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식 역량 강화를 위한 효율적인 금융교육 체제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cy Financial Education System for Strenghting Financial Knowledge
- 저자
- 이남철 전현중 조준모 김장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0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1.30
- 등록일
-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금융교육경제교육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5 1. 문헌분석 5 2. 국내 실태 조사 6 3. 전문가 협의회 7 4. 정책 토론회 7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 8 제2장 이론적 분석 제1절 금융지식 함양에 대한 선행연구 9 제2절 금융교육의 정의와 역할 12 제3절 금융이해력(FQ) 14 1. 청소년 금융이해력 측정 14 2. 삼성경제연구소 경제교육 설문조사 20 3. NFCC(National Foundation for Credit Counseling) 2009 소비자 금융이해력 조사(Consumer Financial Literacy Survey) 21 제3장 금융지식 역량 강화를 위한 금융교육 체제 현황과 문제점 분석 제1절 금융지식 역량 강화를 위한 금융교육 체제 현황 분석 31 1. 공공기관 31 2. 금융기관 및 금융단체 44 3. 사회기관 및 언론기관 52 4. 민간기관 56 5. 국내 금융교육의 문제점과 시사점 60 제2절 국내 금융교육 실태조사 분석 61 1. 조사 대상자의 배경 정보 61 2. 금융지식 수준 64 3. 금융교육 현황 수준 67 4. 금융교육 체제 구축 방안 74 제3절 금융지식 역량 강화를 위한 금융교육 체제 문제점 분석 81 1. 금융지식 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 경제교육의 문제점 81 2. 금융지식 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 경제교육 외 금융교육 문제점 89 제4장 주요국의 금융교육 체제 분석 제1절 주요국의 금융교육제도 및 운영현황 94 1. 미국 94 2. 캐나다 106 3. 영국 113 4. 프랑스 120 5. 유럽연합(European Union, EU) 126 6.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29 7. 기타 주요국의 금융교육 131 제2절 우리나라 금융지식 역량강화를 위한 금융교육에 주는 시사점 134 제5장 금융지식 역량 강화를 위한 금융교육 체제 구축방안 제1절 금융지식 역량 강화를 위한 금융교육 개선 방안 137 1. 금융교육 정보(홍보) 전달 체계 확립 137 2. 금융교육 이해력 평가를 통한 금융교육 내실화 138 3. 공공 금융교육 전문기관을 통한 금융교육 138 4. 금융교육 전문가 양성 및 활용 139 5. 다양한 교육방법과 대상을 위한 금융교육 139 6. 금융교육 내용 강화 140 7. 지역 금융교육 강화를 위한 지역 금융교육 패키지 제공 및 금융교육기관들의 파트너십 구축 140 8. 학교교육에서 금융교육 강화 140 제2절 금융지식 역량 강화를 위한 금융교육 체제 142 1. 금융교육체제의 의의 142 2. 현행 금융교육체제의 현황과 문제점 143 제3절 새로운 금융교육지원 체제 모형 145 1. (가칭) 한국금융교육개발원 설치 및 운영 145 2. 금융교육 품질 국가 공인제 실시 146 3. 금융교육 강사 자격 국가인증제 도입 146 4. 국가 차원의 금융교육 통합 운영 체제 146 제6장 결론 SUMMARY 155 <부록 1> 경제교육지원법 및 시행령 159 <부록 2> 청소년금융이해력 설문지(고등학생/2009) 171 <부록 3> 청소년금융이해력 설문지(초등학생/2008) 181 <부록 4> 청소년금융이해력 설문지(중학생/2007) 191 <부록 5> 금융교육 실태 설문조사 201 참고문헌 211
최근 미국 발 금융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개개인의 '금융에 대한 이해력 부족'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한 국가 내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할 경우, 특정 경제 분야나 금융시스템은 물론 글로벌 경제와 금융위기까지 심화시킬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들의 금융이해력이 미흡할 뿐만 아니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금융교육 체제도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금융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모두 인식하고 있지만, 민간·정부 등 각 주체에 따라 다른 관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결국 금융이해력 제고를 통한 금융역량 강화는 국가적인 차원의 금융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금융지식 함양이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초석이 된다는 점에 유의하여, 민·관·연 협력을 통한 효율적인 금융교육 체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 주요내용 - 금융교육의 정의와 역활 - 금융지식 역량 강화를 위한 금융교육 체제 현황과 문제점 분석 - 주요국의 금융교육 체제 분석 - 금융지식 역량 강화를 위한 금융교육 체제 구축방안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cy financial education system for enforcing financial knowledge.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seek to provide alternatives or ways to improve financial education. The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to helping consumers make appropriate decisions with respect to financial circumstances and risk. The major study method were the previous research and government policy review, the field survey, in-depth interview, and case study of U. S. A. U. K. EU countries. As the financial industry is evolving into a more knowledge-based industry. The future competitiveness of financial institutions in Korea will depend on having financial professionals with skills in risk- management, customized product development, accommodation of customer needs, and diversification of income sources. According to a our survey in 2009, attracting financial talent with a global perspective and insight was deemed to be the most urgent and essential element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financial industries. The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by the governments, financial institutes, citizen of Korea. In response to this increased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the Korea need to establish a financial education system to improve financial knowledges. Financial education programs furnished by small,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financial institute, and consulting companies were reported to be unsystematic and not well-structured enough to train financial talent which is required by the market. In order to support the policy of MCHRD, and to enable to development of appropriate policie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a number of things; integration into the Korean society does not mean assimilation-MCHRD need to be enabled and supported in maintaining their culture, a legal framework which provides redress for discrimination is critical in ensuring that MCHRD are treated equal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at all levels, from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 and on broad societal attitudes as well as on the problems of individuals if multiculture family are to come feel at home in their new society.
<표 1-1> 금융교육 운영 및 지원체제 실태조사 대상․6 <표 2-1> 우리나라 초등학생 금융이해력․16 <표 2-2> 우리나라 중학생 금융이해력․17 <표 2-3> 우리나라 고등학생 금융이해력․19 <표 2-4> 설문문항 및 설문보기․22 <표 3-1> 경제교육협의회 참여기관․32 <표 3-2> 「한국은행 경제교육 홈페이지」 콘텐츠 현황․35 <표 3-3> 2009년도 금융교육 시범학교․37 <표 3-4> 금융교육 시범학교 교육 내용․38 <표 3-5> 소비자단체 상담직원을 위한 금융교육․39 <표 3-6> 농업기술센터의 농어촌 주민 대상 금융교육․40 <표 3-7> 금융감독원 금융교육연인원․41 <표 3-8> 최근 3년간 시범학교 교육실적․42 <표 3-9> 한경 경제교실 홈페이지 구성․55 <표 3-10> ‘틴 매일경제’ 내용 및 활용방법․56 <표 3-11> JA Korea 대상별 프로그램 내용․58 <표 3-12> 응답자 특성․63 <표 3-13> 금융이해력 수준 평가․64 <표 3-14> 금융이해력 수준 비교․65 <표 3-15> 금융지식 경로․66 <표 3-16> 금융교육 효과 동의 여부․67 <표 3-17> 금융교육 인지 유무․68 <표 3-18> 금융교육 참여 유무․68 <표 3-19> 금융교육 참여 후 유용 정도․69 <표 3-20> 금융교육 불참여 이유․70 <표 3-21> 금융교육 실시 기관 인지 여부․71 <표 3-22> 금융교육 필요도․72 <표 3-23> 금융교육 만족도․73 <표 3-24> 금융교육 보완 사항․74 <표 3-25> 금융교육 참여 우선 고려사항․75 <표 3-26> 금융교육 참여시 선호 비용․76 <표 3-27> 금융교육 참여시 선호 장소․77 <표 3-28> 금융교육 참여시 선호 주체․78 <표 3-29> 금융교육 참여시 선호 내용․78 <표 3-30> 금융교육 참여시 선호 교육 방법․79 <표 3-31> 금융교육 참여시 선호 방법․80 <표 3-32> 금융교육 대상․81 <표 3-33> 7차 대(對) 8차 교육과정의 경제교육 시수 편제 비교․82 <표 3-34>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총론 시간’의 주요 내용․83 <표 3-35> 경제교육 교사의 대학전공과목․84 <표 3-36> 중학교 사회교과서의 시장경제 및 기업 관련 내용 비교․85 <표 3-37>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의 시장경제 및 기업 관련 내용 비교․87 <표 5-1> EC 회원국들의 금융교육 실시 사례․129 [그림 3-1] 미래에셋 금융교육 현황․52 [그림 4-1] 영국의 초․중․고교 소비자 교육 구조․115 [그림 4-2] OECD의 금융교육 주제․131 [그림 5-1] 국가 차원의 운영체계 통합 구축(잠정 예시 안)․14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금융지식 역량강화를 위한 효율적인 금융교육 체제 구축 방안 연구 | 2009.01.01~2009.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