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교육기관 교원 역량 강화 방안 : 전문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Methods of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 Teachers : Focusing on Vocational High Schools
- 저자
- 김기홍 장명희 김종우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1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1.30
- 등록일
-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전문계 고등학교직업교육 교원교원양성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질문 3 3. 연구 범위와 제한점 4 제2절 연구 내용 5 제3절 연구 방법 7 1. 문헌 연구 8 2. 실태 조사와 전문가 의견 조사 8 3. 전문가 협의회 및 자문회의 개최 12 제2장 직업 교육 교원 역량 강화의 중요성과 의미에 대한 이해 제1절 노동 시장과 직업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직업 교육 교원의 역할 변화 15 1. 노동 시장 환경과 고용 구조의 변화 15 2. 직업 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전문계 고등학교의 혁신 19 3. 직업 교육 교원의 역할 변화 26 제2절 직업 교육 교원 역량의 개념과 유형 분석 30 1. 역량의 개념적 의미와 특성 30 2.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유형 분석 33 제3절 논의와 시사점 40 1. 직업 교육 교원의 역할 변화에 따른 시사점 40 2. 직업 교육 교원 역량에 대한 의미에서 시사점 43 제3장 직업 교육 교원의 현황과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제1절 직업 교육 교원의 현황 45 1. 전문계 고등학교 현황 45 2. 전문계 고등학교 계열별 교원 수 47 제2절 직업 교육 교원의 양성 시스템 분석 50 1.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 자격과 임용 제도 50 2.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 양성 기관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 54 제3절 직업 교육 교원의 향상 시스템 분석 62 1.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 연수 제도 62 2.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 연수 운영 현황과 과제 65 제4절 논의와 시사점 70 제4장 선진국 직업 교육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제1절 미국 73 1. 교원의 직무 수행을 위한 역할과 역량 73 2.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82 3. 교원 교육 제도 개선 및 역량 강화 정책 102 제2절 일본 116 1. 교원의 직무 수행을 위한 역할과 역량 116 2.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122 3. 교원 교육 제도 개선 및 지원 정책 138 제3절 독일 140 1. 교원의 직무 수행을 위한 역할과 능력 140 2.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150 3. 교원 교육 제도 개선 및 지원 정책 168 제4절 종합 시사점 171 1. 미국 171 2. 일본 174 3. 독일 175 4. 논의 종합표 178 제5장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수준 및 교원 교육 시스템 개선에 대한 실태 및 인식 조사 분석 제1절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에 대한 실태 조사 분석 181 1.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의 역량 강화 181 2. 교사가 되기 위한 교원 양성 단계 202 3. 교원 임용 후 현직 교육(연수) 단계 206 4. 산업체 현장 연수 215 제2절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강화 및 교원 교육 시스템 개선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218 1. 전문계 고등학교 교원 역량 관련 제1차 산업체 전문가 의견 수렴 218 2. 전문계 고등학교 교원 역량 관련 제2차 산업체 전문가 의견 수렴 223 제3절 논의와 시사점 226 제6장 직업 교육 교원 역량 강화 및 개선 방안 제1절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강화 및 개선 방향 229 1.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강화 및 개선 방안 수립을 위한 기본 구도와 전략 229 2. 정책적 강화 및 개선 방향 233 제2절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 교육 시스템 개선 및 강화 방안 241 1. 전문계 고등학교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표준화 작업 241 2. 교원 양성 교육 시스템 개선 245 3. 교원 현직 교육 시스템 개선 252 4.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인식 제고 257 5. 추진 주체별 주요 정책 개선 방안 258 제3절 결론 및 제언 259 SUMMARY 263 <부록 1> 직업 교육 기관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의견 조사 279 <부록 2> 직업 교육 기관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제1차 산업체 전문가 의견 수렴 291 <부록 3> 직업 교육 기관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제2차 산업체 전문가 의견 수렴 297 <부록 4> 전문계 고등학교 실태 조사 관련 자문위원 및 산업체 관련 전문가 협의회 명단 301 참고문헌 303
학령 인구의 감소, 고령자 인구 비율의 증가 등과 같은 인구 구조의 변화, 서비스직 전문직 비중의 확대 등 산업 고용 구조의 변화, 직업 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 문화적 인식 등은 직업 교육의 중심 기관인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육적 역활과 기능에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80% 이상이 대학에 진학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직업 교육의 질적인 변화와 혁신을 유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전문성을 갖춘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강화'이다. 전문계 고등학교의 중심으로 한 직업 교육 교원은 산업 현장의 기술 수준 변화를 비롯하여 사회적 수요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이에 따라 직업 교육 교원이 교육의 전문성과 현장성을 담보하기 위해 개발하고 강화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규정하고, 교원의 양성과 향상 단계에서 어떠한 변화가 요구되는지를 파악하여, 정밀 진단을 통해 종합적인 정책적 제도적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의 역량 강화의 중요성과 의미,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의 현황과 교원교육시스템 분석, 직업 교육 교원의 현황 분석, 양성 교육 시스템 분석과 직업 교육 교원의 향상(연수) 교육 시스템 분석, 선진국의 중등 단계 직업 교육 교원 역량 기준과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의 역량 강화 및 개선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 결과들은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정책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주요내용 - 직업 교육 교원 역량의 개념과 유형 분석 - 직업 교육 교원 역량 변화에 따른 시사점 - 직업 교육 교원 현황과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 선진국 직업 교육 교원 교육 시스템 분석 - 직업 교육 교원 역량 강화 및 개선 방안
This study is designed to present comprehensive improvement and enhancement methods from the perspectives of nurturing education, enhancing the educational system, and improving policy, by investigating the competence of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identifying the competence level of each teacher based on an examination. ...
<표 1-1>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 역량 의견 조사 내용․9 <표 1-2> 응답자 특성․10 <표 1-3> 전문가 협의회 및 자문회의 개최․12 <표 2-1> 지식 기반 산업 유형과 산업명․16 <표 2-2> 지식 기반 산업 사회의 교육 패러다임 변화․21 <표 2-3> 우수 학교로서 전문계 고등학교가 갖추어야 할 특성들․24 <표 2-4>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내용․35 <표 2-5> 직무 수행 기준(안)의 구성 특징․38 <표 3-1> 전문계 고등학교 학교 수 현황․46 <표 3-2> 전문계 고등학교 학급 수 현황․46 <표 3-3>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 수 현황․47 <표 3-4> 전문계 고등학교 교원 수 현황․48 <표 3-5> 2008년 전문계 고등학교 계열별 교원 수․49 <표 3-6> 중등 학교 교원 자격증 표시 과목(제2조 제2항 관련)․51 <표 3-7> 자격종별 전공과목 및 교직 과목의 무시험검정 합격 기준․52 <표 3-8> 교직 과정의 이수 과목과 학점(2008년도 이전 입학자까지 적용)․55 <표 3-9> 2008년도 전문 교과 표시 과목 교원 양성 교직 과정 운영 대학(국립 대학)․56 <표 3-10>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원 양성 목적 대학 교육 과정 비교(2009년)․59 <표 3-11> 교원 연수 종류별 비교․64 <표 3-12> 2009년 주요 대학의 전문계 고등학교 대상 교원 연수 사례․65 <표 4-1> NBPTS의 미국 직업 교육 교원 역량 기준․74 <표 4-2> 인디애나 주의 직업 교육 교원 역량 기준․76 <표 4-3> 텍사스 주의 직업 교육 교원의 경력별 역량 기준․77 <표 4-4> 오클라호마 주의 직업 마스터 교사 의무 사항․80 <표 4-5> 직업 교육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최상의 실천 방안․81 <표 4-6> 미국 직업 교육 교원 자격증 표시 과목․92 <표 4-7> 캔자스 주의 입직 교육 프로그램(induction program) 기준․98 <표 4-8> 교원 역량 강화 측면에서의 Carl D. Perkins법과 NCLB법의 관계․103 <표 4-9> 주 정부의 교원 역량 관련 정책 평가 영역 및 내용․106 <표 4-10> 미국 50개 주 정부의 교원 역량 관련 정책 평가 수준․108 <표 4-11> 미국 교원 평가 방법 및 절차․110 <표 4-12> 시카고의 교원 평가 대상 구분․113 <표 4-13> 시카고의 대상 교원별 평가 요소 및 방법․114 <표 4-14> 직무의 유형․118 <표 4-15> 교원에게 요구되는 구체적인 자질과 능력․120 <표 4-16> 교원의 장기 사회 체험 연수의 실시 현황(2005년)․136 <표 4-17> 교원의 직무 수행을 위한 표준화된 역량․145 <표 4-18> Berlin 공대의 농업 및 조경 공학의 학사 교원 양성 교육 과정․161 <표 4-19> Berlin 공대의 농업 및 조경 공학의 석사 교원 양성 교육 과정․162 <표 4-20> 주 정부 지원 교원 연수 및 연구 프로그램․170 <표 5-1> 학교 계열별․182 <표 5-2> 학교 주계열별․183 <표 5-3> 학교 소재지별․184 <표 5-4> 교원 직위별․185 <표 5-5> 교원 자격 취득 기관별․186 <표 5-6> 산업체 경력 유·무별․187 <표 5-7> 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느끼는 이유․188 <표 5-8> 전문 교과 교원 직무 수행의 중요성 정도․189 <표 5-9> 전문 교과 교원 직무 수행의 역량 수준 정도․192 <표 5-10> 학교 계열별․195 <표 5-11> 학교 주계열별․196 <표 5-12> 학교 소재지별․197 <표 5-13> 교원 직위별․198 <표 5-14> 교원 자격 취득 기관별․199 <표 5-15> 산업체 경력 유·무별․200 <표 5-16> 역량 수준이 ‘중 이하’라고 인식하는 이유․201 <표 5-17> 역량 수준이 ‘중상’이라고 인식하는 이유․202 <표 5-18> 교원 양성 교육의 만족도․203 <표 5-19> 교원 양성 교육, 자격·임용 등과 관련한 문제점의 정도․204 <표 5-20> 교원 양성 교육 단계에서 문제점 해결을 위한 개선 방안의 타당도․205 <표 5-21> 자격 연수 이수 여부․207 <표 5-22> 직무 연수 이수 여부․208 <표 5-23> 산업체 현장 연수 이수 여부․208 <표 5-24> 부전공 연수 이수 여부․209 <표 5-25> 자율 연수 이수 여부․210 <표 5-26> 특별 연수(교원의 전문성 제고 연수) 이수 여부․210 <표 5-27> 학위 과정(석·박사) 이수 여부․211 <표 5-28> 현직 교육 연수 및 연수 프로그램과 관련한 문제점의 정도․212 <표 5-29> 현직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의 문제 해결을 위한 개선방안․214 [그림 1-1]연구 내용과 방법 및 절차․7 [그림 2-1] 역량 구조의 내면과 표면․32 [그림 2-2] 직업 교육 교원의 역량 강화의 접근․34 [그림 2-3] 직업 교육 교원 역량의 개념 구조․39 [그림 3-1] 교원 연수의 구조 및 조직․63 [그림 4-1] 미국의 교원 교육 체계․83 [그림 4-2] 미국의 직업 교육 교원 교육의 개념적 모형․84 [그림 4-3] 교원 양성 프로그램 비교․86 [그림 4-4] 펜실베이니아 주의 직업 교육 자격 체제․88 [그림 4-5] 미국 중등 교원의 임용 및 승진 절차․95 [그림 4-6] 교사자격위원회(CTC)의 입직 교육 프로그램 기준․96 [그림 4-7] NCLB의 교원 역량 강화 전략․104 [그림 4-8] 미국 교원 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111 [그림 4-9] 교원의 자질 능력 형성에 관련되는 역할 분담 이미지․121 [그림 4-10] 교직 실천 연습(가칭)의 이미지․127 [그림 4-11] 교직 실천 연습(가칭)․130 [그림 4-12] 교원 연수의 실시 체계․134 [그림 4-13] 교원 평가의 이미지․139 [그림 4-14] 교원 양성 교육의 이론과 실습의 관계성․141 [그림 4-15] 교원의 역할과 능력․142 [그림 4-16] 1995년 문화성 장관의 기본 권고 사항․155 [그림 4-17] 보쿰(Bochum)대학교의 교원 양성 모델․158 [그림 4-18] 빌레펠드(Bielefeld)대학교의 교원 양성 모델․159 [그림 4-19] 보쿰(Bochum)대학교의 교원 양성 모델․160 [그림 4-20] Berlin 공대의 교원 양성 학사 과정․163 [그림 4-21] Berlin 공대의 교원 양성 석사 과정․164 [그림 5-1] 산업체 현장 연수 기간․215 [그림 5-2] 산업체 현장 연수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216 [그림 5-3] 산업체 현장 연수 주기․217 [그림 5-4] 연수 대상자 선발 기준․217 [그림 6-1] 직업 교육 교원 역량 강화 및 개선을 위한 접근 구도․232 [그림 6-2] 직업 교육 교원 역량 강화 및 개선을 위한 방향과 전략․23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기관 교원 역량 강화 방안 -전문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2009.01.01~2009.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