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훈련과 직장이동

A Study on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on Job Separation Rate
저자
김미란 김안국 정재호
분류정보
기본연구(2009-1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1.30
등록일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재직근로자직업훈련직장이동
요 약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목적과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구성 6
   1. 재직근로자의 직업훈련 참여 실태와 훈련특성 6
   2. 재직근로자의 직업훈련과 직장이동 7
   3. 사업주 주도 훈련과 근로자 이직률 9
제3절  연구자료와 방법 10
제2장  재직근로자의 직업훈련 실태와 특성 13
 제1절  자료 13
 제2절  재직자 훈련의 실태: 훈련건수 기준 14
   1. 훈련실적 건수 15
   2. 훈련방법 17
   3. 훈련직종 21
   4. 훈련시간 23
 제3절  근로자의 훈련참여 실태: 훈련경험자 기준 25
 제4절  근로자 직업훈련이력: 2002~2008년 30
 제5절  소결 35
제3장  재직근로자의 직업훈련과 직장이동 37
 제1절  문제제기 37
 제2절  분석 자료와 방법 43
   1. 분석 자료 43
   2. 추정식 47
 제3절  재직자 직업훈련의 이직확률에 대한 영향 51
   1. 직업훈련 참여의 이직확률에 대한 영향 51
   2. 훈련특성과 이직확률: 2004년 훈련참여자 57
 제4절  재직 시 직업훈련의 직장이동행태에 대한 영향 66
 제5절  소결 70
제4장  사업주 주도 훈련과 근로자 이직률 73
 제1절  문제제기 73
 제2절  사업주 훈련투자와 근로자 이직에 대한 이론적 검토 76
 제3절  사업주 훈련과 근로자 이직률 80
   1. 실증 분석 모형 80
   2. 자료 및 분석 83
 제4절  소결 97
제5장  결론과 논의 99
SUMMARY 105
부록 표 111
참고문헌 131
  근로자의 이동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재직자의 직업훈련을 활성화하고 전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실업 상태의 훈련이나 개인별 자기개발보다는 재직자단계에서 훈련이 효과적으로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근로자의 직업경쟁력 향상과 재취업가능성(employability)을 높이는 것이 경제적이나 정책으로 더 효과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본 연구는 고용보험 내 HRD-net자료를 사용하여 재직근로자의 훈련참여 실태를 인적특성별로 살펴보고, 훈련참여가 이직(확)률과 재취업확률, 그리고 기업의 수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훈련참여율과 횟수, 훈련시간과 대상 등 훈련의 양과 대상이 지난 7년 동안 꾸준히 증가해 왔다. 훈련에 참여한 재직근로자는 비참여자에 비해 이직할 확률이 낮으며, 이직하더라도 더 빨리 재취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업수준에서 보아도 훈련투자는 근로자의 이직률을 높이지 않았다. 
  As worker's mobility is increasing, vocational training is becoming one of the most useful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In order to improve worker's job stability and employability, vocational training and training policy should be focused on the employed rather than unemployed who are seeking a job.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tylized facts of the workers'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and analyzes the effects of vocational training on the job separation and profit of the firm.
...
<표 2-1> 연도별 훈련실적: 훈련건수․15
<표 2-2> 인적속성별 훈련실적: 훈련건수․16
<표 2-3> 훈련방법의 추이․17
<표 2-4> 성별 훈련방법․18
<표 2-5> 학력별 훈련방법․19
<표 2-6> 연령별 훈련방법․20
<표 2-7> 재직자훈련의 훈련직종 분포․21
<표 2-8> 재직자훈련의 성별 훈련직종 분포․22
<표 2-9> 재직자훈련의 평균 훈련시간 추이․23
<표 2-10> 인적 속성별 재직자훈련의 평균 훈련시간 추이․24
<표 2-11> 연도별 훈련경험자 수․25
<표 2-12> 인적 속성별 훈련경험자 수․26
<표 2-13> 연도별 연간훈련횟수 및 연간훈련시간․27
<표 2-14> 성별 연간훈련횟수 및 연간훈련시간․27
<표 2-15> 학력별 연간훈련횟수 및 연간훈련시간․28
<표 2-16> 연령별 연간훈련횟수 및 연간훈련시간․29
<표 2-17> 훈련경험자의 연령별 성별 구성․30
<표 2-18> 훈련경험자의 연령별 학력별 구성․31
<표 2-19> 7년간 훈련경험자의 성별 총훈련횟수 및 총훈련시간․31
<표 2-20> 7년간 훈련경험자의 학력별 총훈련횟수 및 총훈련시간․32
<표 2-21> 7년간 훈련경험자의 연령별 총훈련횟수 및 총훈련시간․32
<표 2-22> 7년간 훈련경험자의 연령별 성별 총훈련횟수 및 총훈련시간․33
<표 2-23> 7년간 훈련경험자의 연령별 학력별 총훈련횟수 및 총훈련시간․34
<표 3-1> 자료 구성 내역․45
<표 3-2> 직업능력개발훈련 참여율: 특성별, 2004년․46
<표 3-3> 재직근로자의 훈련참여 확률에 대한 프로빗 추정․52
<표 3-4> 훈련참여의 이직확률에 대한 영향: Cox비례위험․54
<표 3-5> 훈련참여의 이직확률에 대한 영향: 이직사유별․55
<표 3-6> 훈련참여의 이직확률에 대한 영향: 자발적 이직자 대상․56
<표 3-7> 훈련참여자 횟수: 훈련방법별․58
<표 3-8> 훈련생 1인당 훈련시간총수(2004년): 훈련방법별․58
<표 3-9> 훈련생 1인당 훈련시간총수의 분포: 훈련방법별․59
<표 3-10> 개인 및 사업장 특성별 평균 훈련 참여 횟수․60
<표 3-11> 훈련특성의 이직확률에 대한 영향: 훈련참여자․62
<표 3-12> 산업특수적 훈련의 특성별 분포․64
<표 3-13> 산업특수적 훈련의 이직확률에 대한 영향: 제조업종별․65
<표 3-14>훈련참여의 이직 후 재취업확률에 대한 영향:프로빗 추정․67
<표 3-15> 직업훈련의 경력변동과 상향이동에 대한 영향․69
<표 4-1> 변수들의 기초통계량․85
<표 4-2> 기업의 교육훈련비와 이직률의 상관관계․86
<표 4-3> 2004년도 훈련과 2006년 이직의 상관관계․87
<표 4-4> 훈련의 이직효과(pooled 데이터): OLS․88
<표 4-5> 훈련의 이직효과(패널자료): 확률효과모형․90
<표 4-6> 훈련량과 생산함수․93
<표 4-7> 훈련량과 비용함수․94
<표 4-8> 훈련량과 이익함수․96
[그림 4-1] 사업주 훈련제공과 기대 이익․8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훈련과 직장이동 2009.01.01~2009.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