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인재육성을 위한 학교-지역사회관계발전연구
A Study on Building School-Local Community Rel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 저자
- 김승보 채창균 최돈민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09-1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2.31
- 등록일
-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학교-지역사회방과 후 학교진로교육지역 공교육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방법 1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내용 1 2. 연구의 방법 4 제2장 학교-지역 사회 자원 활용 제1절 학교-지역 사회 자원 활용의 현황 10 1. 학교 밖 교육활동의 활용 현황 10 2. 학교 내 교육활동의 지역자원 활용 현황 11 3. 지역자원을 활용한 통합적 교육활동 13 4. 교실 및 실내 위주의 학교생활 증가 추세 14 제2절 학교 지역 자원 활용의 문제점 16 1. 체험학습 운영의 부실 16 2. 지역자원 활용을 위한 사회적 지원태세 부족 18 3. 지역적 교육지원활동과 연계협력저조 19 4. 실효성이 떨어지는 국가교육과정의 지역자원 활용 지침 20 제3절 학교 지역 자원 활용의 운영 사례 23 1. 청계 학교 볼런티어(VIPS)운영 사례 23 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 사업 사례 23 3. 교육청 -학교 연계 운영 사례 37 제4절 학교 지역 자원 활용에 대한 정책 방안 39 1. 학교 밖 교육활동의 질 제고 39 2. 지역 자원 지도 작성 및 제공 42 3. 지역자원 활용·연계 강화를 위한 제도적 근거 강화 43 4. 교육활동 지원을 위한 보조 인력 활용 증대 46 5. 학교 밖 활동을 위한 이동성 강화 지원 50 6. 부서간의 예산 및 자원 협력 51 제3장 방과 후 학교 운영 제1절 방과 후 학교 현황 53 1. 방과 후 학교의 추진 배경 53 2. 공공 및 민간 시설을 활용한 교육활동 54 제2절 방과 후 학교의 문제점 57 1. 공공부문의 공급지체와 사교육 시장 팽창 57 2. 방과 후 학교 운영의 수요자 요구 수용 미흡과 낮은 경쟁력 58 제3절 방과 후 학교의 운영 사례 61 1. 서울 돈암초등학교 운영 사례 61 2. 지자체의 방과 후 학교 참여 사례 77 제4절 방과 후 학교에 대한 정책 방안 86 1. 교과 학습 보충과 학력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연계체제 강화 87 2. 문화예술체육교육의 활성화 88 3. 초등학교의 ‘돌봄’기능 강화를 통한 사교육 수요 흡수 89 4. 방과 후 학교 영어 프로그램의 질 개선 90 5. 학부모들의 선택권 확보 및 공급자간 경쟁유도 통한 질제고 93 6. 공간과 인력의 효율적 활용 94 제4장 진로 교육 운영 제1절 진로 교육 추진 현황 98 1. 학교 진로교육의 추진 현황 98 제2절 진로 교육의 문제점 103 1. 교육과정의 비효율적 운영으로 인한 진로교육 부실 문제 103 2. 학생의 다양한 진로 기회 결핍 105 3. 사교육 등 사회적 비효율 초래하는 진학중심의 진로 108 제3절 진로 교육의 운영 사례 110 1. 홍익대학교 입학사정관제 운영 사례 110 2. 신남중학교 운영 사례 113 3. 서울시 교육청의 운영 사례 116 제4절 진로교육에 대한 정책 방안 119 1. 학교 교육과정을 진로교육의 실질적 장으로 활용 119 2. 중학교 진로교육 체계의 구축 124 3. 입학사정관제 실시와 연계된 교육현장 지원체계 구축 127 4. 교실 밖 탐험적 진로교육 강화 131 5. 중·고등학교 진로교육의 지역격차 및 소득격차 해소 133 제5장 지역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교육 활성화 제1절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교육 활성화 현황 138 1. 지역별 경쟁력 제고를 위한 변화 138 제2절 지역경쟁력 차원에서 본 지역 공교육의 문제점 152 1. 학교 교육 과정 운영에서의 문제 152 2. 진로 교육의 정보 부족 및 지역자원 활용 면에서의 문제 154 제3절 지역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교육 운영 사례 157 1. 교육복지투자 우선 지역 학교 사례 157 2. 특화 사업 추진 운영 사례 164 3. 문화 예술 교육 사례 169 4. 농어촌지역 신설학교 사례 172 5. 교육청 정책 지원 사례 180 6. 기타- 교육 운영 차별화 학교 사례 183 제4절 지역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185 1. 교육청이 바라는 공교육 정책 방안 185 2. 학부모가 바라는 공교육 정책 방안 189 3. 학계 및 교사가 바라는 공교육 정책 방안 195 4. 지자체가 바라는 공교육 정책 방안 200 5. 학교장이 바라는 공교육 정책 방안 202 6. 기업이 바라는 공교육 정책 방안 203 참고문헌 206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학교와 지역 사회 관계를 위한 지역 사회 관계 활용에 대한 현황을 우선 고찰하고, 둘째, 현황에 기초하여 방과 후 학교, 진로 교육을 포함한 학교- 지역 사회 관계(자원) 활용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며, 셋째, 학교 교육 과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지역 사회의 자원의 성공적인 활용 사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넷째, 학교-지역사회 관계 발전 및 자원활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개선 방안을 교육공동체 구성원의 입장에서 모색하였다.
<표 2-1> 전국 청소년 수련 시설 현황․10 <표 2-2> 소방 방재청 안전교육의 학생 참여 실적․11 <표 2-3> 전국 학교운영위원 현황․13 <표 2-4> 특별교실 수 보유현황 및 부족실태(서울지역 중학교)․14 <표 2-5> 중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실천․15 <표 2-6> 특별프로그램 실시 및 참여 현황․16 <표 2-7> 체험학습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19 <표 2-8> 학교볼런티어의 4가지 형태․24 <표 2-9> 청계 학교 볼런티어 활동 상황․26 <표 2-10> 교사 연수 실시 상황표․28 <표 2-11> 학부모와 볼런티어 연수 상황표․28 <표 2-12> 지역협동 특별활동 부서․30 <표 2-13> 학교 운영 위원회와 학교 교육과정 위원회의 비교․45 <표 2-14> 학교급별 학교안전사고 발생현황․51 <표 3-1> 방과 후 학교 학생 참여율․55 <표 3-2> 2008년 방과 후 학교 내용별 강좌현황․56 <표 3-3> 서울시내 강좌당 수강비․56 <표 3-4> 초등학교 취학 직전 유아교육·보육 기관 취원아동 현황․57 <표 3-5> 유치원,어린이집,초등학교 1학년의 하교시간 비교․57 <표 3-6> 서울시내 방과 후 학교의 강좌당 평균 수강비․58 <표 3-7> 방과 후 학교 참여율 비교․63 <표 3-8> 방과 후 학교 내용별 강좌 현황․64 <표 3-9> 방과 후 학교 관리 부서별 강좌 현황․65 <표 3-10>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위탁운영 현황․69 <표 3-11> 교육문화관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참여 현황․70 <표 3-12> 수영장 이용 현황․70 <표 3-13> 주중 수영 수업시간 강사료의 학교운영비 지원 현황․71 <표 3-14> 방과 후 학교 자유수강권 대상자 현황․73 <표 3-15> 초등학교 학생의 학교 생활 시간표의 예․96 <표 3-16> 중학교 학생의 학교 생활 시간표의 예․97 <표 4-1> 진로교육 편성 및 운영 현황․101 <표 4-2> 학교의 진로교육 관련 인력 현황․102 <표 4-3> 진로교육 연수 과정 현황․102 <표 4-4> 자격연수 과정의 진로교육 할당 시간․105 <표 4-5> 사이버상담 현황․108 <표 4-6> 2006년 기준 농산어촌 학교 실태․135 [그림 3-1] 방과 후 학교 추진 경과․53 [그림 3-2] 방과 후 학교 참여 학생 비율 및 지역별 참여율 비교․63 [그림 3-3] 돈암초의 방과 후 학교 운영 프로그램․6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미래인재육성을 위한 학교-지역사회 관계발전 연구 | 2009.03.20~200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