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기초학습능력 관련 용어 정의․8
<표 2-2> 기초학습능력의 개념․10
<표 2-3> 기초학습능력의 개념적 특성․11
<표 2-4>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기대하는 성취 수준의 일반적인 특성 및 수준별 분할점수․15
<표 2-5> 학교의 목적 유형별 고1 학생 성취 수준 비율 추이․16
<표 2-6> 전문계 고등학교의 특수학급 및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 현황․17
<표 2-7> 현행 제7차 교육과정 편제상의 일반계 고교 대비 전문계 고교의 기초교과목 편성․19
<표 2-8> 연간 최소 수업 시간 수 초과 운영 교과 및 활동 현황․20
<표 2-9> 연간 최소 수업 시간 수 초과 운영 현황․21
<표 2-10> 연속적으로 편성ㆍ운영[블럭 타임 운영]하는 국민공통기본교과 및 활동 운영 현황(복수응답)․21
<표 2-11> 연속적으로 편성․운영[블럭 타임 운영]하는 국민공통기본교과 및 활동 운영 시간 현황․22
<표 2-12> 주 5일제 수업으로 1학년에 운영하는 국민공통교과 및 활동 시간 수 감축 운영 현황․23
<표 2-13>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는 교과의 수업 방식․24
<표 2-14>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는 교과의 수업 분반 방식․25
<표 2-15> 수준별 수업을 위해 학습 자료 사용 현황(복수응답)․25
<표 2-16> 교육과정에 예시된 과목 이외의 학교 자체 개설 과목 유무․27
<표 2-17> 교육과정에 예시된 과목 이외의 학교 자체 개설 과목 유형(복수응답)․27
<표 2-18> 선택과목에 배당된 136단위 중 시․도 교육청, 학교 및 학생 선택 지정 단위 수․28
<표 2-19> 선택과목에 배당된 136단위 중 전문교과와 보통교과의 이수 단위 수․29
<표 2-20> 과정 설치 및 선택 과목에 대한 의견 조사․30
<표 2-21> 재량활동 시간 배당 현황․31
<표 2-22> 교과 재량활동 편성․운영 현황․32
<표 2-23> 미래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본 편제 방안․35
<표 2-24> 시․도 교육청 단위에서의 학습부진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 정책 현황․38
<표 2-25> 단위학교에서의 학습부진학생․43
<표 3-1> 교과성적과 Thurstone의 기초 지능 검사의 각 요인과의 상관관계․61
<표 3-2> 학습자, 학교, 가정 및 사회 관련 변인별 종합표․81
<표 3-3> 고등학교 계열별 현황․88
<표 3-4> 고등학생의 가정변인 현황․89
<표 3-5> 고등학생의 중학교 내신 성적 수준․91
<표 3-6> 가정변인별 전문계 고등학생의 중학교 내신 성적 수준․92
<표 3-7> 가정변인별 일반계 고등학생의 중학교 내신 성적 수준․94
<표 3-8> 고등학생의 공통교과목(국, 영, 수) 흥미정도․95
<표 3-9> 고등학생의 기초학습능력 공통교과 수업내용 이해 수준․96
<표 3-10> 고등학생의 교과 학업 시 기초교과목 부족에 대한 인식․97
<표 3-11> 가정변인별 고등학생의 교과 학업 시 기초교과목 부족인식․97
<표 3-12>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공통교과목(국, 영, 수) 수준․98
<표 3-13> 고등학생의 성적이 대학진학이나 취업 결정 시 주는 영향․99
<표 3-14>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교문화․101
<표 3-15> 교사가 소속된 학교의 학교문화 인식․101
<표 3-16>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 교장, 교감의 리더십 유형․103
<표 3-17> 고등학교 교사들의 학생수준과 특성에 대한 인식․105
<표 3-18>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가정문화․106
<표 3-19> 전체 성적 예측변인에 대한 전문계 및 일반계 고교생 비교․112
<표 3-20> 국어교과 성적 예측변인에 대한 전문계 및 일반계 고교생 비교․115
<표 3-21> 영어교과 성적 예측변인에 대한 전문계 및 일반계 고교생 비교․118
<표 3-22> 수학교과 성적 예측변인에 대한 전문계 및 일반계 고교생 비교․122
<표 3-23>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위계적 분석 결과 종합․128
<표 4-1>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참여 주체별 종합적인 추진 과제․136
<표 4-2> 기초학력 부진학생의 유형별 프로그램 전략(안)․141
<표 4-3> 학습부진학생 지원사업간 역할분담(안)․143
<표 4-4>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주요 추진 과제별 내용 및 예산․144
[그림 1-1] 연구방법 및 절차․6
[그림 2-1] 기초학습능력의 개념적 특성․11
[그림 2-2] 프로그램의 대상 및 대상별 프로그램 구성비․12
[그림 3-1] 학업성취 관련요인의 인과모형․83
[그림 3-2] 인지적 학업성취 결정요인 연구모형(모형1)․84
[그림 3-3] 비인지적 학업성취 결정요인 연구모형(모형2)․85
[그림 3-4] 전문계 고등학교 학업성취 모형(안)․86
[그림 3-5] 고등학생의 학업과 관련된 학습동기․100
[그림 3-6] 고등학교별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교사의 노력․103
[그림 3-7] 전문계,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수업 방법․104
[그림 4-1] 전문계 고등학생의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향과 과제․133
[그림 4-2] 학력부진학생 대상과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요도․134
[그림 4-3]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집중 추진 과제 운영 절차․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