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계 고교생의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Methods to Improve the Basic Learning A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저자
박동열 정철영 김진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9-1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1.30
등록일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전문계 고등학교기초학습능력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3
   1. 연구의 방법 3
   2. 연구절차 5
제2장  전문계 고등학교 기초학습능력 운영 및 지원현황
 제1절  전문계 고등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실태 7
   1. 기초학습능력의 개념 7
   2. 기초학습능력 수준 현황 11
 제2절  기초학습능력 관련 교과목 운영실태 18
   1. 전문계 고등학교의 기초교과목 운영 현황 18
   2.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전문계 고등학생의 기초교과목 운영 전망 33
 제3절  전문계 고교 학습부진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  정책과 과제 37
   1. 시ㆍ도 교육청 단위에서의 학습부진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 정책 현황 37
   2.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단위학교의 노력 43
제3장  전문계 고등학교 학업성취 모형 및 실태분석
 제1절  전문계 고등학교 학업성취 모형 탐색 55
   1. 학업성취도 관련 변인 55
   2. 전문계 고등학교 학업성취모형(안) 83
 제2절  전문계 고등학교 학업성취 실태 분석 88
   1. 전문계 고등학교 기초학습능력 관련 변인 실태 분석 88
   2.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결과 106
제 4 장  전문계 고등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제1절  기본방향 131
 제2절  향상 방안 134
SUMMARY 149
<부록 1> 전문계 고등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조사 (교사용) 157
<부록 2> 전문계 고등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조사 (학생용) 165
<부록 3> 일반계 고등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실태 및 요인 조사(교사용) 171
<부록 4> 일반계 고등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조사 (학생용) 183
<부록 5> 시ㆍ도 교육청 단위에서의 학습부진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 정책 189
<부록 6> 단위학교에서의 학습부진학생 대처방안 251
참고문헌 259
  본 연구에서는 전문계 고등학생의 기초학습능력 개념과 수준 및 학업성취 모형을 고찰하여, 전문계 고등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장애 요인을 분석함과 동시에 기초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As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labour market have highly develope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their educational purpose. Especially, based on the social phenomenons such as the people's negative thinking on the job-specialized education and the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have impeded the schools from selecting well-qualified applicants, there is a serious doubt about the basic learning capa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Under these conditions, it is indispensible to invent an comprehensive method and practice to improve the basic learning a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ich is accumulatively developed from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s well as to set up the notion of the basic learning a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review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roper level of the basic academic a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ifferentiated from general  high schools.  
...
<표 2-1> 기초학습능력 관련 용어 정의․8
<표 2-2> 기초학습능력의 개념․10
<표 2-3> 기초학습능력의 개념적 특성․11
<표 2-4>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기대하는 성취 수준의 일반적인 특성 및 수준별 분할점수․15
<표 2-5> 학교의 목적 유형별 고1 학생 성취 수준 비율 추이․16
<표 2-6> 전문계 고등학교의 특수학급 및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 현황․17
<표 2-7> 현행 제7차 교육과정 편제상의 일반계 고교 대비 전문계 고교의 기초교과목 편성․19
<표 2-8> 연간 최소 수업 시간 수 초과 운영 교과 및 활동 현황․20
<표 2-9> 연간 최소 수업 시간 수 초과 운영 현황․21
<표 2-10> 연속적으로 편성ㆍ운영[블럭 타임 운영]하는 국민공통기본교과 및 활동 운영 현황(복수응답)․21
<표 2-11> 연속적으로 편성․운영[블럭 타임 운영]하는 국민공통기본교과 및 활동 운영 시간 현황․22
<표 2-12> 주 5일제 수업으로 1학년에 운영하는 국민공통교과 및 활동 시간 수 감축 운영 현황․23
<표 2-13>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는 교과의 수업 방식․24
<표 2-14>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는 교과의 수업 분반 방식․25
<표 2-15> 수준별 수업을 위해 학습 자료 사용 현황(복수응답)․25
<표 2-16> 교육과정에 예시된 과목 이외의 학교 자체 개설 과목 유무․27
<표 2-17> 교육과정에 예시된 과목 이외의 학교 자체 개설 과목 유형(복수응답)․27
<표 2-18> 선택과목에 배당된 136단위 중 시․도 교육청, 학교 및 학생 선택 지정 단위 수․28
<표 2-19> 선택과목에 배당된 136단위 중 전문교과와 보통교과의 이수 단위 수․29
<표 2-20> 과정 설치 및 선택 과목에 대한 의견 조사․30
<표 2-21> 재량활동 시간 배당 현황․31
<표 2-22> 교과 재량활동 편성․운영 현황․32
<표 2-23> 미래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본 편제 방안․35
<표 2-24> 시․도 교육청 단위에서의 학습부진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 정책 현황․38
<표 2-25> 단위학교에서의 학습부진학생․43
<표 3-1> 교과성적과 Thurstone의 기초 지능 검사의 각 요인과의 상관관계․61
<표 3-2> 학습자, 학교, 가정 및 사회 관련 변인별 종합표․81
<표 3-3> 고등학교 계열별 현황․88
<표 3-4> 고등학생의 가정변인 현황․89
<표 3-5> 고등학생의 중학교 내신 성적 수준․91
<표 3-6> 가정변인별 전문계 고등학생의 중학교 내신 성적 수준․92
<표 3-7> 가정변인별 일반계 고등학생의 중학교 내신 성적 수준․94
<표 3-8> 고등학생의 공통교과목(국, 영, 수) 흥미정도․95
<표 3-9> 고등학생의 기초학습능력 공통교과 수업내용 이해 수준․96
<표 3-10> 고등학생의 교과 학업 시 기초교과목 부족에 대한 인식․97
<표 3-11> 가정변인별 고등학생의 교과 학업 시 기초교과목 부족인식․97
<표 3-12>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공통교과목(국, 영, 수) 수준․98
<표 3-13> 고등학생의 성적이 대학진학이나 취업 결정 시 주는 영향․99
<표 3-14>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교문화․101
<표 3-15> 교사가 소속된 학교의 학교문화 인식․101
<표 3-16>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 교장, 교감의 리더십 유형․103
<표 3-17> 고등학교 교사들의 학생수준과 특성에 대한 인식․105
<표 3-18>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가정문화․106
<표 3-19> 전체 성적 예측변인에 대한 전문계 및 일반계 고교생 비교․112
<표 3-20> 국어교과 성적 예측변인에 대한 전문계 및 일반계 고교생 비교․115
<표 3-21> 영어교과 성적 예측변인에 대한 전문계 및 일반계 고교생 비교․118
<표 3-22> 수학교과 성적 예측변인에 대한 전문계 및 일반계 고교생 비교․122
<표 3-23>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위계적 분석 결과 종합․128
<표 4-1>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참여 주체별 종합적인 추진 과제․136
<표 4-2> 기초학력 부진학생의 유형별 프로그램 전략(안)․141
<표 4-3> 학습부진학생 지원사업간 역할분담(안)․143
<표 4-4>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주요 추진 과제별 내용 및 예산․144
[그림 1-1] 연구방법 및 절차․6
[그림 2-1] 기초학습능력의 개념적 특성․11
[그림 2-2] 프로그램의 대상 및 대상별 프로그램 구성비․12
[그림 3-1] 학업성취 관련요인의 인과모형․83
[그림 3-2] 인지적 학업성취 결정요인 연구모형(모형1)․84
[그림 3-3] 비인지적 학업성취 결정요인 연구모형(모형2)․85
[그림 3-4] 전문계 고등학교 학업성취 모형(안)․86
[그림 3-5] 고등학생의 학업과 관련된 학습동기․100
[그림 3-6] 고등학교별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교사의 노력․103
[그림 3-7] 전문계,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수업 방법․104
[그림 4-1] 전문계 고등학생의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향과 과제․133
[그림 4-2] 학력부진학생 대상과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요도․134
[그림 4-3]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집중 추진 과제 운영 절차․13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전문계 고교생의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2009.01.01~2009.12.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