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평생학습의 3가지 목적과 정책영역․22
<표 2-2> 창조적 학습자 육성을 위한 평생학습 정책․25
<표 2-3> 사회통합을 위한 평생학습 정책․25
<표 2-4> 평생학습 인프라 구축 및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와 목표․26
<표 2-5> 정책 영역별 주요 추진과제․27
<표 2-6> 창조적 학습자 육성을 위한 재정투자 계획․28
<표 2-7> 교육예산 중 평생교육 관련 예산의 지속적 확대 계획․28
<표 2-8> 2007년 유럽의 성인 교육훈련 참여율․30
<표 2-9> 노동력 조사(LFS)-연도별 성인의 교육훈련 참여율․33
<표 2-10> 우리나라 평생학습 참여율․35
<표 2-11> 평생학습 유형별 참여율 비교․36
<표 2-12> 국제 평생학습 참여율 자료 특성․37
<표 2-13> 경제모형과 교육 효과․42
<표 2-14> 평생학습의 성과․52
<표 3-1> 성인의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참여․58
<표 3-2> 성인인구의 학력정도 국제 비교, 2000년․60
<표 3-3> 평생학습 참여와 소득 증대․62
<표 3-4> 성인인구의 평균교육년수 및 평생학습 참여율에 대한 1인당 GDP의 회귀분석․63
<표 3-5> 우리나라 성인인구의 평균교육년수 실제 값과 잔차(연도별)․65
<표 3-6> 우리나라 성인인구의 평생학습 참여율 실제 값과 잔차(연도별)․65
<표 3-7> 각국의 성인인구 평생학습 참여율 실제 값과 잔차(2000)․66
<표 3-8> 성인인구의 학력수준에 대한 1인당 GDP의 회귀분석․67
<표 3-9> 우리나라 성인인구의 학력수준 실제 값과 잔차(연도별)․71
<표 3-10> OECD 국가별 성인학력의 실제 값과 잔차(2000년)․72
<표 3-11> 경제성장 요인분석 변수의 기초통계치I (2000년, 성인학력비율)․77
<표 3-12> 경제성장 요인분석 변수의 기초통계치II (2000년, 평생학습 참여율)․78
<표 3-13> 성인학력의 경제성장 요인 회귀분석 결과(일반통합회귀모형) ․79
<표 3-14> 성인학력의 경제성장 요인 회귀분석 결과(확률효과모형과 고정효과모형)․80
<표 3-15> 평생학습의 경제성장 영향요인 회귀분석 결과(POLS, FE, RE) ․81
<표 4-1> 사회적, 문화적 포용과 배제․87
<표 4-2> 사회통합의 핵심적 구성요소의 요약․90
<표 4-3> Campbell의 교육의 영향분석의 종속변수․94
<표 4-4> Campbell의 교육특성의 영향분석의 결과․95
<표 4-5> 세계가치조사(WVS)의 사회통합변수․103
<표 4-6> WVS 표본의 평균과 표준편차․111
<표 4-7> 삶의 만족도와 사회활동참여․114
<표 4-8> 보수적 통합과 신뢰․118
<표 4-9> 통합가치와 정치참여․121
<표 4-10> 사회적 관용․123
<표 4-11> 공정성과 시장가치․126
<표 4-12> 세계가치조사 개인 자료 분석결과 종합․128
<표 4-13> 삶의 만족도와 보수적 통합가치․130
<표 4-14> 대인 신뢰와 대제도 신뢰․131
<표 4-15> 통합가치와 정치참여․133
<표 4-16> 관용의 수준․134
<표 4-17> 공정성, 자유선택, 반부패의식, 시장가치․136
<표 4-18> 삶의 만족도 및 결속 통합가치․139
<표 4-19> 대인 신뢰 및 제도 신뢰․140
<표 4-20> 민주적 가치와 정치․사회 참여․142
<표 4-21> 관용․144
<표 4-22> 공정성, 자유선택, 반부패의식, 시장가치․146
<표 5-1> 사회적 자본 유형과 평생학습에 대한 영향․156
<표 5-2> 시민의식을 위한 핵심능력․165
<표 5-3> 사회조사 변수(2008)-교육, 안전, 환경 부문․169
<표 5-4> 연도별 사회조사 부문․171
<표 5-5> 사회통계조사 중 관련 변수․171
<표 5-6> 평생학습과 시민의식 분석틀․172
<표 5-7> 변수 설명․173
<표 5-8> 변수의 평균 비교․174
<표 5-9> 평생학습참여에 따른 교육태도 차이․175
<표 5-10> 인적 속성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율 변화(’96~08)․176
<표 5-11> 평생학습 유형별 참여율 변화․181
<표 5-12> 성인의 희망 평생교육 순위(’96~’08)․183
<표 5-13> 시민의식 수준 변화(’97~’08)․184
<표 5-14> 평생학습참여와 시민의식 상관 관계․185
<표 5-15> 변수 특성․190
<표 5-16> 평생학습 참여에 대한 로짓 분석 결과․192
<표 5-17> 평생학습 참여 기간에 대한 회귀 분석 결과․194
<표 5-18> 개인 속성과 교육태도, 평생학습, 시민의식과의 상관․196
<표 5-19> 교육태도와 시민의식과의 상관 관계․198
<표 5-20> 평생학습과 시민의식의 상관 관계․199
<표 5-21> 평생학습 참여 여부가 시민의식에 대한 영향 회귀분석 결과․201
<표 5-22> 평생학습 참여기간이 시민의식에 대한 영향 회귀분석 결과․203
<표 5-23> 평생학습 유형이 시민의식에 대한 영향 회귀분석 결과․204
<표 5-24> 평생학습의 시민의식에 대한 영향력 유무․209
[그림 1-1] 평생학습 사회경제적 성과 분석을 위한 기본 구조(I)․5
[그림 1-2] 평생학습과 사회경제적 성과 관계․6
[그림 2-1] 평생학습과 학습사회․22
[그림 2-2] 평생학습의 참여 실태와 수요 분석․24
[그림 2-3] 평생학습 사회경제적 성과 분석을 위한 기본 구조(II)․54
[그림 3-1]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학력구성 추이․59
[그림 3-2] 성인의 평균교육년수와 1인당 GDP․64
[그림 3-3]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과 1인당 GDP, 2000년․64
[그림 3-4] 성인의 대학학력 비중과 1인당 GDP, 2000년․68
[그림 3-5] 성인의 중등학력 비중과 1인당 GDP, 2000년․68
[그림 3-6] 성인의 초등학력 비중과 1인당 GDP, 2000년․69
[그림 3-7] 성인의 무학력 비중과 1인당 GDP, 2000년․69
[그림 3-8] 인구의 성인 비중 추이와 중등·고등 학력 성인 비중 추이 비교․70
[그림 3-9] 성인의 대학학력 잔차와 평균교육년수 잔차․73
[그림 3-10] 성인의 대학학력비중 잔차와 평생학습 참여율 잔차․74
[그림 4-1] 교육과 사회통합의 경로․99
[그림 5-1] 사회적 자본과 평생학습사회․158
[그림 5-2] 적극적 시민의식의 영역․163
[그림 5-3]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96~’08)․177
[그림 5-4] 성별 평생학습 참여율(‘96~’08)․177
[그림 5-5] 연령별 평생학습 참여율(‘96~’08)․178
[그림 5-6] 학력별 평생학습 참여율(‘96~’08)․179
[그림 5-7] 경제활동상태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율(‘96~’08)․179
[그림 5-8] 평생학습 유형별 참여율 변화․181
[그림 5-9] 평생학습 유형별 참여 기간변화․182
[그림 5-10]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과 시민의식 수준 추세선․186
[그림 5-11] 평생학습과 시민의식의 관계분석 틀․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