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고용역량 강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
Job Strategy through Firm Employment Capability Building
- 저자
- 김영생 박승찬 임찬빈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1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1.30
- 등록일
-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고용역량일자리 창출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 1. 연구내용 2 2. 연구방법 9 3. 고용전략 제시 및 정책적 시사점 13 제2장 기업 고용역량과 일자리 제1절 경제위기와 일자리 15 1. 세계금융위기와 일자리 부족 15 2. 근로실태 및 삶의 질의 관점에서 기업의 고용역량 20 3. 일자리 문제의 환경요인 24 제2절 고용역량 관련 이론적 검토 25 1. 고숙련 사회 생태계(High skills society) 26 2. 고숙련 사회의 능력(Societal capability)과 고용정책 39 3. 고성과 작업장(High Performance Workplace) 53 4. 사람 중심(인간주의) 경영 55 5. 일하기 좋은 기업(Great Place to Work) 61 제3절 고용문제 해결을 위한 일자리 전략 68 1. 일자리 전략의 접근방법 68 2. 일자리 전략의 유형 71 3. 외국의 일자리 전략 사례 77 제3장 기업사례 분석 제1절 고용역량 분석의 사례분석 프레임웍 85 1. 기업의 고용역량의 구조와 구성요소 85 제2절 기업 사례 94 1. 신창전기: 공동체 문화회복으로 위기극복을 위한 고통분담 95 2. 락앤락: 지속성장을 위한 인적자원 투자 및 평생학습 시스템 도입 99 3. 경인양행: 고숙련 확보와 임금부담 완화를 위한 임금피크제 105 4. 노루페인트: 노경신뢰 바탕에서 노조리더십 발휘로 위기돌파 108 5. 동서신의학병원: 전문화 및 업무 집중도 향상을 위한 단기근무 115 6. 하이닉스: 생산 구조조정에 대응하는 인적자원 전환 및 능력개발 119 7. LG전자: 조직혁신 역량 강화를 통한 혁신인력 강화 122 8. 캐프(CAP): 위기 이후를 대비한 인적자원 유지 및 능력개발 127 제3절 공격적 일자리 전략 사례 131 1. D제강: 선제적 인적자원 투자 및 현장혁신을 위한 교대제 도입 131 2. 일본전산: 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통한 공격적 고용창출 136 3. 코스트리: 기업가 정신을 통한 공격적 확장 151 4. Ultimate Software: 2009년 가장 근무하고 싶은 중소기업 162 제4절 기업사례의 요약과 시사점 168 1. 기업체 사례 종합표 168 2. 결론 및 시사점 194 제4장 기업의 일자리 역량에 관한 실증분석 제1절 기업의 고용역량과 기업요인 203 1. 실증분석의 필요성 203 2. 분석의 방법 204 3. 연구모형과 가설 204 4. 연구 가설의 검증 209 5. 연구가설 검증결과 요약 및 소결 224 제5장 시사점 및 정책방안 제1절 결론 및 시사점 239 1. 일자리 창출 239 2. 고용안정성 246 3. 고용의 질 250 제2절 정책방안과 적용방안 255 1. 기업 규모별 일자리 정책의 필요성과 관련 요소 255 2.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정책방안 259 SUMMARY 267 <부록> 기업고용역량 사례 정리 271 참고문헌 371
본 연구는 일자리 창출에 가장 직접적인 기업의 고용역량 강화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먼저 고용관련 우수기업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요인으로 기업의 고용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업고용 역량 모델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기업패널자료(HCCP)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을 시도 하였다. 기업의 고용역량은 기업 내부 역량의 전체적인 상호작용의 결과이고, 기업 사례의 요소별 관련성과 상호작용의 패턴은 유사한 경우가 있으나, 실제 고용역량을 산출은 기업별로 매우 독특하고, 기업전략은 고용역량의 방향과 규모에 결정적인 역활을 하며, 기업문화와 경영자의 특성 및 노사관계는 고용전략의 선택에 중요하고, 특히 협력적인 조직문화는 기업의 인적자원 투자의 기본전제이다. 실증 분석에 활용된 연구모형은 투입은 인적자원, 지배구조, 기업문화와 기술, 과정은 기업전략, 조직구조, 경영자, 숙련과 능력개발, 인사제도, 결과는 고용역량의 세 가지 요소인 고용창출, 고용안정성 및 임금과 복지로 구성되었다. 기업의 고용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은 기업생태계와 SCM의 반영한 고용정책, 중소기업 고용지원 맞춤형 지원, 중소기업의 녹색성장과 일자리 창출전략 제시하였다. ○ 주요내용 - 기업 중심의 고용전략 수립의 필요성 - 고용역량의 중요성과 구성요소 - 우수고용 기업사례의 시사점 -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고용역량의 결정요소의 차별성 - 기업고용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정책 - 중소기업의 녹색성장과 고용지원 정책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research is to review comprehensively firm employment capability, and identify the main factors of employment capability, therefore, several policy suggestions have developed. Many researches, focused on macro socio-economic analysis of employment based on labor economist disciplines, concluded that the firm ability is supposed to be the main topic of employment or job strategy researches. However, most job strategy researches have overlooked firm employment capability. With these regards,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analyze firm capability which creates jobs. Main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rooted in ground-theory development because it was hard to find the researches focusing on firm employment capability. The firm employment capability i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Firstly, job creation which creates new jobs, secondly, job stability which continuesemployment, thirdly, job quality which relates to decent job, such as, fair reward, welfare and humane workplace condition. 21 cases of best firm practice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in order to identify any common factors related to the three employment components. The result of the case analysis are that firstly, employment capability is results of interaction between firm factors and government policies, secondly, there are some similar patterns identified among the cases, but each case has unique features when we look at microscopic lenses. Thirdly, firm competitive strategy seems directly not affected the firm employment, however, it defines the nature of employment. Lastly, cooperative culture and entrepreneurial management are the most critical factors tothe employment capability. The model of firm employment capability, constructed of the factors identified by the cases reviews, were tested with 2007 HCCP DB. Thirteen factors including firm culture, skill training, control structure, were proved by the test. Three policy suggestions are produced. First, packaged employment policy reflected industry ecosystem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econd, customized policy to SMEs, thirdly, job strategy based on green growth policy.
<표 1-1> 기업의 고용역량의 분석틀․8 <표 1-2> 기업고용역량 구성요소 및 지표․12 <표 2-1> 경제성장의 고용탄력성 국가별 비교․19 <표 2-2> 임금 연공성의 국제비교(남성, 제조업)․24 <표 2-3> 우리나라 일자리 나누기 참여 현황: 2009. 4. 9 현재․83 <표 3-1> 4조 2교대 도입 전후 비교․133 <표 3-2> 신창전기․168 <표 3-3> 락앤락․170 <표 3-4> 경인양행․172 <표 3-5> 노루페인트․174 <표 3-6> 동서신의학병원․177 <표 3-7> 하이닉스 반도체․179 <표 3-8> LG전자․181 <표 3-9> 캐프․183 <표 3-10> D제강․185 <표 3-11> 일본전산․187 <표 3-12> 코스트리․189 <표 3-13> Ultimate Software․191 <표 3-14> 기업체 사례 종합표․193 <표 3-15> 일자리 성과․194 <표 4-1> 변수지정․206 <표 4-2> 응답기업현황․210 <표 4-3> 기업 규모 및 협력업체 여부․210 <표 4-4> 경영체제 및 환경변화․211 <표 4-5> 시장 및 기술변화․212 <표 4-6> 인적자원 조직과 노사관계․212 <표 4-7> 기업규모와 고용의 질․213 <표 4-8> 기업규모와 이직률․214 <표 4-9> 기업규모와 고용의 창출․214 <표 4-10> 각 요소별 회기분석 결과․215 <표 4-11> 각 요소별 회기분석 결과․216 <표 4-12> 투입요소별 회기분석 결과․217 <표 4-13> 각 요소별 회기분석 결과․217 <표 4-14> 각 요인별 회기분석 결과․218 <표 4-15> 각 요소별 회기분석 결과․219 <표 4-16> 각 요소별 회기분석 결과․220 <표 4-17> 각 요소별 회기분석 결과․221 <표 4-18> 각 요소별 회기분석 결과․222 <표 4-19> 각 요소별 회기분석 결과․222 <표 4-20> 각 요소별 회기분석 결과․223 <표 4-21> 각 요소별 회기분석 결과․224 <표 4-22> 투입 및 프로세스 요소별 검증결과 요약․225 <표 4-23> 기업의 요인이 일자리 역량에 미치는 효과: 고용의 질․228 <표 4-24> 기업의 요인이 일자리 역량에 미치는 효과: 이직률․229 <표 4-25> 기업의 요인이 일자리 역량에 미치는 효과: 일자리 창출․230 <표 4-26> 300인 이상 기업에서 이직율에 대한 회기분석 결과․232 <표 4-27> 300인 이상 기업에서 일자리 창출에 대한 회기분석 결과․233 <표 4-28> 300인 이상 기업의 고용의 질에 대한 회기분석 결과․234 <표 4-29> 300인 이하 기업에서 일자리 창출에 대한 회기분석 결과․235 <표 4-30> 300인 이하 기업에서 고용의 질에 대한 회기분석 결과․236 <표 4-31> 300인 이하 기업에서 이직율에 대한 회기분석 결과․237 <표 4-32> 회기분석 결과 유의한 변인 표․238 <표 5-1> 일자리 창출 관련 요인의 해석과 시사점 요약․245 <표 5-2> 고용의 안정성 관련 요인 및 시사점․249 <표 5-3> 고용요소 관련성 및 시사점․255 <표 5-4> 투입 및 프로세스 요소별 검증결과 요약(1)․256 <표 5-5> 투입 및 프로세스 요소별 검증결과 요약(2)․257 [그림 1-1] 이론적 배경과 고용역량의 구성요소의 관련성 요약․4 [그림 2-1] 일자리 부족 실태․16 [그림 2-2] 경제성장률 분기별 추이․17 [그림 2-3] 고용률과 실질 국민총소득(GDP)의 추이․18 [그림 2-4] 1인당 GDP(US $)와 고용률(15∼64세): 2007년 기준․18 [그림 2-5] 2007년 연평균 근로시간․21 [그림 2-6] 주요 선진국의 연간 근로시간 추이․21 [그림 2-7] OECD 국가들의 고용률과 단시간 근로 비율: 2007년․23 [그림 2-8] 고숙련 사회 생태계의 구성요소와 구조․27 [그림 2-9] 고숙련 사회의 개념변화․33 [그림 2-10] 100위권 기업 수익률 비교․63 [그림 2-11] 일하기 좋은 기업모델․65 [그림 2-12] 기업 신뢰지수 관계도․6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기업의 고용역량 강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 | 2009.01.01~2009.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