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1사1교 협약 지원 사업
One Enterprise-to-One School Agreement Project to Invigorate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 저자
- 홍선이 정태화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09-1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2.31
- 등록일
-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산학협력1사1교 협약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사업의 필요성과 목적 1 1. 사업의 필요성 1 2. 사업의 목적 4 제2절 사업의 내용 및 방법 5 1. 사업의 내용 5 2. 사업 추진 방법 7 제3절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8 제2장 국내 산학협력 실태 및 전문계고 산학협력 사례 분석 제1절 산학협력의 이론적 고찰 11 1. 산학협력의 개념 11 2. 산학협력의 유형 14 3. 산학협력 주체별 역할과 기능 18 4. 전문계고 산학협력 관련 국내 법령 23 제2절 산업체의 전문계고에 대한 인식 분석 27 1. 산업체의 전문계 고교 졸업생 인적자원 활용 27 2. 산업체의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생에 대한 평가 34 제3절 전문계고 산학협력 추진 사례 37 1. 충남교육청의 1교1사 자매결연 확산 사업 37 2. ICC(Industry and Campus Connection) 산학결연 사업 38 3. 중소기업인력대전 40 제3장 1사1교 협약 지원 사업 추진체계 구축 및 운영 제1절 사업 추진 현황 44 1. 신청 코너 및 커뮤니티 개설 44 2. 추진위원회 구성 및 운영 47 제2절 참여 기업과 학교의 pool DB화 작업 54 제3절 1사1교 협약 운영 사례 및 성과 발표회 65 1. 발표회 개요 65 2. 발표 내용 65 제4장 1사1교 협약 지원 사업 운영 성과 제1절 1사1교 협약 체결 현황 129 제2절 산학협력 활동 및 운영 성과 130 1. 산학협력 활동 내용 130 2. 운영 성과 137 3. 향후 계획 141 4.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43 제3절 소결 149 제5장 전문계고와 기업의 산학협력 제고 방안 제1절 정부 차원 153 1. 산업별 인적자원개발 협의체(SC)의 지원 154 2. 기업에 대한 지원 157 3. 산학협력 사례의 공론화 및 협력 모델 일반화 159 제2절 학교 차원 160 1. 학교장 및 교직원들의 인식 변화 160 2. 교사들의 전문성 확보 162 3. 학교운영위원회 기업체 대표 영입 162 제3절 기업 차원 163 SUMMARY 165 <부록 1> 169 <부록 2> 171 참고문헌 187
그 동안 정부는 다각적 차원에서 산학협력 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산학협력의 양적인 성과가 산업현장에서의 활용 성과로 모두 이어지지 못했고, 특히 전문계고의 참여율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1사1교 협약 지원 사업은 전문계고와 기업의 산학협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매우 의미 있는 사업이라 할 수 있다. 1사1교 협약 지원 사업은 이러한 필용성과 배경에 따라 실질적으로 적극적인 산학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업과 학교를 연계하여 1사1교 협약을 체결하도록 지원하는 데 가장 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사업의 결과로 기업과 전문계고의 실질적 협력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향후 더 많은 기업과 전문계고의 내실 있는 산학협력이 기대된다.
Network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s a prerequisite in promoting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competent workforce suitable for industries. The government has made multilateral efforts to promote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ia, and such efforts have led to improvements in the institutional bases needed to promote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to some extent, with significant quantitative achievements. However, such steady increases in quantitative outcomes of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are not put to practical use in industries. The main problem behind the lack of cooperation among enterprise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s insufficient participation of those interested parties due to lack of awareness and will, and shortage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to link the interested parties and carry out arbitration activities. Amid shortage of intermediary bodies to link and coordinate enterprise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the project on one enterprise-to-one school agreement is highly desirable and meaningful in stimulating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The main purpose of the one enterprise-to-one school agreement project is to support enterprises and schools to sign an one-to-one agreement as a way of promoting practical and progressive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This project has laid the stepping stone to practical and substantial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and we expect productive cooperation to take place among more enterprise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표 2-1> 산학협력의 개념 비교ㆍ13 <표 2-2> OECD국가들의 산학협력 유형 분류ㆍ17 <표 2-3> 산학협력 주체별 역할ㆍ20 <표 2-4> 산학협력 운영내용 체계(안)ㆍ22 <표 2-5> 국내 산학협력 관련 법령ㆍ24 <표 2-6> 전문계고 출신자 채용에 대한 회사의 필요 정도ㆍ28 <표 2-7>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채용 여부ㆍ28 <표 2-8>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의 채용 비율ㆍ29 <표 2-9> 산학협력을 통한 인력확보 방안에 대한 의견ㆍ34 <표 2-10> 전문계고 졸업생의 업무수행능력 정도: 규모별ㆍ34 <표 2-11> 전문계고 졸업생의 부족한 능력 및 태도: 전체ㆍ35 <표 2-12> 전문계고 졸업생의 부족한 능력 및 태도: 규모별ㆍ35 <표 2-13> 학교 교육내용에 대한 직장에서의 활용 정도ㆍ36 <표 2-14> 전문계고 발전을 위한 요구ㆍ36 <표 2-15> 충남교육청의 1교1사 확산사업 추진 현황(2007.12.31.현황)ㆍ37 <표 3-1> 추진협의회 협의 내용ㆍ53 <표 3-2> 1사1교 협약 진행 상황ㆍ54 <표 3-3> 1사1교 협약 신청 학교ㆍ59 <표 3-4> 1사1교 협약 신청 기업ㆍ63 <표 3-5> 신청학교 산학협력 현황 및 체결 희망 기업ㆍ64 <표 4-1> 1사1교 산학협력 협약 현황ㆍ129 <표 4-2> 1호 커플 산학협력 활동 내용ㆍ130 <표 4-3> 2호 커플 산학협력 활동 내용ㆍ131 <표 4-4> 3호 커플 산학협력 활동 내용ㆍ132 <표 4-5> 4호 커플 산학협력 활동 내용ㆍ133 <표 4-6> 5호 커플 산학협력 활동 내용ㆍ134 <표 4-7> 6호 커플 산학협력 활동 내용ㆍ134 <표 4-8> 7호 커플 산학협력 활동 내용ㆍ135 <표 4-9> 8호 커플 협약 체결 이후 산학협력 활동 내용ㆍ136 <표 4-10> 협약 기업과의 산학협력 활동 및 취업 현황ㆍ140 [그림 1-1] 산학협력 네트워크 운영에 따른 학교와 기업의 지원 내용예시ㆍ6 [그림 1-2] 1사1교 신청 및 운영절차ㆍ6 [그림 1-3] 1사1교 협약 지원 사업 운영도ㆍ10 [그림 2-1] 주체에 따른 산학협력의 유형ㆍ16 [그림 2-2] 산학협력 주체별 역할 모형ㆍ19 [그림 2-3]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 채용 경험 및 이유ㆍ29 [그림 2-4] 채용된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의 주요 업무: 지역별ㆍ30 [그림 2-5] 채용된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의 주요 업무: 규모별ㆍ31 [그림 2-6] 최근 5년간 전문계고 출신자의 재직 비율의 변화ㆍ32 [그림 2-7] 실업계 고등학교 출신자 인사 발령 시 전공 고려 여부:규모별ㆍ32 [그림 2-8] 향후 전문계 고교 졸업생의 채용규모 변화 및 채용감소 이유ㆍ33 [그림 2-9] ICC 사업의 흐름도ㆍ38 [그림 3-1] 1사1교 온라인 신청 코너ㆍ45 [그림 3-2] 1사1교 커뮤니티ㆍ46 [그림 5-1]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산업별 인적자원개발 협의체(SC)의 역할 및 정부의 지원ㆍ15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1사1교 협약 지원 사업 | 2009.04.01~200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