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녹색성장 분야 인력양성방안 연구 : 그린카를 중심으로
A Study for Manpower Cultivation Plan in Low Carbon Green Growth
- 저자
- 황규희 이상돈 이수영 이중만 박재민 김선우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0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2.31
- 등록일
-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녹색성장그린카전문인력 양성
요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제2절 연구목적과 연구질문 4 제3절 연구 방법 5 제2장 관련 연구 검토 제1절 녹색성장 관련 동향 11 제2절 녹색성장 관련 인력양성 연구 19 제3절 자동차 산업 관련 연구 24 제3장 자동차 산업에서의 그린카 경쟁 제1절 자동차산업 개괄 33 제2절 그린카 개발 45 제3절 그린카 시장전망 55 제4절 그린카 기술경쟁 과제 58 제4장 그린카 경쟁과 인력수요 변화 제1절 기술전문직 변화 63 제2절 인력 수요 변화 66 제3절 관련 업체 요구 68 제5장 그린카에서의 기술 변화와 대응 현황 제1절 그린카 핵심기술 요구분석 79 제2절 기술 영역별 대학 교과요구 89 제3절 대응에 대한 평가 100 제6장 그린카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교과구성 개선방안 제1절 교과구성을 위한 기초분석 113 제2절 상품 기준 필요과목 구성 124 제3절 학과별 기술트랙 제안 129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SUMMARY 153 <부록> 대학 교과분석 표 159 <부록 1> 하이브리드카(HEV) 대응 161 <부록 2> 연료전지 자동차(FCEV) 대응 163 <부록 3> 지능형 자동차(IV) 대응 165 <부록 4> 학과별 과목표 167 참고문헌 169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그리카 관련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과과정 개선의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기술의 등장에 대응하여 미래 숙련수요의 관점에서 인력양성을 어떻게 모색할 것인지 하는 모형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이러한 분석체계는 그린카 전문기술인력양성에서만이 아니라, 여타 녹색기술부문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린카 관련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위해서 현재 기초적인 과목 위주로 개설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좀 더 적극적으로 융합과목의 증설 및 학과간 연계프로그램의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미래형 기술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요청된다. 동력시스템, 차체샤시시스템, 전기전자시스템으로 구분되어 특화된 인력양성이 도모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현재의 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재료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각각에서 자기전공에 기반하여 타 전공과목의 기본사항을 흡수 할 수 있는 이중전공제의 개발이 요청된다. 이때, 이러한 이중전공제의 도입과 함께 이러한 기술융합사항을 전수 할 수 있는 교원을 확보하고 적합한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 함께 도모되어야 할 것이다. ○ 주요내용 - 그린카 핵심기술 요구분석 - 기술 영역별 대학 교과구성 대응에 대한 평가 - 학과별 기술트랙 제안 - 미래숙련 수요에 대응한 인력양상 방안 개발 모형
This study had sought action plans of improving university curriculum for cultivating Green car related professional technicians (undergraduate level) with a focus on automobile industry. At the 1st stage of the study, it identified elemental technologies for Green car development and calculated the ability level that should be equipped after 10 years in the future by Green car personnel. And it also analyzed the matching level of current university curriculum in response of that. At this phase, not only the response of domestic universities but the trend of U.S. and Japan, where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Green car is active, was compared, and the necessary items for supplement in domestic university curriculums were identified. At the 2nd stage of the study, it present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linked track among departments and how developing track can be proposed, if so. ...
<표 1-1> 탄소규제 의무이행 대상국에 편입 시 업종에 따른 전망․4 <표 1-2> 필요교과 유무에 대한 판별 예시․8 <표 2-1> 녹색산업 및 분야별 대표직종․12 <표 2-2> 녹색성장 5개년 계획(’09∼’13)․14 <표 2-3> 미국과 한국의 녹색성장전략 비교․14 <표 2-4> 녹색성장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15 <표 2-5> 녹색성장 추진 전략․15 <표 2-6> 미국 EDF의 녹색 직업 분류․20 <표 2-7> Williams(2009)의 녹색 직업 분야․21 <표 2-8> 한국고용정보원이 선정한 신성장동력 직업 55가지․22 <표 3-1> 자동차산업의 부가가치․37 <표 3-2> 자동차산업의 수출액․38 <표 3-3> 산업별 영향력계수 및 감응도계수․41 <표 3-4> 업종별 종업원 수․43 <표 3-5> 장기유가 전망․47 <표 3-6> 하이브리드자동차의 국내시장 전망․57 <표 3-7> 연료전지자동차의 국내시장 전망․57 <표 3-8> 미래 자동차 시장을 선도할 그린카 전망 결과․61 <표 4-1> 자동차 산업에서 한국이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경우․67 <표 4-2> 자동차 산업에서 한국이 핵심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67 <표 4-3> 친환경-저에너지 차량 개발에 대한 향후 5년 이내 대응계획 1순위․69 <표 4-4> 울산대학교 ‘자동차 R&D 전문인력 및 전문기술인력양성사업’․76 <표 4-5> 자동차 의장․편의 시스템 부품 인력양성사업․77 <표 5-1> 그린카 관련 핵심기술사항․80 <표 6-1> 하이브리드자동차이수필요 교과목․125 <표 6-2> 연료전지자동차 이수필요 교과목․126 <표 6-3> 지능형자동차 이수필요 교과목․127 <표 6-4> 기계과 차체섀시시스템 트랙․134 <표 6-5> 기계과 동력시스템 트랙․135 <표 6-6> 기계과 전기전자시스템 트랙․136 <표 6-7> 재료과 차체섀시시스템 트랙․137 <표 6-8> 재료과 전기전자 시스템 트랙․138 <표 6-9> 재료과 동력시스템 트랙․139 <표 6-10> 화공과 차체섀시시스템 트랙․140 <표 6-11> 화공과 전기전자시스템 트랙․141 <표 6-12> 화공과 동력시스템 트랙․142 <표 6-13> 전자과 차체섀시시스템 트랙․143 <표 6-14> 전자과 전기전자시스템 트랙․144 <표 6-15> 전자과 동력시스템 트랙․145 [그림 1-1] 연구 흐름도․7 [그림 1-2] 대학 교과체계 개선 제안양식(1)․10 [그림 1-3] 대학 교과체계 개선 제안양식(2)․10 [그림 3-1] 자동차부품산업 가치사슬 흐름도와 충남 자동차산업의 특화분야․35 [그림 3-2] 자동차산업의 부가가치․37 [그림 3-3] 자동차산업의 수출액․38 [그림 3-4] 종합공업으로서의 자동차산업․39 [그림 3-5] 산업별 영향력계수 및 감응도계수․42 [그림 3-6] 업종별 종업원 수․43 [그림 3-7] 자동차산업의 직․간접 고용인원․44 [그림 3-8] WTI 유가 추이․46 [그림 3-9] 미국 - 하이브리드자동차 판매와 점유율 추이․46 [그림 3-10] 세계 자동차 시장 전망․56 [그림 3-11] 자동차 부품업체 그린 네트워크․60 [그림 3-12]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현재, 2020년)․61 [그림 3-13] 그린카 산업 발전을 위한 개선과제․62 [그림 6-1] 하이브리드 자동차 교과과정 이수표(대학 표준)․114 [그림 6-2] 그린카(연료전지) 교과과정 이수표(대학표준)․118 [그림 6-3] 지능형자동차 교과과정 이수표(대학 표준)․121 [그림 6-4] 상품에 기반한 다학제 교과과정 구성․130 [그림 6-5] 기술분야별 교과과정 구성․13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저탄소 녹색성장분야 인력양성방안 연구 | 2009.01.01~200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