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e-Learning 학습전이 사례 연구
Case Studies on the Spread of Learning in Corporate e-Learning
- 저자
- 이수경 권성연 변숙영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2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1.30
- 등록일
-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기업 e-Learning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5 1. 연구 내용 5 2. 연구 방법 6 3. 연구 제한점 7 제2장 문헌분석 제1절 학습전이의 개념 10 제2절 학습전이 모형에 관한 연구 11 제3절 학습전이 영향 요인의 측정 타당화를 위한 연구 12 제4절 학습전이 영향요인과 학습전이와의 관계분석을 위한 실증 연구 17 제5절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변인 23 제6절 시사점 및 연구 문제 25 제3장 조사 방법 및 절차 제1절 조사 대상 29 제2절 조사 절차 및 진행 31 1. 조사 절차 31 2. 조사 진행 33 제3절 조사도구 34 1. 공통 조사도구 35 2. 기업(과정별) 조사도구 39 3. 집중 조사도구(질적연구 조사도구) 46 제4장 조사 대상 과정 분석 제1절 A기업의 ‘QSS(Quick Six Sigma)’ 과정 58 1. 개요 58 2. 내용 구성 62 3. 교수 설계 66 4. 교육 운영 77 제2절 B기업의 ‘완전판매와 민원 주요사례’ 과정 78 1. 개요 78 2. 내용 구성 83 3. 교수 설계 86 4. 교육 운영 97 제5장 연구 결과 제1절 학습전이 모형검증 100 1. A기업의 ‘QSS(Quick Six Sigma)’ 과정 100 2. B기업의 ‘완전판매와 민원 주요사례’ 과정 110 3. 시사점 121 제2절 기타 변인과 학습전이와의 관계 124 1. A기업의 ‘QSS(Quick Six Sigma)’ 과정 124 2. B기업의 ‘완전판매와 민원 주요사례’ 과정 128 3. 시사점 132 제6장 요약 및 제언 제1절 연구요약 135 제2절 기업 e-Learning 학습전이 향상을 위한 제언 140 1. e-Learning 과정개발 및 운영 측면 140 2. 기업 및 정부 정책 측면 144 SUMMARY 151 참고문헌 155
국내외적으로 e-Learning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지식 정보 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힘입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e-Learning을 도입한 많은 기업 조직에서는 교육의 양적 성장, 확장에 머무르기 보다는 질적으로 우수한 프로그램을 창출하여 교육훈련 본래의 성과를 내고자 노력하고 있다. 기업은 교육훈련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기업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뚜렸한 목표를 갖고 있기 때문에 e-Learning을 통한 훈련이 얼마나 학습효과를 가져오는지, 특히 e-Learning 학습결과가 실제 기업 현장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와 같이 기업 구성원이 교육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업무에 활용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학습전이'는 기업 교육훈련의 최대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그간 기업 e-Learning의 학습효과 측정의 주류를 이루었던 만족도나 학업성취도 수준을 탈피하여, 실제적 맥락에서의 접근 방식이라고 볼 수 있는 '학습전이'를 중심으로 e-Learning 학습성과에 대한 사례 연구를 실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연구 방법론 및 결과는 관련 학계 및 기업 현장에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주요내용 - 학습전이의 개념 - 조사 방법 및 절차 - 학습전이 모형검증 - 기타 변인과 학습전이와의 관계 - 기업 e-Learning 학습전이 향상을 위한 제언
Due to the continuous expansion of e-learning in corporate learning, the interest in outcome of e-Learning is increasing, especially in applying learning result to the job performance effectively. In this context, a matter of primary concern in corporate learning is learning transfer. Recently attempt and study to analyze empirically whether learners who acquir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from learning apply what is learned to job performance are needed. However, previous studies neglected the approach, method, and procedure of measuring learning transfer, had difficulties in identifying various aspects and patterns of learning transfer, and were limited to analyze how factors affect learning transf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figure of learning transfer in corporate e-Learning systematically and concretely by using the diverse and elaborate methodology which combines quantitative approach with qualitative approach, and analyze how various factors affect learning transfer practically. Also,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learning transfer as various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individuals, contents, and condition by analyzing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variables which are concerned in the field of work place and learning transfer. For this purpose, first,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raw the conceptual definition, explore the related variables, and analyze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Second, the tools of measuring learning transfer were col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ols were analyzed, and extract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ird, study design, factors related to learning transfer, method of measuring learning transfer were set, and the measure tools were selected and developed. Forth, the subjects who enrolled e-Learning courses in Korea company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s which were provided in the beginning, middle, and end of the e-Learning. Final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
<표 2-1> 학습전이 관련 요인․15 <표 2-2> 학습전이 관련 선행연구․19 <표 3-1> 학습전이 영향요인 측정도구․36 <표 3-2> 만족도 설문도구․38 <표 3-3> 학습전략 설문도구․39 <표 3-4> A기업의 ‘QSS’ 과정의 사전진단 도구․40 <표 3-5> B기업의 ‘완전판매와 민원 주요사례 과정’의 사전진단 문항․41 <표 3-6> A기업 학습전이 설문문항․43 <표 3-7> B기업 학습전이 설문문항․44 <표 4-1> QSS 내용 구성․63 <표 4-2> QSS 차시별 교수설계․70 <표 4-3> 완전판매와 민원 주요사례 내용 구성․83 <표 4-4> 완전판매와 민원 주요사례 차시별 교수설계․90 <표 5-1> A기업 ‘QSS’ 과정 측정변수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100 <표 5-2> A기업 ‘QSS’ 과정 학습전이 영향요인과 학습전이의 상관분석․101 <표 5-3> A기업 ‘QSS’ 과정 측정모형의 적합도 분석 결과․102 <표 5-4> A기업 ‘QSS’ 과정 측정모형의 경로 추정치․104 <표 5-5> A기업 ‘QSS’ 과정 구조모형의 적합도 분석 결과․105 <표 5-6> A기업 ‘QSS’ 과정 학습전이 구조모형의 구조계수 추정치․106 <표 5-7> B기업 ‘완전판매’ 과정 측정변수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110 <표 5-8> B기업 ‘완전판매’ 과정 학습전이 영향요인과 학습전이의 상관분석․111 <표 5-9> B기업 ‘완전판매’ 과정 측정모형의 적합도 분석 결과․112 <표 5-10> B기업 ‘완전판매’ 과정 측정모형의 경로 추정치․114 <표 5-11> B기업 ‘완전판매’ 과정 구조모형의 적합도 분석 결과․115 <표 5-12> B기업 ‘완전판매’ 과정 구조모형의 구조계수 추정치․116 <표 5-13> B기업 ‘완전판매’ 과정 수정모형의 적합도 분석 결과․117 <표 5-14> B기업 ‘완전판매’ 과정 수정모형의 구조계수 추정치․118 <표 5-15> A기업 ‘QSS’ 과정 기타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125 <표 5-16> 학습성과 측면의 요인(만족도, 성취도)과 학습전이의 상관분석․125 <표 5-17> 학습과정 측면의 요인(학습시간, 학습전략)과 학습전이의 상관분석․126 <표 5-18> 개인 태도적 측면의 요인(이러닝 선호도)과 학습전이의 상관분석․126 <표 5-19> 업무 측면의 요인(업무만족도)과 학습전이의 상관분석․127 <표 5-20> 학습전이에 대한 기타 변인들의 회귀분석․128 <표 5-21> B기업 ‘완전판매’ 과정 기타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128 <표 5-22> 학습성과 측면의 요소(만족도, 성취도)와 학습전이의 상관분석․129 <표 5-23> 학습 과정 측면의 요소(학습시간, 학습전략)와 학습전이의 상관분석․129 <표 5-24> 개인 태도 측면의 요소(e-Learning선호도)와 학습전이의 상관분석․130 <표 5-25> 업무 측면의 요소(업무만족도)와 학습전이의 상관분석․130 <표 5-26> 학습전이에 대한 기타 변인들의 회귀분석․131 [그림 2-1] 학습전이 연구모형․26 [그림 2-2] 조사절차․33 [그림 3-1] A기업의 ‘QSS 과정’의 학습전이 기록지 양식․47 [그림 3-2] B기업의 ‘완전판매와 민원 주요사례 과정’의 학습전이 기록지 양식․52 [그림 4-1] A기업 경영이념 및 경영철학․60 [그림 4-2] QSS 학습 flow․68 [그림 4-3] B기업 비전과 미션․81 [그림 4-4] 완전판매와 민원 주요사례 학습 flow․88 [그림 5-1] A기업 ‘QSS’ 과정의 측정모형․103 [그림 5-2] A기업 ‘QSS’ 과정의 학습전이 구조모형․106 [그림 5-3] B기업 ‘완전판매’ 과정의 측정모형․113 [그림 5-4] B기업 ‘완전판매’ 과정의 학습전이 구조모형․116 [그림 5-5] B기업 ‘완전판매’ 과정 학습전이 수정모형․11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기업 e-Learning 학습전이 사례 연구 | 2009.01.01~2009.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