년도 조사자료 클리닝 79 3. 대학성적 자료 수집 80 4. 7차(2010)년도 조사 계획 수립 80 5. 신규 코호트 투입 문제 검토 82 6. 패널조사 위원회 구성 필요 82 SUMMARY 85 <부록 1> 6차년도 설문지 99 <부록 2> 대통령 서면 보고서 261 참고문헌 275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는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과정(School to Work)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의 수집을 통해 우리나라 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수준의 연구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인재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기획된 연구이다. 본 조사는 2003년에 연구가 기획되었고, 2004년에 기준년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기준년도에는 일반계 고등학생 2,000명과 실업계 고등학생 2,000명, 중학교 학생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현재 이들에 대한 추적조사를 매년 시행하고 있다. 또한 2007년에는 전문계 고등학교와 특수목적형 고등학교 학생 1,600명을 추가로 표집하였다. 본 연구사업은 2009년에 수행한 6차년도 조사에 대한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에는 조사내용과 절차 및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수록하고 있어, 추후에 패널연구를 기획하는 연구자나 패널자료를 분석하는 연구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주요내용 - 4차년도 가중치 - 5차년도 조사결과 및 자료보급 - 6차년도 설문지 개발 및 본조사 - 설문시스템 변경 배경 및 내용
○ This study aims to generate panel data that are sustainable and representative in the long view to closely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the labor market while generating education-related information for the younger generation. ○ Characteristics of the 6th Survey 2009 - Sophistication of integrated survey questionnaire that is developed in 2007 and modified in 2008. Development of related questionnaire in response of graduate school enrollment. - In order to minimize the rate of elimination in panel dataset, ensuring contacts information, establishing intimacy with survey subjects, utilizing peer panel and enforcing incentive scheme has been pursued. - Since high schools’ academic achievement data is important most for analysis of education accomplishment, Korean SAT data has been acquired and provided. ○On Feb. 24th 2009, The 4th KEEP Conference and Abstract contest was successfully held. - Panel users’ opinions from the conference are reflected. Final trimming including longitudinal cleaning and publish of 1st ∼ 4th panel data in purpose of securing KSAT data was performed. ○ Major changes of infras4tructure in 2009 survey - While KRIVET had operated KISS self-developed and retained by it, the system is changed to due diligence services. - Thus, development and maintenances of whole survey system became to be response of the due diligence servicesand the survey was successfully done in given time-frame. - Progress has been taken to the degree that laptop and web survey can be parallel. ○In 2009, the 6th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Survey has been conducted ○ English translation of data - In 2008, Part of the translation of data has been processed and in 2009, materials including 1st∼4th survey questionnaire, code books/layout, user manual and 5th survey questionnaire are translated. - Official distribution of materials in English will be offered through the homepage(http://keep.krivet.re.kr)in the first half of year 2010 after final trim. ○Plan to designate expert for perform charging of sample correction study, which considers male youths who are enforced to join the armed forces and to utilize that in 2010 survey and additional sampling. ○The 1st(2004) ∼ 5th(2008) wave data for conference has been provided in November through research plan competition and on Feb. 19th 2010, The Fifth KEEP Conference and graduates’ abstract competition is being prepared.
<표 1-1> 1차(2004)년도 조사 결과․7 <표 1-2> 2차(2005)년도 조사 결과․7 <표 1-3> 3차(2006)년도 조사 결과․8 <표 1-4> 4차(2007)년도 기존패널 조사 성공률․8 <표 1-5> 4차(2007)년도 신규패널 조사 성공률․8 <표 1-6> 4차(2007)년도 담임, 학교 조사 성공률․9 <표 1-7> 5차(2008)년도 조사 결과․9 <표 1-8> 현재 진행 상황 및 향후 계획․11 <표 2-1> 4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기존패널․16 <표 2-2> 4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기존패널․17 <표 2-3> 4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기존패널․18 <표 2-4> 4차년도 사후보정 가중치(일반계고)-기존패널․19 <표 2-5> 4차년도 사후보정 가중치(전문계고)-기존패널․19 <표 2-6> 학교 추출확률(전문계고등학교)-신규패널․21 <표 2-7> 학교 추출확률(외국어고등학교)-신규패널․22 <표 2-8> 학교 추출확률(과학고등학교)-신규패널․22 <표 2-9> 4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전문계고등학생)-신규패널․25 <표 2-10> 4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외국어고등학생)-신규패널․25 <표 2-11> 4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과학고등학생)-신규패널․25 <표 2-12> 4차년도 사후보정 가중치(일반고생)-전체(기존+신규)패널․27 <표 2-13> 4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전문고생)-전체(기존+신규)패널․27 <표 2-14> 4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외고생)-전체(기존+신규)패널․28 <표 2-15> 4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과학고생)-전체(기존+신규)패널․28 <표 3-1> 5차년도 조사 성공률․30 <표 4-1> 응답자 유형별 해당 조사 범주․37 <표 4-2> 조사 대상별 설문지 변화․37 <표 4-3> 한국교육고용패널 설문지(2009) 조사내용․39 <표 4-4> 설문지 변경 내역(2008년도 조사와 비교)․42 <표 5-1> 6차년도 조사의 지역별 면접원수와 면접원의 조사 참여 경험․62 <표 5-2> 본 조사 준비사항․65 <표 5-3> 표본별 6차년도 KEEP 조사 현황(10월 30일 기준)․68 <표 5-4-1> 지역별 상세 수행 현황-기존패널(전체표본)․72 <표 5-4-2> 지역별 상세 수행 현황-신규패널(전체표본)․73 [그림 5-2-1] 5차년도 조사 전체 수행 상황-기존패널(전체표본)․70 [그림 5-2-2] 5차년도 조사 전체 수행 상황-신규패널(전체표본)․70 [그림 5-3-1] 지역별 수행 상황-기존패널(전체표본)․71 [그림 5-3-2] 지역별 수행 상황-신규패널(전체표본)․7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한국교육고용 패널조사(2009) | 2009.01.01~200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