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직업교육을 위한 특수대학원 개선방안 연구
Measures of Improving Special Graduate Schools for Higher Vocational Education
- 저자
- 정지선 이기성 이남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1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1.30
- 등록일
-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고등직업교육특수대학원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3 제3절 연구의 내용 3 제4절 연구 방법 4 제2장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특수대학원 제1절 고등교육 수요의 증가 11 제2절 대학원의 유형 및 개념 13 제3절 특수대학원의 설립요건과 학위규정 19 제3장 외국 대학원 교육의 사례 및 시사점 제1절 미국의 대학원 교육제도 28 제2절 호주의 대학원 교육제도 48 제3절 외국 대학원 교육의 시사점 79 제4장 특수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 제1절 특수대학원의 일반적 현황 83 제2절 특수대학원 교육 CIPP 분석의 틀 93 제3절 특수대학원 교육의 현황 분석 98 제4절 특수대학원 운영상의 문제점 122 제5장 고등 평생학습기관으로서의 특수대학원 개선방안 제1절 성인학습대학원으로의 발전방안 132 제2절 정부의 행ㆍ재정적 지원방안 137 제3절 특수대학원의 평생학습 프로그램 내실화 방안 141 제4절 Work-to-school 내실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방안 145 제5절 특수대학원 개선방안의 장ㆍ단기적 주체별 분류 152 제6장 요약 및 결론 제1절 요약 153 제2절 결론 155 SUMMARY 159 <부록 1> 특수대학원 CIPP 모형에 따른 면담 내용의 틀 165 <부록 2> 특수대학원 면담조사지 169 2-1. 정부부처 담당자 대상 면담조사지 169 2-2. 교학과장 대상 면담조사지 170 2-3. 교수 대상 면담조사지 174 2-4. 재학생 대상 면담조사지 177 2-5. 졸업자 대상 면담조사지 181 <부록 3> 특수대학원의 종류와 설립목적 185 참고문헌 215
특수대학원의 난립으로 학벌주의에 편승하여 사회의 수요와 무관하게 석사학위가 남발되어 왔다. 특수대학원은 설립준칙주의에 의하여 설립이 용이하지만 학생의 학위취득 목적과 대학의 재정 보완수단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특수대학원의 경우 학문중심의 일반대학원이나 전문대학원과 차별화되는 종합적 발전계획을 수립하여 2년의 석사학위 과정으로 짜여진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학습수요에 부응하는 성인의 평생학습대학원으로 특성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특수대학원 교육 관리방으로 평가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특수대학원은 대졸 학력자들이 직업능력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자경증과정, 단기과정, 시간제, 무학점과정, blended learning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병행하여 근로자 개인의 여건 및 필요에 적합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직업 경험을 바탕으로 학부 성적이나 필기시험이 아닌 진로계획과 학습계획을 평가하는 타당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특별전형을 확대하여 합리적인 입학절차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주요내용 - 고등직업교육 수요의 증가와 특수대학원 현황 - 특수대학원 설립요건과 학위규정 - 성인학습대학원으로의 발전방안 - 특수대학원의 평생학습 프로그램 내실화 방안 - Work-to-school 내실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방안
In general graduate education programs are classified into Graduate School,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and Special Graduate School. The aim of education of Special Graduate Schools is to provide continuing education to adults and employees who try to develop professional skills and seek the Master's Degree. The education program of special graduate schools has been criticized inefficiency and unsystematic administration while number of special graduate schools have increased tremendously. This study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ctivation of work-to-school function of special graduate schools by eliciting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investigating the situations and problems of operation of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s employed are domestic and oversea literature survey, gathering statistical data, council meetings,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ors, administrators, students, graduates. ...
<표 1-1> 지역별 특수대학원 재적학생 수 분포․6 <표 1-2> 지역별 계열별 특수대학원 학생 비율․7 <표 1-3> 면담조사 대상자․8 <표 2-1> 대학원 유형의 특징․15 <표 2-2> 연도별 대학원 유형의 증가 추세․16 <표 2-3> 설립 주체별 유형별 대학원의 수․17 <표 2-4> 대학원 유형별 입학 정원․19 <표 3-1> 고등교육기관 수(자격 기준 분류)․36 <표 3-2> 고등교육기관 수(기관 성격, 공․사립 기관 분류)․36 <표 3-3> 최근 고교졸업자의 대학진학률․37 <표 3-4> 등록학생 수․38 <표 3-5> 학위수여기관에의 등록학생 수(30세 이상)․39 <표 3-6> 자격별 취득 학생 수 추이․41 <표 3-7> 자격취득 학생 수․59 <표 3-8> 자격 취득 학생 수(연령대 기준)(2007년)․60 <표 3-9> 고등교육 과정 입학 학생 수(연령대 기준)(2007년)․61 <표 3-10> Full-Time과 Part-Time의 과정 이수 기간(예)․65 <표 3-11> 개설 자격과정에 따른 입학자격 등의 차이․65 <표 3-12> 고등교육 승인에 관한 국가 규약 중 규약 A의 내용․67 <표 3-13> RMIT 대학의 대학원 과정(Coursework 과정)․68 <표 3-14> Griffith University의 Business and Commerce 대학원 과정․71 <표 3-15> Griffith University의 교육학 분야 대학원 과정․73 <표 3-16> Griffith University 대학원 교육학과정의 특징․74 <표 3-17> 연방정부 재정지원 학생 정원과 지원 금액(2007)․76 <표 4-1> 특수대학원 계열별 학과수 및 학생수 현황(2008)․85 <표 4-2> 특수대학원 지역별 현황 (2008)․86 <표 4-3> 학부와 다른 전공 선택 이유․87 <표 4-4> 석사과정 진학동기․88 <표 4-5> 교육비 충당 방법․89 <표 4-6> 취업기관 유형․90 <표 4-7> 취업정보 출처․91 <표 4-8> 석사학위의 효용성․92 <표 4-9> 학교교육과 현장의 괴리 정도․112 <표 5-1> 주체별 장․단기적 개선방안․152 [그림 2-1] 연도별 대학원 추세․17 [그림 3-1] 미국의 교육구조(4대 영역을 중심으로)․32 [그림 3-2] 미국의 교육구조(자격제도 중심)․34 [그림 4-1] 특수대학원 분석 모형․9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고등직업교육을 위한 특수대학원 개선방안 연구 | 2009.01.01~2009.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