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청소년의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실태와 과제
Current Status and Directions to Improve the Vulnerable Adolescents’ Vocational Competencies
- 저자
- 변숙영 이종범 이수경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2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1.30
- 등록일
-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취약청소년위기청소년직업능력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4 1. 연구의 내용 4 2. 연구의 방법 5 제2장 취약청소년의 특성 제1절 취약청소년의 개념 및 특성 15 1. 청소년의 개념 및 특성 15 2. 취약청소년의 유형 및 특성 16 제2절 취약청소년의 취업특성 및 실태 45 1. 청소년의 취업특성 및 실태 45 2. 취약청소년의 취업특성 및 실태 54 제3절 취약청소년의 직업기초능력 실태 66 1. 직업능력 및 직업기초능력 개념 66 2. 취약청소년 직업기초능력 실태 78 제4절 시사점 129 제3장 취약청소년 직업능력 지원정책 및 프로그램 운영사례 제1절 국내 취약청소년 직업능력 지원정책 및 프로그램 운영사례 135 1. 노동부 135 2. 교육과학기술부 163 3. 보건복지가족부 175 4. 운영사례 188 5. 시사점 204 제2절 국외 취약청소년 직업능력 지원정책 및 프로그램 운영사례 209 1. 캐나다 209 2. 영국 218 3. 미국 227 4. 일본 233 5. 시사점 243 제4장 취약청소년 직업능력 향상 관련 문제점 및 요구 제1절 직업능력 향상 관련 문제점 247 1. 위기청소년 247 2. 저학력 비진학 미취업 청소년 254 3. 장기실업 청소년 261 4. 청소년 니트족 264 5. 새터민 청소년 269 제2절 취약청소년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요구 274 1. 위기청소년 274 2. 저학력 비진학 미취업 청소년 278 3. 장기실업 청소년 282 4. 청소년 니트족 286 5. 새터민 청소년 289 제3절 시사점 293 제5장 취약청소년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정책 대안 SUMMARY 305 참고문헌 311
이 연구는 취업애로를 겪고 있는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하고 직업교육훈련의 내실화를 위하여 이들의 직업능력 실태를 살펴보고 특성을 고려한 직업능력 향상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취약청소년의 개념을 정의하고, 취약청소년의 취업 특성 및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취약청소년의 직업능력 실태 및 인식을 분석하고,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요구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전문가협의회, FG(Focus Group Interview),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 등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취약청소년 직업능력 향상 과제들이 관련 부처(서)의 정책 결정과 교육훈련기관 및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어 취약청소년의 직업능력 향상을 돕고, 나아가 청년층 실업문제 해결에 일조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스템 마련이 요구된다. ○ 주요내용 - 취약청소년의 특성 - 취약청소년 직업능력 지원정책 및 프로그램 운영사례 - 취약청소년 직업능력 향상 관련 문제점 및 요구 - 취약청소년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정책 대안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some effective ways that could make progress in vulnerable adolescents’ vocational competence. To meet this aim, the present state of that group of adolescents’ vocational ability, and their traits in vocational aspect were examined. Specifically, the concept of ‘vulnerable adolescents’ was first defined, and then their unique traits and decisive factors that are involved in their job seeking process were sought. Other crucial parts like the state of adolescents’ basic vocational ability and their awareness about their ability were also examined. Methods such as expert panel, FGI(Focus Group 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 were applied. Due to domestic social polarization and aggravation in economy, adolescents unemployment stands out to be the most serious issue here in South Korea. Especially, it is more prone to be unemployed for those who lost the chance to get educated in a rather early age or who were not much prepared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this would cause them to face various difficulties when fulfilling the social role. The lack of thorough preparation in various abilities(including vocational competence) that are vital in knowledge-based-society through the schooling is the partial cause of the unemploy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dolescents(from twelve to twenty-four ages of people) who are difficult to be employed were identified a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nd more specifically, we focused on adolescents at risk, low level of education and don’t enter school and unemployment, long-term unemployment, 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North Korea defector. ...
<표 1-1> 취약청소년 관계자 FGI 및 심층면담 분석틀․7 <표 1-2> FGI 참가자․9 <표 1-3> 심층면담 참여 청소년․10 <표 2-1> 초․중․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 현황․18 <표 2-2> 청년층 뉴스타트 프로젝트 대상자 구분 및 정의․19 <표 2-3> 위기청소년의 규모․23 <표 2-4> 고졸 이하 청년층의 세부 학력별 노동시장 성과․27 <표 2-5> 고졸 이하 청년층의 세부 학력별 노동시장 성과: 고용의 질․27 <표 2-6> 미취업자의 구직 기간․31 <표 2-7> 학력별 실업자, 취업자 분포․32 <표 2-8> 청년 취업애로층 추이․36 <표 2-9> 학력별 니트율 및 실업률․37 <표 2-10>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40 <표 2-11> 새터민 연령별 입국 추이․41 <표 2-12> 새터민 청소년 연령별 인원 현황․41 <표 2-13> 구직활동 여부․46 <표 2-14> 주요 구직 경로․46 <표 2-15> 연고를 통한 구직 경로․47 <표 2-16> 자주 이용하는 인터넷 사이트․48 <표 2-17> 구직을 위한 정보 수집빈도․48 <표 2-18> 구직정보 수집 시 어려운 점․49 <표 2-19> 직업교육 및 훈련사항에 대한 경험 여부․50 <표 2-20> 직업교육 및 훈련을 받은 기관․50 <표 2-21> 직업교육 및 훈련을 받은 분야․51 <표 2-22> 직장체험 장소․52 <표 2-23> 직장체험 분야․52 <표 2-24>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53 <표 2-25> 위기청소년의 진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55 <표 2-26> 저학력 취업자 수(2000~2008)․57 <표 2-27> 20~29세의 청년실업자 수(2000~2008)․57 <표 2-28> 연령별 실업률(2000~2008)․58 <표 2-29> 연령별 실업자 수와 실업률(2000~2008)․59 <표 2-30> 20~29세의 학력별 청년실업자 수(2000~2008)․59 <표 2-31> 구직 기간별 실업자 수(2000~2008)․60 <표 2-32> 재학 중인 학교를 졸업한 이후의 계획․63 <표 2-33> 새터민 청소년의 희망직업 결정 여부․64 <표 2-34> 새터민 청소년의 희망 직업(중분류 기준)․65 <표 2-35> 직업기초능력 개념 및 정의․70 <표 2-36> 국내 사례에서의 직업기초능력 영역 종합․74 <표 2-37> 국외 선행연구의 직업기초능력 영역(종합)․75 <표 2-38>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 및 하위요소별 정의 및 개념․76 <표 2-39> 전문계 고등학교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수준․79 <표 2-40>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별 수준․80 <표 2-41> 위기청소년의 생활역량 수준․84 <표 2-42> 새터민의 직업기초능력 영역별 분포․85 <표 2-43> 연령별 새터민의 직업기초능력 차이․86 <표 2-44> 취약청소년 직업기초능력 실태․134 <표 3-1> 운영주체별 역할 및 업무․137 <표 3-2> 단계별 세부 내용․142 <표 3-3> 운영주체별 역할과 업무․143 <표 3-4> 운영주체별 역할 및 업무․148 <표 3-5> 청소년직장체험 프로그램의 연도별 예산집행 현황․152 <표 3-6> 잡스쿨의 일정․154 <표 3-7> 고등학생용 CAP+ 주요 내용․156 <표 3-8> 대학생용 CAP+ 주요 내용․157 <표 3-9> 취업 희망 프로그램 주요 내용 및 사례 소개․159 <표 3-10> 성취 프로그램 주요 내용 및 사례 소개․162 <표 3-11> 학교안전통합시스템(Wee Project) 강화 계획․166 <표 3-12> 두드림존 프로젝트의 대상․178 <표 3-13> 두드림존 프로젝트의 주요 내용․179 <표 3-14> 2008년 두드림존 프로젝트 추진실적․180 <표 3-15> 프로그램 전문인력 양성과정에 대한 이수자 만족도․181 <표 3-16>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의 프로그램별 성취도 사전-사후 점수 비교․183 <표 3-17>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아효능감 사전-사후 점수비교․184 <표 3-18> 자활사업 추진 현황(’08년 기준)․186 <표 3-19> 위기청소년 지원 프로그램․189 <표 3-20> A 보호관찰소의 프로그램․191 <표 3-21> 위기청소년 지원 프로그램․192 <표 3-22> A 대안학교 프로그램․193 <표 3-23> 고3 진학지원 사업․196 <표 3-24> 전국실업극복단체의 프로그램․198 <표 3-25> A 실업극복단체 프로그램․199 <표 3-26> A 청소년 자활복지관 프로그램 1․200 <표 3-27> A 청소년 자활복지관 프로그램 2․200 <표 3-28> A 청소년 자활복지관 프로그램 3․202 <표 3-29> 하나원의 프로그램․204 <표 3-30> 위기청소년의 위기수준별 특징․224 <표 3-31> 미국의 중퇴청소년 관련 프로그램․227 <표 3-32> 일본의 YES 프로그램의 직업기초능력․237 <표 3-33> 일본식 듀얼 시스템 훈련 과정의 종류․240 <표 3-34> 선진국의 청년실업 정책 대상자 선정 근거․244 [그림 1-1]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8 [그림 1-2] FGI 및 심층면담 프레임워크․11 [그림 1-3] FGI 및 심층면담 프로세스․12 [그림 1-4] 연구방법 및 절차․13 [그림 2-1]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하위요소․73 [그림 2-2]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가 평가한 직업기초능력 수준․82 [그림 2-3]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이 평가한 직업기초능력 수준․83 [그림 3-1] 종합고용지원센터 추진 체계․139 [그림 3-2] 민간위탁기관 추진 체계․140 [그림 3-3] 단계별 진행 내용․141 [그림 3-4] 운영주체별 역할 및 추진 체계․144 [그림 3-5] 청년직장체험사업 추진 체계․149 [그림 3-6] 성취 프로그램의 기본 모형․161 [그림 3-7] Wee Project 구축도․165 [그림 3-8] Wee Center 체계도․168 [그림 3-9]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업 내용․170 [그림 3-10] 학습부진 예방-진단-관리시스템․173 [그림 3-11] 두드림 프로젝트 운영 체계․177 [그림 3-12] 자활산업의 추진절차․186 [그림 3-13] 자활인큐베이팅 흐름도․188 [그림 3-14] FPSYI 프로그램의 구성․211 [그림 3-15] 캐나다의 Skills Link Program 개요․215 [그림 3-16] 일본의 듀얼 시스템․239 [그림 5-1] 취약청소년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모형․30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취약청소년의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실태와 과제 | 2009.01.01~2009.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